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형, 삼성 블루레이 플레이어 3종 비교 가이드 |
||||||||||||||||||||||||||||||||||||||||||||||||||||||||||||||||||||||||||||||||||||||||
삼성전자는 2012년형 블루레이 플레이어 3종을 출시했다. 모델명은 각각 BD-E5500, BD-E5900, BD-ES6000으로 신상 모델은 공통적으로 3D 블루레이 재생과 스마트 기능을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12년형 모델 3종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세부 부가기능, 무선랜 내장탑재의 유무와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가 광축(옵티컬), 동출(코엑셜) 차이다. 그럼 올해 출시한 삼성전자 블루레이 플레이어 3종의 차이점으로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AllShare² : 삼성에서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서비스로 모든 전자 제품의 콘텐츠를
*WiFi Direct³ : 무선공유기를 거치지 않고 두 기기를 무선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기능
[ 삼성전자 BD-E5500 ] 삼성전자 BD-E5500은 10만원대 초반에 구입이 가능한 보급형 모델이다. 가격이 저렴한 만큼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빠진 모델이다. 하지만 유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보급형 모델임에도 3D 블루레이 재생이 가능하며, 디빅스 플레이어와 차이 없는 동영상 재생 능력이 자랑한다. USB 단자를 통해 메모리나 외장하드에 담긴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고 AVI, MKV 등의 확장자와 H.264, WMV의 코덱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부족함 없는 동영상 재생 능력을 보여준다. 음성 사운드 코덱도 DTS 라이센스로 인해 큰 제한 없고, AAC 코딩파일도 멀티채널 리니어 PCM으로 문제없이 변환되어 출력된다.
[ 삼성전자 BD-E5900 ] 삼성전자 BD-E5900 모델은 BD-E5500 모델과 성능이나 디자인에서 큰 차이는 없지만 내장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추가되어 번거로운 선 연결 없이 인터넷 및 DLNA 기능 이용하여 편리하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스마트 기능이 이용시 PC화면과 같은 인터넷창인 풀브라우징 기능이 있어 쉽게 인터넷 서핑이 가능합니다.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 선택해야 하는 모델이다. 그 밖에 포맷이나 코덱의 재생능력은 BD-E5500 모델과 동일하다.
[ 삼성전자 BD-ES6000 ] 삼성전자 BD-ES6000 모델은 앞서 소개한 BD-E5900 모델과 거의 동일한 스펙을 갖추고 있지만 외관에서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먼저 크기는 디빅스 플레이어 같은 콤팩트한 사이즈다. E5900 모델과 차이점은 BD-E5900 모델은 CD 및 블루레이 타이틀을 넣기 위한 트레이가 나왔가가 들어가는 방식이고, ES6000 모델은 트레이가 필요없는 슬롯인 방식이다. 또한 E5900 모델은 디지털 오디오 출력단자가 코엑션인 반면, ES6000 모델은 코엑셜 대신 옵티컬 단자를 갖췄다. 작은 크기로 인해 12V DC 어댑터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어댑터 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