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불교가 들어오고 오래기간
불교를 지양하기도 배척하기도하는
세월이 엄청난 시간이 흘러가다보니
우리가 실생활에서 쓰는 많은 말들이
불교용어에서 나온말들이 많습니다
1.건달
인도신화에 나오는 요정
간다르바에서 나온말입니다
서양의 요정,정령이랑 비슷한 존재입니다
간다르바를 음차해서 건달이라고 사용한것입니다
간다르바는 좋은 향을 맡고 음악을하는 요정입니다
음식같은걸 안먹고 좋은향만 맡으면서
음악을 하는 존재이기에 아무것도안하고
놀기만 하는 부정적인의미로 건달이된것입니다
우리나라의 한량이랑 비슷한것같습니다
(한량은 일정한 관직이 없이 놀고먹는 말단 양반계층)
건달에 대한 이야기는 최민식의 넘버3에보면
나오기도합니다
2,강당,식당
강당은 인도에서 설법을 강의하는장소 그래서 강당
식당은 말그대로 불도를 수행하며 밥을 먹는 장소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는 장소가 바로 식당입니다)
절이 갖추어야할 7대요소중에 들어갑니다
금당,경당,승당,종당,강당,식당,탑
경당-예불들이는 공간
종당은 종을 설치하는곳
승당은 승려들이 수행하는공간
탑은 말그대로 탑입니다
이모든게 갖추어져야 절이라고부릅니다
스님이 있지만 작은곳을 암자라고 부르는게
이런 요소들이 안갖추어져있기에
암자라고하는것입니다
3,방편(임시방편)
깨달음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는말입니다
기도,수행,요가등등
4.무진장
엄청나게 많다는뜻
무진의 뜻이 다함이 없다(끝이없다)
장은 창고를 말하는것입니다
끝이 없는 창고를 말하는것이고
무진장입니다
5.아궁이
인도의 불의 신 아그니에서
음차되어서 아궁이가된것입니다
(인도의 중거리탄도유도탄의
이름도 아그니입니다)
6.점심
점심은 마음에 점을 찍다라는말이고
지금은 아침,점심,저녁이지만
예전에는 점심의 개념이 없었고
아침먹고 일하고 저녁을 먹는 개념이였습니다
그런데 경전공부를 하다보면 배가 고픈데
잠깐 간식을 먹던 시간이 점심이였습니다
7,나락(나락간다)
지옥을 다른말로 부리는게 나락입니다
나락의 뜻은 밑이 없는 구멍이라는말입니다
끝도없이 빠진다는의미입니다
우리가 안좋은 용도로 많이 사용하는데
불교에서도 안좋은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8.이판사판
고려시대까지는 불교가 숭불정책으로
번성했지만 조선시대에 유교가 들어오면서
불교가 억불정책이 되었습니다
절에있는 승려들도 먹고 살아야하는데
신발(짚신)이나 돗자리를 만들어서
팔았는데 이런일을 하는 승려는 이판이라고
불렀습니다 절을 유지하기위해서는 꼭 필요한
사람들이였습니다
그리고 경전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승려를
사판이라고 불렀습니다
이판사판이라고 하면 더이상 내가 물러날곳이
없다는말로 사용합니다
절이 살아남을려면 이판도 필요하고
사판도 필요하다는 의미인것입니다
9.악착같다
악착같다는 말이 생긴건
참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극락을 갈려면 반야용선을 타야하는데
(반야용선은 용이 끄는 배입니다)
극락을 갈려면 모든인연을
끊고 극락으로 가야하는데
자식이랑 인연을 못끊는 사람이 있었는데
배가 출발하는데 그때까지도 인연의 끈을 못놓고
있다가 막상 배가 출발하고 인연을 끊고 배에
올라탈려는데 배는 이미떠나고있었고
그래서 배에서 밧줄을 하나 던져주었는데
그걸 끝까지 잡고 용이끄는 배가 얼마나 빠르겠어요
그리고 극락까지가는길이 얼마나 거칠겠어요
밧줄하나에 의지해서 끝까지 버티면서
극락에 간사람이 있었는데
그사람이 악착보살입니다
그래서 악착같다라는 말이 생긴것입니다
악착이 억척으로 변화하기도했습니다
10.횡설수설
아무런 의미없이 막 이야기하는걸 말합니다
원래는 횡으로도 읽고 종으로 읽는걸
횡설수설이라고 했습니다
이말이 무슨말이냐면
경전 하나를 완벽하고 이해하고
암기하는 사람이있는데
어떤사람은 암기만했지 실제로
경전을 이해하지못했기에
말만하는 사람을 뜻하는말입니다
실질적으로 이론만알고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고 뜻을 모르는 사람을 지칭하는말입니다
11.야단법석
시끄럽고 떠들석한 모습인데
야단은 강당이 비좁아가지고
밖에다가 단을 세울걸말하는것이고
법석은 설법을 들을때 앉았던 방석을
말하는것입니다
상황을 이미지로 생각해보면
잘알수있습니다
강당에 사람을 수용할수없을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있어서
밖에다가 단을 세우고 방석을 깔고
했으니 얼마나 시끄럽고 떠들석했겠습니다
사람이 바글바글하고 정신없는 상황을
야단법석이라고한것입니다
찾아보면 우리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불교에서 온 용어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모든종교가 다 있지만
신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국민의50%가 넘는다고합니다
다른나라는 종교를 믿지않지만
그래도 신이 없다고 생각하는사람은
10%도 안된다고합니다
이건 참 독특한 통계라고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