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가는 화분 살리는 법
1)줄기와 뿌리가 연결되는 부위가 썩었다 물을 자주주면 뿌리가 썩는다. 일단 뿌리가 썩으면 식물은 거의 회복이불가능하다.
2)베란다에 있던 화초잎이 누렇게 변했다
비료의부족, 일광량의 과다한 증상이므로 분갈이를하거나 비료를 주고 일광량을 조절해 줘야한다.
3)잎이 시들하게 아래로 쳐졌다
잎이 시든다. 시든 잎이라도 줄기가 살아있고 잎에 수분이 남아있다면 적절한 물주기와 일광량 조절로 다시 살릴 수 있다. 4)화분을 옮기다 가지가 부러졌다
5)식물의 줄기 아랫부분이 얼었다
강제로 녹이면 식물의 조직까지 녹아 버린다. 식물이 얼지않게 적절한 온도에서 길러야한다. 6)화분의 흙 위에 하얗게 곰팡이가 생겼다
7)풀칠을 한것 처럼 잎이 끈끈하고 미끈거린다
8)시들지 않은 잎이 떨어진다
경우 잎이 떨어진다. 물이 부족해도 줄기가 살아 있으면 다시 잎이 나온다.
9)줄기가 누렇게 마르면서 시들었다
조절하여 마르지 않게한다.
다음 하다니 구제약을 뿌려준다. 11)그루터기가 빈약해 식물이 힘이 없다
늘어져 있던 식물을 갑자기 강한빛을 쬐면 화상을입어 말라죽게되니 서서히 일광량을 늘려 준다. 12)잎이 바삭하게 말랐다
13)잎이 썩어서 축축하다
자주 해 건조해 지지않게 하는것도좋다.
14)잎에 반점이 생겼다
15요즘 유행인 개운죽 관리법
증발을 억제하는 약제를 발라주면 건조를 막을 수 있다. 16)휴가철의 화분관리
화분을 담가둔다. 창은 열어 환기에 주의.
락스를 한방울 물에떨궈 미생물발생을 막음.
19)병충해,응애 예방법
20)건강한 식물 기르기의 첫째 조건
나와있으면 분갈이를 해서 사온다.
22)하얗게 밀가루를 쓴것 같다
23)끈적끈적한 액체가 생긴다
수프라사이드를 살포.
25)잎이 푸른데도 생기가 없다 일조량이 돠다할 경우 그럴 수 있으니 약간 그늘진 곳에 옮겨둔다. 또한 수분이 부족해도 이런 현상이 생기니 공중습도를 높여주고 물을주되 흠뻑, 배수구로 흘러내릴 정도로다. 26)실내가 고온건조하면 식물의 호흡증산작용이 활발해 수분과 양분 소모가 많게 되어 식물이 약하게 된다. 그러므로 화분에만 물을 주지 말고 공중습도를 높이기 위해 분무기로 스프 레이를 해주고 넓은 쟁반, 수반등에 물을 받아 자연 증발되게 해준다.
27)봄에 꽃이 잘 피게 하려면
광선이 잘들며 서늘한 곳에서 휴면을 하게해야 꽃눈이 생긴다. 화분식물의 경우 가정서 얼까봐 너무 일찍 들여놓으면 꽃을 보기 힘들게된다. 첫서리가 내리기전이나 한번 맞게 식물을 들여 놓는다. 열대성 식물이 아니면 해가 잘 드는 베란다에 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