왼쪽 패널 닫기
로그인을 해주세요.
설정
알림0
MY DPG
모바일 출석체크
DPG모아보기
  • 게시판
  • 포럼
  • 뉴스
  • ㄷㅂㄷ
  • 즐겨찾기 on
    DPG알림
    즐겨찾기 on
    소비자사용기
  • 즐겨찾기 on
    DPG특가몰
    즐겨찾기 on
    자유게시판
  • 즐겨찾기 on
    상시보상이벤트
    즐겨찾기 on
    유머게시판
  • 즐겨찾기 on
    포인트ZONE
    즐겨찾기 on
    다나와Q&A
  • 즐겨찾기 on
    DPG경매
    즐겨찾기 on
    상품의견
  • 즐겨찾기 on
    오늘도 출석체크
    즐겨찾기 on
    체험단
  • 즐겨찾기 on
    입소문쇼핑
    즐겨찾기 on
    엄근진게시판
  • 즐겨찾기 on
    메인가자
    즐겨찾기 on
    쇼핑몰후기
  • 즐겨찾기 on
    럭키떳다방
    즐겨찾기 on
    A/S후기
  • 즐겨찾기 on
    조립PC
    즐겨찾기 on
    게임
  • 즐겨찾기 on
    CPU/RAM
    즐겨찾기 on
    스마트IT
  • 즐겨찾기 on
    VGA/MB
    즐겨찾기 on
    키덜트
  • 즐겨찾기 on
    SSD/HDD
    즐겨찾기 on
    반려동물
  • 즐겨찾기 on
    키보드/마우스
    즐겨찾기 on
    먹거리
  • 즐겨찾기 on
    케이스/파워
    즐겨찾기 on
    바퀴
  • 즐겨찾기 on
    모니터
    즐겨찾기 on
    여행
  • 즐겨찾기 on
    노트북
  • 최신뉴스
    즐겨찾기 on
    일반뉴스
  • 즐겨찾기 on
    기획뉴스
    즐겨찾기 on
    신상품뉴스
  • 즐겨찾기 on
    쇼핑뉴스
    즐겨찾기 on
    기자칼럼
  • 즐겨찾기 on
    생활의 TIp
    즐겨찾기 on
    다나와리포터
  • 즐겨찾기 on
    구매가이드
    즐겨찾기 on
    전문가리뷰
  • 즐겨찾기 on
    인기순위가이드
    즐겨찾기 on
    벤치마크
  • 즐겨찾기 on
    차트뉴스
    즐겨찾기 on
    가격동향
  • 즐겨찾기 on
    Allthatboots TV
    즐겨찾기 on
    CJ PARK
  • 즐겨찾기 on
    Dalkicake의 야간비행
    즐겨찾기 on
    DIYcast
  • 즐겨찾기 on
    DmonkTV
    즐겨찾기 on
    Hakbong Kwon
  • 즐겨찾기 on
    JOOYONTECH
    즐겨찾기 on
    Motorgraph
  • 즐겨찾기 on
    Producer dk
    즐겨찾기 on
    THE EDIT
  • 즐겨찾기 on
    TongTong Tv
    즐겨찾기 on
    UnderKG
  • 즐겨찾기 on
    with브라더
    즐겨찾기 on
    게임넛
  • 즐겨찾기 on
    고나고
    즐겨찾기 on
    기즈모
  • 즐겨찾기 on
    김라희
    즐겨찾기 on
    노써치
  • 즐겨찾기 on
    대처법
    즐겨찾기 on
    더기어TV
  • 즐겨찾기 on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즐겨찾기 on
    라이브렉스
  • 즐겨찾기 on
    레고매니아
    즐겨찾기 on
    맛상무
  • 즐겨찾기 on
    모터피디
    즐겨찾기 on
    쉐어하우스
  • 즐겨찾기 on
    스나이퍼TV
    즐겨찾기 on
    아날로그미
  • 즐겨찾기 on
    아잉2TV
    즐겨찾기 on
    에브리맘
  • 즐겨찾기 on
    여행매거진 트래비TV
    즐겨찾기 on
    오토기어
  • 즐겨찾기 on
    웰컴TV
    즐겨찾기 on
    인프제 INFJ
  • 즐겨찾기 on
    주연 ZUYONI
    즐겨찾기 on
    진블로그
  • 즐겨찾기 on
    집마 홀릭TV
    즐겨찾기 on
    충스
  • 즐겨찾기 on
    카랩
    즐겨찾기 on
    톡써니
  • 즐겨찾기 on
    포켓매거진
    즐겨찾기 on
    플레이G
  • 즐겨찾기 on
    흔치않은여자 예라니
    즐겨찾기 on
    다나와 공식채널
  • 즐겨찾기 on
    얼마까지 보고 오셨어요?
    즐겨찾기 on
    노리다
  • 즐겨찾기 on
    다나와 보케블러리
    즐겨찾기 on
    표준PC
  • 즐겨찾기 on
    다나와M
    즐겨찾기 on
    샵다나와 조립갤러리
  • 즐겨찾기 on
    DPGing
  • STCOM
  • 명성 인텔
  • AONE
다나와 홈

DPG다나와 플레이 그라운드

뒤로

전문가 리뷰

이전 글
다음 글
하이파이클럽

웰 메이드 앰프의 교과서 Parasound JC 2 BP Preamplifier & JC 5 Power Amplifier

2021.03.02. 16:55:26 읽음385

external_image인연

2천 년대 후반 어느 날이었던 것 같다. 지금은 고인이 되었지만 당시 미국의 하이엔드 스피커 중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짐 틸의 스피커를 쓰던 당시였다. 2017년 타계한 에어 어쿠스틱스의 찰스 한센이 이끌었던 아발론 어쿠스틱스와 함께 음장 표현에 있어서 혁신을 일으켰던 장본인 짐 틸. 하지만 짐 틸이 만들어낸 스피커는 제어가 쉽지 않았다.

예를 들어 틸 스피커의 저역 성능을 끌어올리려 대출력 앰프를 동원하면 중, 고역이 피곤하고 너무 차가워 음악에 몰입을 방해했다. 반대로 고역의 온도감을 높이려 싱글엔디드 A클래스 앰프나 진공관을 매칭하면 그 특유의 음장과 입체감 등 매력이 반감되어 이도 저도 아닌 소리를 내주었다.

마크 레빈슨이나 오디오 리서치, BAT 등 다양한 앰프들이 줄기차게 내 방의 문지방을 넘나들었지만 아주 큰 재미를 보진 못했다. 그러던 와중 마지막에 그저 지푸라기라도 잡는다는 심정으로 맞이했던 게 패러사운드였다. 이미 그 당시 미국에선 난리가 났던 브랜드지만 국내에서 생소했던 패러사운드. 이를 마지막으로 틸 스피커를 떠나보냈으나 패러사운드가 내주었던 사운드에서 여러 가능성을 목도했다. 그렇게 힘들었던 음악성과 저역 제어력을 거의 아슬아슬하게 양립해 주었기 때문이다. 패러사운드와의 첫 만남은 기쁨과 아쉬움이 혼재된 것. 이것도 인연이라면 인연이다.


존 컬


패러사운드는 중립적인 균형감각을 갖춘 흔치 않은 앰프였다. 처음 만난 분리형 앰프는 아마도 지금도 생산되는 A21이었던 것 같은데 당시 두 조를 들여 브리지 모드로 활용했다. 상당히 만족하면서 한동안 사용하다가 하나를 내보내고 한 대만 스테레오로 구동해서 또 한동안 즐겁게 사용했다. 가격은 성능에 비해 너무 낮아 만족감이 더 컸던 듯하다. 그 이면엔 존 컬이라는 합리주의적 하이엔드 사운드의 대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마크 레빈슨의 JC-2 같은 앰프를 설계했고 턴테이블로 유명한 소타의 초창기 헤드 앰프를 설계한 장본인이 바로 존 컬이다. 지금도 아는 사람들은 조용히 즐기는 벤데타 리서치의 프리앰프 그리고 오더블 일루전스의 M3A에 옵션으로 제공되던 MC 포노단도 그의 작품이다. 그가 패러사운드에 합류한 것은 1989년 패러사운드의 한 단계 도약을 계획하던 대표 리차드 슈람과 만나면서부터다. 이후 패러사운드 제품엔 모두 JC 이니셜이 붙었고 설계와 성능은 일대 혁신을 이룬다.

존 컬은 패러사운드 외에 다른 메이커와 손을 잡고 프로젝트에 합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이엔드 엔지니어들의 스타 군단 컨스텔레이션이 대표적이었고 그곳을 통해 수천, 수억 원대 제품을 설계해냈다. 그러나 그의 고향 패러사운드에선 고집스럽게 합리적인 가격대에 하이엔드 앰프와 겨룰 수 있는 성능의 앰프를 만들어내고 있다. 외관과 디자인에 많은 돈을 낭비하지 않고도 충분히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는 합리적 가격대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노장의 투혼이다.


다시 만난 패러사운드

패러사운드를 다시 만난 건 최근 들어 출시된 일련의 포노앰프들이다. 지난해 ‘올해의 오디오’ 중 아날로그 소스기기로 JC 3+를 꼽았고 개인적으로 서브 시스템에 Zphono XRM을 도입한 건 순전히 성능 이상, 이하도 아니다. 이 외에도 여러 리뷰를 통해 패러사운드의 현역 앰프들에 대한 성능을 가늠해본 적이 있다. 이번엔 본격 프리, 파워앰프다. 그중에서도 패러사운드를 대표하는 레퍼런스급 모델이라서 일단 반갑다.

JC 2 BP 프리앰프부터 살펴보면 JC 2 프리앰프를 개선해 발표한 버전으로 현재 패러사운드 프리앰프 중 최상위 모델이다. 총 여섯 조 분량의 RCA 라인 입력을 지원하며 두 조의 XLR 입력도 마련해 놓은 모습. 입력단은 금/은 접점 릴레이를 사용해 음질 열화를 최소화하고 있다. 출력단 또한 RCA 및 XLR 출력 모두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어 입/출력단 활용 폭은 충분해 보인다.


내부를 들여다보면 기본적으로 전원부를 신호 전송 경로와 격벽으로 분리, 차폐시킨 모습이다. 입/출력단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전원부는 R-코어 형태의 오디오 전용 트랜스포머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 더불어 프리앰프에 필요한 여러 컨트롤 부분이나 릴레이, LED 등에 대한 전원은 별도의 전원부를 통해 공급된다.

더불어 증폭단의 경우 좌/우 신호를 듀얼 모노 타입으로 설계한 모습이다. 모두 수작업으로 선별한 FET 소자를 활용했고 신호 전송 구간엔 커패시터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다이렉트 커플드 설계를 취하고 있는 부분도 음질적인 면을 최대화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프리앰프의 심장인 볼륨은 리모컨으로 조정 가능한 전동 볼륨이며 특이하게 좌/우 게인을 별도로 전면에서 조정 가능하다. 게인 컨트롤엔 TDK 제품을 좌/우 별도로 활용한 모습으로 프리앰프에서 게인 활용 기능도 유용하다.

파워앰프는 JC 5라는 모델이다. 최상위 모델 JC 1+의 바로 아래 모델로서 JC 1+의 스테레오 버전이라고 해도 크게 무리는 없을 듯한 스펙을 자랑하고 있다. 존 컬이 이전에 설계해왔던 앰프가 대부분 그렇듯 여기서도 정통파 아날로그 회로 설계의 진면모를 피로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JC 5는 AB클래스 증폭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입력단엔 JFET, 드라이브엔 MOSFET을 사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출력단엔 페어 매칭을 통해 선별된 총 24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탑재한 모습.


다량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통해 대출력을 구사하려는 JC 5이니만큼 대용량 전원부는 필수. 약 1.7kVA 용량의 토로이달 타입 트랜스포머를 탑재한 모습이다. 여기에 전기의 저수지 역할을 하는 커패시터 뱅크엔 132,000uF라는 대용량의 루비콘 필터 커패시터를 투입하고 있다. 입/출력단을 제외한 전원부가 파워앰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듯하다. 이로써 출력은 8옴 기준 4백 와트, 4옴 기준 6백 와트, 그리고 브리지 모드로 구성했을 땐 무려 1200와트 출력을 구사하는 파워앰프가 바로 JC 5다.


시청


최근 많은 AB클래스 앰프들이 그렇듯 JC 5도 저출력에선 A클래스 증폭을 보인다. 약 12와트까진 클래스 A, 그것도 퓨어 클래스 A 증폭을 한다는 것이 패러사운드의 설명이다. 게다가 스피커가 최소 1.5옴까지 떨어져도 안정적인 작동을 보인다고 하는데 상당히 뛰어난 증폭 특성을 보이는 앰프로 판단된다. 프리/파워 앰프 모두 공히 RCA 및 XLR 단자를 지원하므로 XLR 입/출력단을 활용해 세팅했다. 소스 기기는 린 Selekt DSM, 스피커는 B&W 802D3를 활용했다.

Anne Bisson  - September in Montreal
Four Seasons In Jazz; Live At Bernie’s

본격적인 시청에 앞서 항상 들어보는 음원이 있다. 예를 들어 XLO 번인 & 테스트 음원으로 정위상, 역위상 체크를 해보는 것. 이 음원 재생 시부터 위상이 매우 명료하게 표현되는 걸 느낄 수 있었다. 본격적으로 보컬, 피아노 등 비교적 단출한 녹음부터 들어보기 시작했는데 확실히 음상이 매우 명료하며 외관선이 아날로그 엘피처럼 자연스럽다. 앤 비송의 ‘September in Montreal’ 같은 곡을 들어보면 확실히 중역대가 도톰하며 절대 얇게 부서지지 않고 담백한 톤을 가지고 있다. 최근 앰프들에서 보기 힘든 진공관 같은 음색이 깃들어 있는 모습이다.

Keith Jarrett
Sun Bear Concerts Piano Solo

좀 더 집중적으로 피아노 연주에서 음색, 톤 컬러, 질감을 들여다보았다. 키스 자렛의 [Sun Bear Concert] 같은 곡에서 뚜렷한 특색을 드러냈다. 스가노가 녹음에 참여했다고 하는데 확실히 배음이 삭제되지 않고 충분히 드러난다. 마치 음악마다 공연한 도시의 정취가 떠오를 정도로 섬세하며 선명한 앰비언스가 담겨있다. 단단하되 딱딱하지 않고 말랑말랑한 표면 질감을 가지고 있지만 힘없이 무너지지 않는다. 차가운 빙판을 지치기보단 적절한 잔향을 통해 온도감을 불어넣고 있는 모습. 피로감이 없어 오래 들어도 지치지 않는다.

Gary Peacock, Ralph Towner - Flutter step
Oracle

게리 피콕과 랄프 타우너가 함께 한 [Oracle] 중 ‘Flutter step’에선 명징하면서도 부드럽게 리듬을 타는 게리 피콕의 더블 베이스가 흥겨움을 더한다. 대체로 너무 부드러운 경우 페이스를 잃고 엉키기 쉬운 속인데 축 늘어지지 않고 적당한 텐션으로 조이고 풀어준다. 더블 베이스 사이를 기만하게 오가는 랄프의 12현 기타는 여유 있게 공기를 밀고 당기며 추진력과 역동감을 잘 살려냈다. 마치 손가락 사이를 유유히 빠져나가는 한 마리 물고기처럼.

Kanye West - Runaway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좀 더 역동적이며 다이내믹한 녹음을 재생해보자. 사실 현대 하이엔드 앰프들 중 투명한 음색 표현이나 정적인 순간 포착 능력이 뛰어나되 시간축 특성, 즉 물리적 움직임과 리듬감이 쳐지는 앰프들도 꽤 있다. 하지만 패러사운드는 올라운더이면서 매칭을 크게 타지 않는다. 칸예 웨스트의 ‘Runaway’ 같은 현대적인 팝 녹음에서도 중립적인 균형감 위에서 차분한 음색을 가진다. 그러나 리듬감, 페이스 & 타이밍 측면에선 수선을 떨지 않으면서도 탄력감 좋게 앞으로 추진한다. 기본적으로 스포츠카보단 패밀리 세단 같은 특성을 지닌 앰프다.

Kirill Gerstein
Gershwin: Concerto for Piano and Orchestra in F major
Gershwin: Rhapsody in Blue, Piano Concerto in F

갑자기 거대한 폭풍우가 몰아치는 듯한 앰비언스와 가속력으로 규모와 스케일, 스피드를 앞세운 앰프는 아니다. 대신 규모와 스케일보단 피로감 없이 지혜롭게 완급조절을 해내며 정돈된 무대를 촘촘히 그려낸다. 마이크로 다이내믹스가 좋지만 진공관처럼 차분한 소릿결을 만들어낸다. 음원을 마구 분석해내려고 하기보단 여유 있고 탄력적으로 움직이며 음악에 자연스럽게 빠져들게 만드는 면이 돋보인다. 무대 전/후 레이러링은 깊고 차분한 편이다. 감상자를 향해 달려 나오기보단 무대 안쪽으로 감상자를 불러들이는 힘이 내재되어 있다.


총평


패러사운드 JC 2 BP와 JC 5가 표현하는 세계는 지극히 음악적이며 더불어 충분한 힘을 겸비하고 있다. 제프 롤랜드처럼 배경을 새하얗게 지워버리지도 않으며 매킨토시처럼 중후한 맛을 전면에 내세우지도 않는다. 일렉트로콤파니에처럼 자신의 독특한 빛깔을 드러내지도 않는 중립적 토널 밸런스 때문에 쉽게 질리지도 않는다. 굳이 비교하자면 마크 레빈슨 같은 모범생 계열에 더 가깝다.

1970년대부터 마크 레빈슨과 소타, 벤데타 등 다양한 브랜드와 일하며 아날로그 증폭 관련 산업 전반을 가로질러온 존 컬의 능력은 패러사운드에서 완성을 보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음악을 중심으로 프로와 홈 오디오 등 넓은 바운더리를 경험한 그의 시간은 결국 쓸데없는 겉치장을 쏙 뺀, 담백한 하이엔드 앰프로 완결 지어졌다. 진공관과 트랜지스터 사이 그 어딘가 증폭의 무풍지대에 패러사운드가 있다. 21세기 현재 웰 메이드 앰프의 교과서 같은 존재다.

Written by 오디오 칼럼니스트 코난

Parasound JC 2 BP Specifications

Frequency Response

5 Hz - 100 kHz, +0/-3 dB

Distortion

THD: < 0.003% at 100 Hz 
THD: < 0.005% at 20 kHz 
IM: < 0.003%

S/N Ratio > 116 dB, input shorted, IHF A-weighted
> 104 dB, input shorted, unweighted
Crosstalk > 100 dB at 10 kHz
> 90 dB at 20 kHz
Gain 14 dB, maximum
L, R Gain Control Range - 10 dB
Input Impedance Unbalanced: 30k ohms
Balanced: 30k ohms per leg
Output Impedance Unbalanced: < 60 ohms
Balanced: < 60 ohms per leg
Input Sensitivity 200 mV for 1 V output
Total Gain: 14 dB
Maximum Output: 8 V
XLR Pin Identification 1 = Ground (Shield)
2 = Positive
3 = Negative (Return)
AC Power Requirement 110 - 120 V or 220-240 V, 50 - 60 Hzs
(Set AC Voltage switch on rear panel)
25 watt standby; 30 watts when turned on
Dimensions Width: 17 1/4" (437 mm)
Depth: 16" (406 mm)
Height, with feet: 5 7/8" (150 mm)
Height, without feet: 5 1/4" (133 mm)
Weight Net: 24 lbs. (11 kg)
Shipping: 36 lbs. (16.4 kg)
Rack Mount Accessory HRA 3 (May be purchased separately)
Parasound JC 5 Specifications
Power Output – Both Channels Driven 400 watts x 2, 8 Ω 
600 watts x 2, 4 Ω
Power Output – Bridged Mode  1200 watts x 1, 8 Ω 
Bridged 4 Ω operation is not recommended
Power measurement parameters are at 120 VAC 0.05% THD, RMS continuous power, 
full audio band (20 Hz - 20 kHz)
Current Capacity  90 amps peak, per channel
Slew Rate > 130 volts per microsecond
Frequency Response 5 Hz - 100 kHz, +0/-3 dB 
20 Hz - 20 kHz, +0/-0.25 dB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 0.05 % at full power 
< 0.03 % at typical listening levels
IM Distortion  < 0.04 %
TIM  Unmeasurable
Inter-channel Crosstalk  > 87 dB at 1 kHz 
> 72 dB at 20 kHz
Input Impedance  Unbalanced: 33 kΩ 
Balanced: 66 kΩ,(33 kΩ per leg)
Total Gain  29 dB
Input Sensitivity for 28.28 V Output into 8 Ω  Unbalanced: 1 V 
Balanced: 1 V per leg
S/N Ratio  > 116 dB, input shorted, IHF A-weighted 
> 111 dB, input shorted, unweighted
Damping Factor  1000 at 20 Hz
DC Trigger Requirements  +9 Vdc to +12 Vdc, 5 mA
Audio Trigger Requirements  2 mV - 10 mV
XLR Pin Identification  1 = Ground (Shield) 
2 = Positive 
3 = Negative (Return)
Dimensions  Width: 17-5⁄8" (448 mm) 
Height without feet: 7-1⁄8" (181 mm) 
Height with feet: 7-3/4" " (197 mm) 
Depth: 20" (508 mm) 
Depth with cables: 21-1⁄2" (546 mm)
Net Weight  73 lb. (33.1 kg)
Shipping Weight  90 lb. (40.8 kg)
Power Requirement  Standby: 1 Watt 
Idle (no music playing): 225 Watts 
Typical listening levels: 400 Watts 
Maximum: 1500 Watts



<저작권자 ⓒ 하이파이클럽(http://www.hificlu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태그
Parasound JC 2 JC 5 Power Amplifier BP Preamplifier

공감/비공감

 
1
안내 ?

말 많은 뉴스

  • 1

    고성능 8코어 CPU의 합리적인 선택지, 11세대 인텔 코어 i7-11700

    댓글20
    고성능 8코어 CPU의 합리적인 선택지, 11세대 인텔 코어 i7-11700
  • 2

    가변 망원 카메라와 4K HDR 120Hz 화면 탑재, 소니 엑스페리아 1 III 발표

    댓글16
    가변 망원 카메라와 4K HDR 120Hz 화면 탑재, 소니 엑스페리아 1 III 발표
  • 3

    블리자드, '디아블로2' 신작 인벤토리 확장 없다..게이머 불만 폭주

    댓글15
    블리자드, '디아블로2' 신작 인벤토리 확장 없다..게이머 불만 폭주 블
  • 4

    애플, 자체 설계한 M1 칩셋 기반의 '아이패드 프로, 아이맥' 출시

    댓글13
    애플, 자체 설계한 M1 칩셋 기반의 '아이패드 프로, 아이맥' 출시 애
  • 5

    알리 홈트템으로 몸짱이 되어보자! 우선 강인한 턱부터!!! 음? [알리에서 생긴 일]

    댓글10
    알리 홈트템으로 몸짱이 되어보자! 우선 강인한 턱부터!!! 음? [알리에서 생긴 일]

전문가 리뷰 최신 글

이전 페이지 1/10 다음 페이지
  • 냉면리뷰 시작합니다. 봉피양 평양냉면

    맛상무 18:14:58 읽음 99
  • [리뷰] 와이파이6로 진화한 기업용 메시 공유기, 넷기어 오르비 프로 SXK80

    IT동아 17:43:44 읽음 43
  • [시승기] 고성능이란, BMW M3ㆍM4 컴페티션 '유쾌 상쾌 통쾌한 질주'

    오토헤럴드 14:13:28 읽음 50 공감 1
  • [시승기] 현대차 아이오닉 5 '오늘의 자동차 아닌 내일을 위한 디바이스'

    오토헤럴드 14:12:25 읽음 40
  • 모든 게임을 풀옵으로… 명품 OLED 게이밍 노트북 ‘기가바이트 에어로 15 OLED YC (SSD 2TB)’

    뉴스탭 13:20:33 읽음 198 공감 1
  • 데이터 센터를 위한 극강의 내구성 자랑하는 SSD '인텔 DC P4610'

    뉴스탭 13:17:17 읽음 73 공감 1
  • 그동안의 전기차가 그냥 전기차였다면 아이오닉 5는...

    카랩 11:29:01 읽음 115
  • 뜨거운 감자 아이오닉5! 핫할 만 하네~ (현대차,전기차,리뷰,시승기,주행,충전) [통통테크]

    TongTong Tv 11:28:46 읽음 580
  • "맨날 서울부산 왕복할거 아니죠?" 아이오닉5(롱레인지 2WD), 주행거리 말고 따져봐야 하는 것은?(실내, 충전속도, 승차감, 카메라미러, 장단점, 가격 등)

    Motorgraph 11:27:40 읽음 109 공감 1 댓글 1
  • INSTA 360 ONE X2 vs GOPRO FUSION | 360 액션캠 양대 산맥 간단비교! | 핸드폰으로 편집 하시면 인스타 사세요.

    포켓매거진 11:18:44 읽음 187
  • 개 짖는 소리 좀 안 나게 해라!! 갤럭시 업사이클링 사용기 [4K]

    UnderKG 11:13:57 읽음 430 공감 1 비공감 1
  • RTX 3060 그래픽카드, 휴대용 데스트탑? 가성비 게이밍노트북이라 말하는, 기가바이트 G5 KC i7

    충스 11:13:08 읽음 142
  • "댐핑 수직상승???" 카오디오 스피커 절연링 달기

    Dalkicake의 야간비행 11:09:50 읽음 81
  • 니어 오토마타의 프리퀄, 니어 레플리칸트 리마스터 첫 플레이 4K

    집마 홀릭TV 11:08:55 읽음 107
  • 현대 ePit 다 되는데 테슬라만 안되는 이유는?

    오토기어 11:07:54 읽음 105
  • 휴대용 에어펌프는 과연 쓸만할까? 샤오미, 아이나비 에어펌프 VS OE 에어펌프 || [모그실험실#3]

    Motorgraph 11:07:33 읽음 105
  • 11세대 인텔코어 탑재로 파워업, HP 250 G8 363U0PC

    노트포럼 10:54:12 읽음 58
  • 따라올 수 없는 탁월한 가성비, ASUS X515JA-BQ264

    노트포럼 10:45:06 읽음 46
  • [써보니] 인텔 11세대 코어 i5-11500, 오직 가성비로 승부!

    위클리포스트 09:45:48 읽음 54
  • [솔직리뷰] 축구 국가대표 친선경기 직관해본 사람?

    데일리팝 09:16:34 읽음 36
  • [써보니] 인텔 11세대 코어 i5-11600, 성능과 가격의 합리적 절충안!

    위클리포스트 09:10:30 읽음 40
  • IPS 화질에 1ms 응답속도인데 고민할 게 있나요?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 27GN800

    기즈모 08:59:54 읽음 181
  • 최신 프로세서도 완벽 호환 'MSI MPG 코어리퀴드 K360'

    뉴스탭 21.04.22. 읽음 65 공감 1
  • 아웃라이더스 with GIGABYTE GeForce RTX 3060 Ti VISION 제이씨현 리뷰

    플레이웨어즈 21.04.22. 읽음 70
  • 청감상 10가지가 넘게 좋아졌다 Waversa Systems W LAN Isolator

    하이파이클럽 21.04.22. 읽음 64 공감 1
  • 내공과 연륜이 베인 중대형급 스피커치고는 가격이 싸다 - Dynaudio Evoke 50 스피커

    풀레인지 21.04.22. 읽음 71 공감 1
  • 진동 컨트롤에 이렇게 신경 쓴 스피커가 있었나? - Q Acoustics Concept 300 스피커

    풀레인지 21.04.22. 읽음 63 공감 1
  • 오픈형 이어폰 최고 저음! 에어팟 3세대 짝퉁 측정 리뷰

    0db 21.04.22. 읽음 61
  • 수월우 간만에 저렴한 최신작! 뉴 아리아! (New Aria)

    Producer dk 21.04.22. 읽음 195 공감 1
  • 최신 11세대 인텔® 코어™ i911900K 얼마나 빨라졌을까? (벤치마크/게임 테스트)

    다나와 21.04.22. 읽음 261 공감 2
  • RTX 3080급 고성능 PC에 어울리는 고출력 PSU, 프랙탈 디자인 아이온 골드 850W

    보드나라 21.04.22. 읽음 402 공감 1
  • 국내 유일 하이브리드 미니밴! 토요타 뉴 시에나 하이브리드 리뷰 (자동차/리뷰/시승기)

    모터피디 21.04.22. 읽음 139
  • [실험] CFExpress = SSD 라는 개인적인 결론

    Hakbong Kwon 21.04.22. 읽음 128 공감 2
  • 무게는 줄이고 성능은 높였다,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Slim5 14ALC R5

    노트포럼 21.04.22. 읽음 124 공감 1
  • [시승기] '알고 보면 정통파 픽업' 쌍용차 더 뉴 렉스턴 스포츠 칸

    오토헤럴드 21.04.22. 읽음 68
  • 초고속·대용량·안전성 조화,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10 M.2 NVMe 2TB

    베타뉴스 21.04.22. 읽음 88
  • 가뭄에 캠나듯 나오는 웹캠. 레이저 키요 프로 (KIYO PRO)

    DmonkTV 21.04.22. 읽음 1,122 공감 1
  • 미친 알리 애플워치 가죽 스트랩 판매자 고발합니다 (샵백 경유 최저가 팁)

    고나고 21.04.22. 읽음 186 비공감 1
  • “아이오닉은 이렇게 나왔어야...” 현대차 포니 전기차, 프로페시 콘셉트 전격 공개 in 현대모터스튜디오 부산

    Motorgraph 21.04.22. 읽음 1,109 공감 3 비공감 1
  • 브이로그 유튜브 카메라 추천 구입전에 꼭 봐야하는 "소니 ZV1 화이트" 상세리뷰 !

    인프제 INFJ 21.04.22. 읽음 126
  • 당근마켓 폭발하겠네? | 아이패드 프로 5세대, 아이맥 M1, 아이폰12 퍼플, 에어태그 사도될지 정해드림! (무작정 사면 피눈물;;)

    라이브렉스 21.04.22. 읽음 447
  • 16,900원 제주 흑돼지 특수부위 무한리필!!

    맛상무 21.04.22. 읽음 158
  • 네이마르가 신은 거 보고 질러 버렸습니다ㄷㄷ 퓨처 Z 1.1 FG/AG 스펙트라 팩

    Allthatboots TV 21.04.22. 읽음 231
  • 혁신은 있었다!! 애플 4월 이벤트 총정리 [4K]

    UnderKG 21.04.22. 읽음 215 공감 1
  • 고성능 인텔 프로세서를 위해 태어난 'ASUS PRIME Z590-A 코잇'

    뉴스탭 21.04.21. 읽음 1,046 공감 2 댓글 1
  • [리뷰] 포켓몬 진화 느낌인가? 도탑전기->그랑삼국->삼국지혼

    게임동아 21.04.21. 읽음 63
  • 애플, 내 통장을 다 털어갈 셈이야?

    주연 ZUYONI 21.04.21. 읽음 1,740 공감 3 비공감 4 댓글 7
  • [더기어리뷰] 디즈니플러스, 6월 한국상륙?

    더기어 21.04.21. 읽음 202 공감 1
  • [리뷰] 만지고 싶은 외장 SSD, 씨게이트 울트라 터치 SSD

    IT동아 21.04.21. 읽음 2,628 공감 7 비공감 1 댓글 5
  • [리뷰] 아름다운 인테리어 소품, 하만카돈 사운드스틱 4

    IT동아 21.04.21. 읽음 127
  • [낙찰 공개] 마이크로닉스 WARP GX1 M.2 NVMe (512GB)

  • 4월 29일(목) / COX D200 강화유리 (화이트)

  • ALSEYE M120 SE AUTO RGB

  • STCOM
  • 명성 인텔
  • AONE
PC버전 로그인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센터
(주) 다나와
대표이사:
손윤환, 안징현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1, 501 (목동, 드림타워) (우) 07995
  • 사업자번호:
    117-81-40065
  • 통신판매업:
    제2004-서울양천-00918호
  • 부가통신사업:
    제003081호
  • 고객센터:
    1688-2470
  • 이메일:
    cs@danawa.com
  • 사업자 정보확인
  • 이용약관
  • 책임의 한계
  • 청소년 보호정책
뒤로
맨위로 이동TOP 새로고침

안내

레이어 닫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 비공감 버튼을 눌러 글과 댓글에
여러분들의 의견을 주저없이 표현하세요!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적립됩니다.

포인트 안내
Dpg 본문간 이동 왼쪽으로 밀어서 이전 글을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으로 밀어서 다음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목록
공감 1
비공감
댓글
공유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 카카오톡
  • 라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http://dpg.danawa.com/mobile/news/view?boardSeq=62&listSeq=4639783&share=directurl 복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