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기회는 코인뿐".. 부동산에 뿔난 2030 '불나방 투자'
코인거래 회원 39%가 ‘30代’
“집값 급등하는데 월급 그대로”
높은 수익률 좇아 ‘영끌 투자’
전문가들 “노동가치 하락 심각
조급함이 만들어낸 슬픈 투기”
대기업에 재직 중인 박모(30대·남성) 씨는 15일 “처음엔 알트코인에 100만 원을 투자했는데 2∼3일 만에 2∼3배가 오르면서 돈 벌 방법은 이거다 싶어 규모를 1000만 원으로 늘렸다”고 말했다. 박 씨는 “부동산 가격은 급등하는데, 월급은 사실상 동결이다 보니 암호화폐에라도 투자하지 않으면 먹고살기가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투기’임을 알면서도 “마지막일지 모를 계층 상승 사다리를 잡기 위해 투자한다”는 경우가 많았다. 암호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은 연일 상승세다. ‘비린이’(비트코인+주린이), ‘떡상’·‘떡락’(급격한 상승·하락), ‘존버’(무작정 버티다 ), ‘투더문’(사들인 코인이 달까지 수직으로 상승하길 바란다는 뜻), ‘김치 프리미엄’(한국에서 더 비싸게 거래되는 현상) 등 신종 은어를 만들어내며 암호화폐 투기 광풍이 계속되고 있다. 처음엔 ‘코인충’(코인에 투자하는 사람을 벌레에 비견해 얕잡아 표현하는 말)이라고 비판하던 사람들도 주식보다 높은 수익률을 올리자 불나방처럼 뛰어들었다.
전문가들은 2030세대의 암호화폐 투기 광풍을 ‘슬픈 투기’라고 명명했다. 불공정에 대한 분노, 계층 상승 사다리 단절에 좌절을 느낀 젊은 층이 위험한 희망 찾기에 나섰다는 진단이다. 암호화폐거래소 코인원이 지난 1∼2월 회원 130만 명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연령별 일평균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30대가 39%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20대도 1.9%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