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기준으로 파워를 구입해야할까? 제조사, 가격대 혹은 출력 수치? 우선 파워의 제조사를 선택하기에 앞서서 컴퓨터를 구성하는 주변기기 중에서 가장 많은 소비전력을 소비하는 2가지의 제품을 이해해야한다. 우선 프로세서, 프로세서는 3, 5, 7, 9 정도의 등급으로 구분 판매가 되고 있는데 높은 숫자일 수록 많은 숫자의 코어, 높은 작동 속도 등으로 소비전력역시 증가된다. 프로세서 제조사에 따라 조금은 차이가 있지만 최고 등급 프로세서의 경우 200 ~300 W 대 전력을 소비한다고 볼 수 있다. 이어서 두번째는 바로 그래픽카드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를 기준으로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8핀 12V 커넥터와 12V 2x6 커넥터의 차이로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 지포스 RTX 5060 Ti : 최대 약 180W (4K 게이밍 환경시)
● 지포스 RTX 5070 : 최대 약 250W (4K 게이밍 환경시)
● 라이젠7 9800X3D : 최대 약 260W (프로세서 렌더링 작업시)
● 라이젠7 7800X3D : 최대 약 250W (프로세서 렌더링 작업시)
즉 다시 한번 정리를 하자면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혹은 구성하고자 하는 프로세서 & 그래픽카드의 소비전력 기준으로 자신이 파워의 용량을 역산으로 구입하면 된다.

▲ ETA 의 출력 표기 기준표 (출처 : 나무위키)
ETA 는 80Plus 의 상위 호환적인 최근 파워의 출력 표기 방식으로 이와 더불어서 팬의 작동 소음 등을 측정하는 LAMBDA 등을 포함하여 출력 및 작동 소음을 측정한다. 로드기를 통한 실제 상온은 약 30도 정도에서 측정이 되는데 로드기를 통해 테스트 하기 전에 80W 정도의 출력을 걸어서 워밍업을 한 후 실제 테스트가 진행된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230V 입력 단을 활용하게 되면 실버 등급은 전체 로드 구간 에서 87 % ~ 89% 사이에 수렴하게 되면 해당 등급을 분류된다. 오늘은 ETA 실버 등급을 받아 새롭게 리뉴얼 된 파워인 마이크로닉스 쿨맥스 포커스 II 800W ATX 3.1 이다. 과연 이 제품이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 간략 스펙 : ATX 파워/800W/ETA인증: SILVER/LAMBDA인증: STANDARD+/ +12V 싱글레일/+12V 가용률: 100%/ 액티브PFC/PF(역률): 99%/ 120mm 팬/깊이: 140mm/무상 5년/ [커넥터] 메인전원: 24핀(20+4)/ 보조전원: 8핀x1, 4핀x1/ PCIe 16핀(12+4): 12V2x6 1개/ PCIe 8핀(6+2): 2개/ SATA: 5개/ IDE 4핀: 3개/ [부가기능] 대기전력 1W 미만/플랫케이블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악세서리는 전원코드, 설치설명서/보증서 및 케이스 고정용 나사와 케이블 타이 등을 동봉하고 있었다.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은 모듈러 방식이 아닌 우리가 흔히 보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파워 형태를 취하고 있다. 외부적인 규격은 인텔이 만든 ATX 규격이다.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에는 후면 쪽에 타공되어 있는 스틸로 마감이 되었으며 전원 커넥터 (포트) 및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갖고 있다.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내부에서는 120mm HDB 쿨링 팬을 탑재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제로-팬 모드를 지원하며 앞서 설명을 했던 소음 평가 기준인 LAMBDA 기준을 만족하는데 최대작동시 35db과 40db 내의 소음에 수렴한다. 그 만큼 전체적인 출력 외에도 소음 적인 부분에서도 믿고 살 수 있다.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에는 24핀 표준 커넥터, 메인보드 연결용 12V 8핀 커넥터, 그래픽카드 연결용 12V 8핀 커넥터 및 12V 2x6 커넥터 하나 그리고 IDE, SATA3 커넥터 등을 제공한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다.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의 메인보드 연결은 24핀 표준 커넥터 하나와 전원부에 직결이 되는 12V 4 + 8핀 이렇게 제공이 되는데 메인보드 특히나 많은 전원부를 갖고 있는 메인보드들이 12V 8 + 8핀 규격인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이 파워를 물리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에는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70 그래픽카드 이상 급에서 사용할 수 있는 12V 2x6 커넥터를 제공하며 이 때 사용된 케이블은 최대 105도 까지 견딜 수 있는 고품질의 케이블 (와이어)가 사용되었다.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에 예전 그래픽카드 혹은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60 Ti 이하의 그래픽카드는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는 12V 8핀 커넥터로 연결되는 2개가 브릿지 방식으로 연결되어서 처리가 되어 그래픽카드에 2개의 12V 8핀 커넥터가 있는 제품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에는 요즘 조금 사용 빈도가 떨어지고 있는 SATA 커넥터, IDE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SATA 커넥터의 경우는 5개 그리고 IDE 커넥터는 3개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 260W & 250W = 510W 50~60% 구간에서 최대 효율
오늘 소개한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는 80Plus 보다 엄격한 규격인 전력 효율 인증인 ETA, 소음 인증 기준인 LAMBDA, 이 두가지 항목을 실버 등급에 해당되는 제품이다. EAT 보다 하위 기준이라볼 수 있는 80 Plus 의 기준 효율은 50 ~60% 출력을 낼 때 가장 안정적이며 낮은 소음 및 발열을 낸다. 다시 이야기 하지만 최고의 효율을 내는 차로 이야기를 하면 최고의 연비를 내는 구간이다.
그래서 800W 정도 정격 출력를 낸다면 400 ~ 500W 정도의 출력 만을 계속 적으로 사용할 때 앞서 설명을 했듯이 최고의 효율을 내게 된다. 그래서 기사의 서두에서도 언급을 했던 그래픽카드 지포스 RTX 5070 의 약 250W 정도이 소비전력과 라이젠7 9800X3D 프로세서의 260W 정도의 소비전력을 생각하면 약 510W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그래서 이 구간에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는 파워는 800 ~ 850W 대 출력을 가진 제품이며 오늘 기사를 통해 소개한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가 딱 그 범위에 맞아 떨어지는 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 조금 더 성능을 낼 수 있는 지포스 RTX 5080, 혹은 RTX 5090 를 사용할 수도 있게 되겠지만 차로 다시 예를 들자면 엔진의 최대 RPM 으로 엔진을 꾸준하게 작동을 시키는 상황이 연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파워의 전체적인 수명이 줄고 발열 등을 동반하게 된다. 그래서 가능하면 그 정도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1000 ~ 12000W 대 정도의 파워를 구입하는 것이 보다 긴 사후 보증 기간을 제공하기도 해서 그게 더 가성비 적으로 좋다. 마이크로닉스 COOLMAX FOCUS II 800W ETA실버 ATX3.1 파워는 프로세서를 기준으로 보면 7 등급이 제품과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70 정도의 게이밍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가성비 좋은 그리고 보다 높은 ETA 실버 등급을 제공하는 가성비 높은 제품이다. 이 제품은 다나와 네이버, 및 컴퓨존 등에서 79,900원 의 가격으로 판매가 되고 있으며 5년 간의 긴 사후 보증 기간을 갖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