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가 아랍에미리트(UAE)와 체결 예정이던 수십억 달러 규모의 엔비디아 인공지능(AI) 칩 판매 계약을 보류했다. 표면적인 이유는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 우려다. 이번 조치는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이 중동 지역까지 확산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월스트리트저널이 16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5월 중동 순방 중 해당 협정을 강력히 지지했고, 엔비디아와 UAE 정부 모두 신속한 계약 체결을 기대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 내부 일부 관료들이 중국이 미국의 첨단 AI 기술에 접근할 가능성을 제기하며 반대에 나섰고, 결국 협정은 제자리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가장 큰 쟁점은 UAE에 본사를 둔 AI 기업 'G42'의 칩 접근 권한이다. 원래 협정에 따르면 G42는 전체 공급 물량의 20%를 확보할 예정이었지만, 미국 측은 해당 기업이 중국과 기술적 연결 고리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문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상무부는 현재 G42행 칩에 대한 수출 승인 계획을 보류 중이며, 향후 상황에 따라 입장을 재조정할 가능성도 있다.
협상에 정통한 관계자들은 미국 측이 제기한 안보 우려를 해소할 추가 조건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한 협정 체결은 어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측은 G42가 칩에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이는 중동 지역 AI 산업의 성장을 억제하는 결정이 될 수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 대변인은 "아랍에미리트와의 거래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낙관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유세프 알 오타이바 주미 UAE 대사도 성명을 통해 "이번 협정은 양국에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다수의 협상 당사자들은 시간이 걸릴 뿐 거래는 결국 성사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계약 지연이 장기화하면서 미국 정부 내에서 이견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해외 AI 사업 확장을 노리는 엔비디아를 포함한 실리콘밸리 기업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는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과 만나 이번 거래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지연 사태가 중국 기업들에게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중국의 화웨이가 중동 AI 시장 진출을 노리는 상황에서, 미국의 유보적 태도는 오히려 전략적 공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 정부는 이번 사안을 통해 기술 수출 통제와 국가안보 사이의 균형이라는 난제를 다시 한번 맞닥뜨리게 됐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월스트리트저널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엔비디아
AI Matters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