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 UHD와 같은 고해상에서 게임을 하고 싶어요. 좋은 방법 없을까?'
평소 PC 게임을 좋아하는 게이머라면 누구나 최고의 해상도에서 실감나는 게임을 즐기고자 할 것이다. 하지만 4K 이상의 해상도에서 게임을 원활하게 구동하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는 고가의 그래픽카드, 예컨데 AMD 라데온 RX6750 XT 이상의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게다가 4K 해상도에서 그래픽 옵션을 조금이라도 높이면, 그에 반비례해 프레임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게임을 제대로 플레이하기 힘들다. 100만원 대를 훌쩍넘는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를 사용한다면 해결될 문제이지만, 현실적으로 부담이 되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AMD가 최근 발표한 RSR 기능을 이용한다면, 중보급형 그래픽카드에서도 4K 해상도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그것도 소프트웨어를 통한 간단한 설정만으로 대부분의 PC 게임에서 구현이 가능하니, 게이머의 입장에서는 충분히 환영할 만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과연 게이머들의 찬사를 받고 있는 AMD RSR 기능이란 무엇이고, 설정 방법과 실제 프레임 차이는 어떤지 게임을 통해 알아봤다.
![]() |
||
라데온 사용자라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RSR 기능
AMD는 지난 3월 AMD 소프트웨어 아드레날린 에디션 (Adrenalin Edition) 22.3.1을 배포하면서, 동시에 RSR(Radeon Super Resolution) 기술을 발표해 전 세계 게이머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AMD RSR이란 중보급형 그래픽카드에서도 간편하게 4K 등의 고해상도를 구현하는 업스케일링 기술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하드웨어의 성능과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 |
||
이러한 업스케일링은 이전부터 존재해왔는데, 지정된 게임을 통해서만 구현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다수의 게이머가 이용하기에는 제약이 있었다. 대표적인 업스케일링으로 AMD가 선보인 FSR (FidelityFX Super Resolution) 기술을 꼽을 수 있다.
지난 해 발표된 FSR 역시 RSR과 마찬가지로 게임의 해상도를 높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AMD의 라데온 그래픽카드는 물론 지포스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호환성 면에서 상당히 뛰어난 기술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게임에서 FSR을 지원해야지만, 활성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의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참고로 FSR 기능을 지원하는 게임으로 사이버펑크 2077이나 더트5, 파 크라이6, 도타2, 갓오브워 등이 있다. FSR 지원 게임에 대한 목록은 AMD 홈페이지(https://www.amd.com/ko/technologies/radeon-software-fidelityfx-supported-games)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
||
반면 RSR 기능은 FSR과 달리 전체 화면 모드가 지원되는 대다수의 게임에서 사용이 가능해 범용성이 매우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게임의 미지원으로 FSR 기능을 사용하지 못했던 사용자도 RSR을 통해 업스케일링이 가능해진 것이다.
물론 약간의 품질 차이는 있다. FSR와 RSR의 기본 알고리즘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기능적 차이는 적지만, 화질 면에서는 FSR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FSR은 게임 개발사가 이미지 업샘플링 후 오버레이를 적용하는 방식을 거치는 반면 RSR은 드라이버만으로 해상도를 높이는 기능이기에 화질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 |
||
하지만 그 차이가 화면을 확대해서 봐야 구분이 가능할 정도로 미비하고, 실제 게임을 진행하는데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는 점에서 안심해도 좋다. 오히려 4K로 게임은 즐길 수 있고, 프레임까지 높게 유지할 수 있다는 강점은 화질에 대한 아쉬움을 떨치기에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 |
||||||||
▲ 오버워치_FHD Native
|
RSR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라데온 RX5000 / RX6000 시리즈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PC를 사용해야 한다. 최근 해당 그래픽카드의 인기가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RSR의 사용자 또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단 FSR과 RSR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오히려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상황에 따라 원하는 기술을 적용하면 된다.
![]() |
||
RSR은 사용 방법 또한 매우 간단하다. 먼저 드라이버를 실행한다. 설정 메뉴에 들아가 RSR 기능을 활성화하고, 해상도를 모니터의 해상도보다 낮추기만 하면 된다. 평소 PC에 관심이 없는 초보자라 할지라도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편리하게 4K 해상도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 |
||
![]() |
||
![]() |
||
![]() |
||
![]() |
||
실제 FHD로 구동했을 때와 RSR 기능을 활성화해 업스케일링이 적용됐을 때 어느 정도의 성능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게임을 구동한 후 프레임을 측정해봤다. 테스트에는 현재 그래픽카드 시장에서 날로 인기를 더해가고 있는 AMD 라데온 RX 6600와 최강의 가격대비 성능을 갖춘 라이젠5 5600 프로세서를 사용했다.
![]() |
||||||||
▲ 배틀그라운드_FHD Native
|
먼저 배틀그라운드에서 Native FHD 구동 및 RSR 기능 활성화 시 차이에 대해 알아봤다. RSR 활성화 시 평균 프레임은 142.8점, 네이티브 FHD 플레이 시 평균 프레임은 118.5점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여줬다. 마찬가지로 1% LOW 결과도 양쪽이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
![]() |
||
![]() |
||
'AMD RSR'은 최신 라데온 그래픽카드 사용자라면 누구나 드라이버의 설치만으로 게임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FSR과 기술적으로는 동일하지만, FSR이 게임에 따라 실행 여부가 결정되는 반면 RSR은 거의 모든 게임에서 돌릴 수 있어 비슷하지만 다른 기능으로 불리기도 한다.
게이머의 입장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중보급형 그래픽카드에서도 4K 이상의 높은 해상도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은 더할나위 없는 특징이 될 것이다. 여기에 몇 번의 클릭만으로 간편하게 설정이 가능해 PC에 익숙치 않은 초보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만일 그래픽카드의 선택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유저라면, RSR 기능으로 게임의 즐거움을 높여주는 최신 라데온 그래픽카드가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뉴스탭(http://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