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 아래는 내용중 일부입니다.
“컨테이너 시큐리티는 데브옵스 파이프라인에서 안전한 컨테이너 이미지를 배포해 런타임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멀웨어, 취약점과 컴플라이언스 위배를 탐지하며 빌드 파이프 라인과 레지스트리의 자동화된 이미지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어느 기사에 실린 내용이다.
전문가가 아니라면 도대체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힘들다. 일상에서도 이런 어려운 IT 용어는 쉽게 접할 수 있다. 해커톤, 일코노미, 제로웨이스트, 게이트키퍼 등이 흔히 쓰인다. 이 같은 외래어는 대체어가 없을까? 한글날을 맞이하여 우리가 흔히 사용하던 IT 용어들을 우리말로 순화시켜 보자.
내일(10월 9일)은 한글날이다.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제정한 한글날이 그닥 즐겁지 않은 이유는 무분별한 IT 외래어 때문이다. 컴퓨터 자체가 외국에서 들어온 물건이고 정보기술(IT) 관련 기술들 역시 외국에서 쓰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다 보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겠지만 그래도 한글날만큼은 우리말로 순화해보자는 뜻에서 순 우리말 IT 용어를 소개한다.
하지만 이미 사람들의 뇌리 속에 박힌 단어를 일방적으로 우리말로 고치는 게 능사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인터넷을 누리망으로, 오픈뱅킹을 공동망금융거래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인터넷 기반 정보통신 자원 통합 공유 서비스로, 게이트웨이를 관문으로, 그리드 컴퓨팅을 컴퓨터 연계 활용 등의 낯선 단어로 바꾸는 게 오히려 이해도를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순우리말 IT 용어 바로 알기
국립국어연구원의 공공언어 통합지원 사이트(http://malteo.net)에서는 외래어와 외국어 등을 우리말로 다듬어서 제공하고 있다. 아래는 국립국어연구원이 제시하고 있는 우리말이다.
공격용 툴깃(toolkit) → 공격 도구 모음
리플(reply) → 댓글
랜섬웨어(ransomware) → 금품 요구 악성 프로그램
해킹(hacking) → 무단 침입
스미싱(smishing) → 문자결제사기
파밍(Pharming) → 사이트금융사기
로깅(logging) → 기록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 → 인터넷 기반 정보통신 자원 통합•공유 서비스
로그인/로그아웃(log in/log out) → 접속/접속 해지
인터넷(internet) → 누리망
웹서핑(web surfing) → 누리 검색
와이파이(wifi) → 근거리 무선망
게이트웨이(gateway) → 관문
트래픽(traffic) → 소통량
아이콘(icon) → 그림 단추
이모티콘(emoticon) → 그림말
메신저(messenger) → 쪽지창
모니터링(monitoring) → 점검, 감시
메인 보드(main board) → 본기판, 주기판
매니지드 서비스(managed service) → 위탁 관리 서비스
다운로드(download) → 내려받기
그룹웨어(groupware) → 공동 작업 전산망
프로토콜(protocol) → 통신 규약
토털 솔루션(total solution) → 종합 해결책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 컴퓨터 연계 활용
스토리지(storage) → 저장 장치, 기억 장치
팔로잉(following) → 따름벗
팔로워(follower) → 딸림벗
얼리어댑터(early adaptor) → 앞선 사용자
OTP카드(One Time Password card) → 일회용 비밀번호 카드
유비쿼터스(ubiquitous) → 두루누리
클러스터(cluster) → 산학협력지구
UCC(User Created Contents) → 손수제작물, 손수저작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 누리소통망, 사회관계망
핀테크(fintech) → 금융기술
* 전체내용은 아래주소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