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흥사마입니다.
PC 게임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정보, 아쉬운 정보가 동시에 발표 되었습니다.
바로 NVIDIA의 차세대 그래픽카드! RTX 4000번대 라인이죠!
전작 3000번 대에 비해 높아진 성능이라는 점은 매력적인 정보였는데요, 다만 환율로 인해 전작 대비 가격이 높아진 부분은 아쉬운 점이 아닐까 싶어요!
그래도 새로워진 제품인 만큼 사용해보고 싶은 욕심은 누구나 드실 거란 생각이 드는데요,
얼마 전에 출시된 따끈따끈한 신상을 만나보게 되었습니다.
ASUS ROG STRIX GAMING RTX 4080 OC D6X 16GB 모델로 글 쓰는 현재 다나와 최저가 1,983,000원인데요, 지금부터 자세히 만나보도록 하죠.
거대한 박스와, 무게가 저를 설레게 만드네요!
구성품부터 만나볼까요? RTX4080 그래픽카드 본체와 12VHPWR(12+4핀, PCIe 8핀 4개)케이블, asus 시그니처 케이블 타이, 종이 재질의 스마트폰 거치대, 그래픽카드 지지대 겸 드라이버, 설명서 등으로 구성됩니다.
그래픽카드 지지대의 경우 카드의 거대해진 크기와 무게로 인해 기본 제공되는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그래픽카드 측면에 연결할 수 있는 부분이 준비되어 있으나, 기본 제공되는 지지대의 다소 심심한 디자인으로, 호불호가 갈릴 것 같네요.
ASUS ROG Strix GeForce RTX 4080 OC 크기가 정말 어마어마합니다.
ASUS RTX4090과 동일한 외형과 쿨링 솔루션을 적용했거든요! 게다가 자체 설계 PCB, 팩토리 OC적용으로 강력한 성능을 보여줄거라 보이네요!
그래픽카드 크기를 살펴 볼까요?
길이는 약 357mm, 높이는 약 149mm이며, 두께는 약70mm로 약 4슬롯을 차지할 정도로 크기가 상당하기 때문에 자신이 사용하는 케이스, 메인보드 확인은 필수입니다.
특히 무게 또한 약 2.4kg이니 그래픽카드 휨이나, 메인보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대도 가능하면 함께 사용하는게 좋겠죠?
기존에 사용하던 끝판왕급 RTX3080Ti 모델과 외관을 살짝 비교해봤는데요,
어마어마하게 크다고 생각했던 RTX3080Ti가 애기? 동생처럼 보이네요! 그만큼 4천 번대 시리즈의 크기와 두께가 어마어마합니다
디스플레이 출력 포트는 ASUS 제품 답게 넉넉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DP 1.4a단자 3EA, HDMI 2.1단자 2EA로 구성되어, 다양한 기기와 연결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보다 유리한 구성이죠.
쿨러 전면에는 레드, 블루의 조합으로 독특한 스타일로 제작되어 있는데요, 마치 태극모양처럼 보이기도 하네요!
LED는 기존에 보던 것과는 다른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측면과 끝부분에 영롱하게 빛을 내어주네요.
실제 태극 모양으로 LED 탑재와 건곤감리를 적용하여 출시되면 상당히 멋스러울 것 같습니다! (그냥 제 생각이랍니다)
쿨러는 전면에 3개의 105mm팬이 탑재되어 있는데요, 중앙팬과 좌우 2개의 팬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이 적용되어 내부의 열을 빠르게 식혀줍니다.
그래픽카드 사용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듀얼 바이오스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성능 모드, 저소음 모드 설정이 가능합니다. 성능의 경우 드라마틱한 차이는 없으니, 성능과 발열 관리를 중시 하시는 분들에게는 성능모드, 소음을 최소화 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저소음 모드로 세팅하세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이번 지포스 RTX 4080에는 AD103-300-A1 GPU 칩셋(9728CUDA)이 탑재되었으며,
TGP 320W로 출시 되었습니다!
상위 라인인 RTX 4090의 450W보다는 낮지만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닙니다.
또한 오늘 소개해드리는 제품의 경우 OC 제품이라 전력 사용량은 물론 발열도 높을 수 밖에 없는데요, 어마어마한 두께의 히트싱크와 내부에는 8mm 히트파이프 4개, 6mm 히트파이프 3개가 적용되어있는데요, 상위 라인업인 RTX 4090과 동일하니 그래픽카드 발열 걱정은 크게 안하셔도 좋을 것 같네요!
4080라인임에도 풀칩이 아니라는 아쉬움이 있긴 하지만, 최신 프로세서 답게 성능은 대폭 강력해졌는데요, 실제 성능은 어떤지, 온도는 어떤지 지금부터 자세히 만나보겠습니다.
TEST 시스템 사양!
CPU : AMD RYZEN9 7950X
메인보드 : ASUS TUF GAMING X670E-PLUS
GPU : ASUS ROG STRIX GAMING RTX 4080 OC D6X 16GB
RAM : SAMSUNG DDR5 64GB 4800(32GB * 2)
SSD : SEAGATE FIRECUDA 530 NVMe 2TB
POWER : 1050W
그래픽카드 벤치 마크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3D MARK 결과부터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원조라고 할 수 있는 Fire Strike Score입니다!
그래픽 스코어 61,545점으로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여주네요!
다음은 Time Spy 점수입니다.
그래픽 점수 28,562점입니다. 역시나 매력적인 점수를 만나볼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그래픽카드를 제대로 갈궈주는 Time SPY Extreme Score 측정도 해보았습니다!
그래픽 점수 14,359점을 보여주었으며, 시스템 사용 전력양은 480~550W를 넘나들더라고요!
그렇다면 그래픽카드 온도는 어땠을까요?
아이들시 GPU 최고 온도는 약 37도! GPU 핫스판 온도 42.8도 였는데요,
Time SPY Extreme 벤치로 빡시게(?)돌렸을 때 최고 온도는 GPU 61.2도, 핫스판 옷도 75.2도로 상당히 양호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소음 또한 거슬리지 않았고요.
실제 게임 성능을 살펴보겠습니다!
FHD, QHD, UHD 해상도별 프레임과 시스템 전력값 어떤지 비교를 준비했습니다.
참고로 현재 시스템은 오버나 언더볼팅 없는 순정 상태임을 참고하고 봐주시기 바랍니다.
가장 먼저 테스트해본 게임은 마이크로소프트 포르자 호라이즌5입니다.
4K 해상도에서 최소 프레임이 78로 측정되었습니다.
다만 벤치 환경에서 GPU 사용율이 약 60~70% 정도 였으며, 사용 전압 역시
최대 300W로 낮게 측정 되었네요!
게임 최적화 문제로 GPU 로드율을 100%로 끌어내지 못하였는데도 불구하고, 4K해상도로도 즐기는데 부족함이 없었습니다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입니다.
전력 사용량을 보시면 호라이즌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걸 아실 수 있죠?
게임 해상도 설정별로 전압차이가 상당합니다!
전기 절약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해상도를 낮춰서 플레이 하는것도 좋아보이네요.
FINAL FANTASY XIV ENDWALKER 해상도별 점수 차이입니다.
사용 전력 역시 역시 툼레이더와 크게 차이나지 않더라고요.
RTX 3000번대 에서 4K 정복은 어려웠는데요, RTX 4000번대 에서 4K 정복에 성공했네요!
4080 가격은 살짝 부담스럽긴 하지만, 성능은 확실한 것 같네요!
이 정도 성능이라면 업그레이드 도전해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단! 사용 전력이 높아졌기 때문에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를 하시려는 분들, 새로 컴퓨터를 조립하시려는 분들이라면 파워도 넉넉하게 준비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CPU에 따라 다르긴 하나 최소 750~850W 이상의 제품은 사용하셔야 할 거란 생각이 들고요, 가능하다면 보다 높은 전압의 파워를 사용하시길 추천 드리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