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반하 꽃 - 2019년 7월초 부산 천마산 (초장동, 해발120)
택사목 천남성과 천남성족 반하속 대반하종의 외떡잎 속씨식물이고 여러해살이 풀
원산지 : 한국
반하 다른 이름 : 끼무릇, 꿩의무릇, 꿩의물구지, 과무웃, 꿩의밥, 제비구슬, 며느리목쟁이,
소천남성, 반하(반半여름夏), 화고(화할和시어미姑, 본초강목), 삼엽반하(三잎葉-, 중약대사전),
양안반하(양羊눈眼-), 지주반하(地구슬珠-), 주반하, 지문(땅地글월文), 수옥(물水구슬玉),
지자고, 지자여, 야우두, 구우두, 노괄두, 지파두, 무심채근(無心나물菜뿌리根). 노괄근,
마우자, 마초자, 지뇌공, 열도채 등
생약명 반하 : 구형의 반하의 덩이뿌리
맛이 맵고 쓰며, 성질은 생것은 약간 차고 익은 것은 따뜻하고 큰독이 있다고
7~9월에 채취해 흙을 깨끗이 씻고 껍질을 깐 다음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에 쬐어 말린다고 (중약대사전)
독이 있는 반하의 법제법
법반하 : 반하, 백반, 감초, 석회, 물, 그늘, 햇볕을 이용해
적량과 적기간, 적절한 방법으로 법제한 반하
강반하 : 반하, 생강, 백반, 물, 그늘을 이용해
적량과 적기간, 적절한 방법으로 법제한 반하
청반하 : 반하, 백반, 물, 그늘을 이용해
적량과 적기간, 적절한 방법으로 법제한 반하
반하는 폐, 위, 간, 비장(지라)에 작용한다고
습을 없애고 가래를 삭이고, 치밀어 오른 기를 내리고,
구토를 멎게하고, 뱃속에 엉기고 결린 것이나 담을 푸는 효능,
만성구토로 죽이나 약을 먹지 못하는 증상, 기미는 있으나 구토 못할 때,
기침, 가래, 거담, 복부팽만과 소화불량, 종기, 백탁, 몽정, 대하
피가 나는 증상들이나 허약체질이나 마른 기침하는 경우 사용금지
웅황(황화비소결정), 생강, 건강(마른생강), 진피(물푸레나무껍질?), 구갑(거북껍질),
시호 등과 맞지 않다고
반하 꽃말 : 일편단심, 비밀
큰천남성 꽃 - 2017년 4월말 부산 승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