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설 명절 노리는 스미싱 공격에 주의하셔서 피애 없으시길 바라며 알립니다.
* 아래는 기사내용중 일부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감독원은 설 연휴를 앞두고 선물(택배) 배송 확인, 코로나19 관련 손실보상금, 피해회복 특별대출 등 다양한 문구를 활용한 스미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스미싱 신고 및 차단 20.2만여 건 중 설 명절 등 택배를 많이 주고받는 시기를 악용한 택배사칭 스미싱이 175,753건으로 전체 대비 87%를 차지했다. 따라서 택배관련 스미싱에 대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그림 1] 최근 3년간 스미싱 유형별 신고(접수)·차단 현황(*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그림 2] 택배 사칭 및 정부 지원금 사칭 스미싱(*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정부가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사업(손실보상금, 피해회복 특별대출 등)을 악용한 스미싱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부는 각종 지원금 신청을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받지 않으며 신분증 등 개인정보도 요구하지 않음에 따라, 이를 요구하는 행위에 응하지 말아야 하며, 의심되거나 부득이 확인이 필요한 경우는 지원금 지급 관련 정부 기관에 직접 확인해 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스미싱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 수칙 4가지
이용자가 스미싱(보이스피싱) 사기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지켜야할 보안수칙은 다음과 같다.
1. 택배 조회, 모바일 상품권 증정, 정부 지원금 신청 등의 문자 속에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인터넷 주소(URL) 또는 전화번호를 클릭하지 않고 바로 삭제하기
※ 지인 등이 보낸 문자의 경우라도 반드시 전송 여부 등을 확인하기
2. 이벤트 당첨, 선물 배송조회, 정부 지원금 신청 등의 명목으로 본인인증, 신분증 및 개인정보·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절대 입력하거나 알려주지 않기
3. 스마트폰 보안 설정에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업데이트 및 실시간 감시 상태 유지와 소액결재 차단 기능을 설정하기
※ 스마트폰 소액결재 차단은 각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
4. 악성앱 클릭 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 118 신고 또는 ’내PC 돌보미‘ 서비스 신청을 통해 스마트폰 악성코드 유·무 점검 받기
*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seq=31211&utm_source=CM&utm_medium=eDM&utm_campaign=SL%5FtypeC&utm_content=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