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 아래는 내용중 일부입니다.
요즘 SNS(인스타그램)에서 유행하는 앱이 있다. 중국에서 만든 페이스플레이(FacePlay)라는 이 앱은 딥페이크 기반 영상 합성 앱이다. 앱에 사진 한 장을 업로드하면 단 3초만에 다양한 영상에 자신의 얼굴을 합성해 준다. 사진 속에 내 얼굴이 무뚝뚝한 표정이더라도 웃는 얼굴의 영상을 만들어 준다. 신기하고 재미있는 앱이지만, 합성 영상으로 범죄에 악용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요즘 뜨고 있는 딥페이크 기술과 이를 악용한 사이버 범죄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진짜 같은 가짜, 딥페이크 기술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게임의 짤막한 영상에 이정재 얼굴 대신 손흥민 선수 얼굴이 합성되고 상대 배우 박해수 얼굴에는 해리 케인의 얼굴이 합성된 영상이 인스타그램에 올라와 화제가 됐다. 연예인 유병재, 가수 이특, 배우 김가연 등도 자신의 얼굴을 다른 사람의 얼굴에 합성한 영상을 인스타그램에 올려 이 앱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모두 페이스플레이(FacePlay) 앱을 이용한 것들이다.
딥페이크 앱 페이스플레이는 중국 회사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스가 개발했다. 앱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선택하고 자신의 휴대폰 앨범 속 사진을 고르면 자동으로 딥페이크 영상이 완성된다. 영상과 사진의 각도가 잘 맞으면 실제로 촬영한 영상처럼 보일 정도로 감쪽같다. 영상이 완성되면 곧바로 저장할 수 있고 다른 SNS로 공유할 수도 있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과 페이크(fake)의 합성어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만든 가짜 사진이나 영상을 말한다. 특히 최근에는 딥페이크 관련 앱이 늘어나면서 위 사례처럼 누구나 손쉽게 딥페이크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됐다. 가장 대표적인 앱이 페이스플레이와 리페이스이다.
지난 8월 출시된 페이스플레이는 이용자 수가 출시 첫 달 2만 7,215명에서 9월엔 14만 186명으로 한 달 만에 5배 이상 급증했고 11월 현재 100만 다운로드를 넘어섰다. 페이스플레이는 한때 구글 플레이 스토어 사진 및 비디오 부문의 무료 앱 인기차트에서 인스타그램(2위)와 유튜브(3위)를 제치고 1위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았고 앱스토어 전체 무료 앱 인기차트에서도 1위에 올랐다.
SNS에서는 이 앱으로 만든 딥페이크 영상을 게시하고 공유하는 놀이가 한창이다. 인스타그램에서 페이스플레이를 검색하면 본인의 사진으로 만든 딥페이크 영상을 재밋거리로 공유하며 즐기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손쉬운 사용에 재미까지 더해진 딥페이크 영상 제작이 SNS에서 유행처럼 확산하고 있어 11월 현재 인스타그램에서 #faceplay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은 3만 7,000개에 달한다.
딥페이크, 사용 방식에 따라 '양날의 칼'
딥페이크 기술은 페이스플레이에서 보듯 우리 일상에 자연스레 스며들면서 MZ세대의 놀이로 자리 잡고 있는 분위기다. 문제는 딥페이크가 텔레그램 N번방에서 성착취물 영상 제작 등 범죄에 이용돼 논란을 일으킨 기술이라는 점이다. 페이스플레이가 사기, 협박, 성범죄 등 여러 가지 범죄에 활용될 수 있고 일반인들도 딥페이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이 간과되고 있다. 누구라도 범죄의 타깃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https://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seq=30952&utm_source=CM&utm_medium=eDM&utm_campaign=SL%5FtypeC&utm_content=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