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폰으로 계속 음악을 듣다가(애플 아이팟3, 사운드코어 리버티3 프로) 간만에 헤드폰을 사 봤습니다. 물론 가격대가 높은 소니나 보스,애플 제품을 구입할 수도 있었으나 제 귀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도 해 볼 겸, 또 기존에 쓰던 리버티3 프로가 워낙에 가격대비 만족도를 줬기 때문에 '믿고 쓰는' 앤커 사운드코어 브랜드를 다시 한번 선택을 했습니다. 사진과 함께 제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품의 패키징은 가격에 비해서 상당히 단단한 느낌이며, 박스 재질도 단단하고 비닐로 밀봉도 되어 있어 신뢰감을 줍니다. 박스에는 ANC(Active Noise Cancelation, 소음 감소 기능), Hi-Res Audio(고음질 인증) 로고 등이 표기되어 있으며, 오른쪽 구석에는 최대 98%의 소음 감소와 50시간의 재생시간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박스는 옆으로 들어 올리던 리버티3 프로와 달리 위와 아래를 완전히 분리하는 전형적인 박스 형태입니다. 이어팁과 이어윙 같은 액세서리를 제공하지 않아도 되니 굳이 옆으로 들어 올리는 패키징을 할 필요는 없었을 겁니다. 단가 문제도 있고 말이죠.

박스 옆면에는 구성품이 그림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헤드폰, USB A to C 케이블, 3.5 mm 유선 케이블, 여행용 케이스가 들어 있다고 하네요.

박스 내부에는 덩그러니 흰색의 커다란 헤드폰 케이스가 들어 있습니다. 흰색이고 가운데 soundcore 로고만 박혀 있는 심플한 구성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상당히 인상적이었어요. 물론 박스 내부에 헤드폰 케이스를 고정시켜 줄 만한 골판지 같은 게 없는 건 의외였지만 그래도 박스를 거의 가득 채우는 흰색의 헤드폰 케이스는 별다른 치장이 없어도 충분히 예뻐 보이더군요.

헤드폰 케이스를 들어 올리면 박스 아래에 퀵 스타트 가이드가 들어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헤드폰의 구동법 등이 적혀 있습니다. 하지만 헤드폰의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고, 터치식이 아니라 물리 버튼이어서 작동도 그리 어렵지 않은 데다가 사운드코어 앱이 상당히 잘 만들어져 있어서 실제로 가이드를 볼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페어링 방법 등이 낯선 분들은 반드시 살펴보셔야 할 겁니다.

흰색의 헤드폰 케이스는 생각보다 큽니다. 그래서 여행용이라곤 하지만 실제로 들고 다니기엔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사이즈가 조금은 작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이고, Q45의 가장 큰 단점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냥 박스에 넣어 놓고 헤드폰을 목에 걸고 다니거나 백팩에 그냥 넣고 다니는 걸 선택했습니다.

사실 휴대용 케이스의 크기가 크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공간을 허투루 낭비해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케이스를 열어 보면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거의 여백이 없이 가득 차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패드가 크고, 접는 방식이 저게 최선이기 때문이겠지요. 패드의 면적을 줄이는 방법보다는 두께를 줄이는 게 그나마 부피를 줄이는 데는 더 큰 효과가 있어 보입니다. 두께를 줄이면 번들 케이블을 헤드폰 아래 공간에 숨길 수 있고, 그 공간만큼 케이스의 크기와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번들 케이블의 품질은 그리 썩 좋아 보이지는 않습니다. 저는 PC를 사용하지 않고 있어서 USB A to C 케이블보다는 C to C가 더 요긴한데(물론 PC로 충전하시는 분들은 A to C가 좋으시겠지만요) 언제까지 A TO C를 제공할지 모르겠습니다. 3.5mm 케이블은 그냥 무난합니다. 다만 Q45를 유선으로 연결하셔서 듣는 것은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유선으로 연결하니 음질이 정말 후덜덜하게 떨어지더라고요.

스페이스 Q45는 전반적으로 두툼합니다. 머리 쿠션에서부터 패드, 패드 바깥쪽에 있는 헤드 부분까지 모두 두툼합니다. 그러니 휴대용 케이스를 휴대하기 어렵게 만들었던 것 같습니다. 굳이 저렇게까지 두껍게 만들 필요는 없지 않을까 싶다가도 두께를 조절하면서 동일한 쿠션감을 제공하려면 그만큼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겠지 하고 자문자답을 하게 되더군요.
착용감은 꽤 괜찮네요. 요다 현상이 있을까 걱정도 하고, 정수리가 불편하다는 말이 꽤 있어서 착용감에 대해서 걱정을 했는데, 실제 착용해 보니 다행히 제 머리에는 큰 문제가 없네요. 근데 4~5시간 정도를 착용하고 있다가 밥을 먹으면서도 헤드폰을 안 벗으니까 헤드폰의 압박감 때문에 턱관절이 다소 불편한 느낌은 있습니다. 그래도 뭐 아프거나 하지는 않아서 그냥 쓰고 먹을 수 있을 정도는 됩니다. 스펀지가 충분히 말랑말랑해서 그런 것 같아요. 스펀지가 지금보다 딱딱했으면 좀 불편했을 것 같기는 합니다.

헤드폰 각 유닛에는 방향 헷갈리지 말라고 정말 커다랗게 L, R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건 정말 만족스러운데, 착용감지 센서가 빠진 건 좀 아쉽습니다. 헤드폰을 머리에서 벗을 때마다 왼쪽 아래에 있는 전원 스위치를 눌러 줘야 하는 건 많이 불편합니다.

왼쪽 유닛에는 노이즈 캔슬링(노이즈캔슬링-주변소리듣기-기본 순서) 버튼, 동작 상태를 보여 주는 LED, 전원버튼, USB C 단자가 위치해 있습니다. 전원은 약 2~3초 정도 눌러야 꺼지고 켜집니다. 오동작을 막기 위해 길게 누르게 되어 있는 것 같네요. 그리고 노이즈캔슬링 버튼을 두 번 짧게 누르면 앱을 거치지 않고 저음 강조 모드(Base Up)를 켤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는 볼륨 업/다운 버튼, 플레이/멈춤 버튼, 이어폰 단자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왼쪽보다는 손이 덜 가는 버튼들입니다. 왼쪽 헤드와 마찬가지로 주변 소음과 목소리를 듣기 위한 마이크 구멍이 보입니다.

헤드쿠션은 상당히 물컹거립니다. 그리고 한 번 손가락으로 꾸욱 누르면 저렇게 한참을 눌려 있습니다. 그렇다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아마도 반발력이 심하면 오랜 시간 착용 시 머리에 압박을 심하게 주기 때문에 저렇게 쉽게 눌리는 재료를 사용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오랜 시간을 착용해도 머리에 압박은 확실히 덜합니다.

LED는 USB 케이블을 연결해서 충전하면 붉은색, 사용을 하기 위해 전원 버튼을 누르면 파란색으로 빛납니다.

사용을 위해 맥북에어에 페어링을 하고 있는 화면입니다. 스페이스 Q45는 멀티포인트를 제공하고 있어서 두 대의 기기를 오가면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맥북에어에서 음악을 듣다가도 페어링을 해 놓은 아이폰으로 전화가 와서 통화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전환이 됩니다. 에어팟 시리즈만큼은 아니더라도 꽤 만족스러운 전환 속도를 보여 줍니다.

스페이스 Q45가 연결이 되었고, 남은 전력량이 70%라고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어폰과 달리 재생 시간이 엄청 길기 때문에 70%만 하더라도 35시간입니다. 최대 50시간의 사용시간을 제공하는데, 노이즈캔슬링을 켜더라도 40시간 이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헤드폰으로 교체 후 가장 만족하는 부분이 충전에 대한 압박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배터리 시간이 긴 이어폰이라 하더라도 실 사용 가능 시간은 기껏해야 5~6시간 내외니까요.
여기까지 하고 나머지는 원문으로 보세요.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