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내용 발췌
\연구팀은 사용하는 비누의 향에 따른 모기의 흡혈 선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 참가자 4명을 대상으로 다이얼, 도브, 네이티브, 심플트루스 네 종류의 비누를 사용하게 했다. 각 비누로 몸을 씻기 전과 씻은 후 체취에 따라 모기가 꼬이는 정도를 확인했다.
인간이 내뿜는 이산화탄소(CO2)가 모기를 끌어들이는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실험참가자들이 직접 모기에 물리게 하지 않고 이들의 체취가 밴 섬유를 이용해 실험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사용하는 비누의 향은 모기의 흡혈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브와 심플트루스 비누는 일부 실험 참가자들에게 모기가 더 꼬이게 했다. 네이티브 비누는 모기를 쫓는 효과가 관찰됐다. 연구팀은 “실험에 사용된 모든 비누에는 모기퇴치제로 알려진 ‘리모넨’이란 화학물질이 담겨 있지만 일부 비누는 모기를 유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다만 실험 참가자에 따라 비누 향이 모기를 끌어들이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각각이었다. 연구팀은 “비누의 향이 체취와 섞이면 새로운 향이 나게 된다”며 “사람마다 체취가 다르기 때문에 비누향을 바꿨을 때 모기를 끌어들이거나 쫓는 효과를 보는 정도도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실험에서 확인한 모기의 흡혈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들을 분석해 모기를 꼬이게 하는 화학물질 4종과, 모기를 쫓는 데 효과가 있는 화학물질 3종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비노제 교수는 “모기가 모여드는 것을 줄이고 싶다면 코코넛 향 비누를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종류의 비누를 사용한 실험을 실시할 계획이다. 실험 참가자 규모도 확대하고 비누 향이 모기를 유인하는 데 미치는 영향이 몇 시간이나 지속되는지도 확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