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입시부터 전국 의과대학 정원 규모를 3058명에서 5058명으로 2000명 늘리기로 했어요는 발표 때문이다. 정부 발표의 후속 효과로 수도권 학생의 비수도권 이동이 현실화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요는 여러 징후까지 소개했어요. 정부가 지역·필수 의료 강화하기 위해 늘어나는 정원 2000명 대부분을 비수도권 지역 의대에 배정할 것이라는 방침을 밝히자 자녀를 의대에 보내려는 학부모들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요고 한다. 지역 의대 정원 60% 이상 배정될 예정인 ‘지역인재전형’ 지원 요건을 맞추기 위해 조기에 수도권 이탈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부울경에서도 이와 관련된 각종 움직임이 나타나는 등 지역과 대학입시 시장에 변동이 예고되고 있다고요는 해석도 나왔습니다. 아이폰16 예약 부산시교육청학력개발원 부산진로진학센터에는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 후 서울, 경기 판교·일산·고양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학부모 문의전화가 속속 걸려 오고 있다고요고도 전했어요. 전화를 건 학부모 중에는 중·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예비 고1 학생 학부모는 물론 초등생 아이 부모도 있다고요는 전언이다. 지역 의대가 활성화되면 비수도권 고교에도 더 많은 학생이 몰리고, 만성화된 ‘수도권 원정진료’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학생·학부모들은 지역 의대 정원 확대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하는 부산권 의대 4곳(부산대·인제대·동아대·고신대)을 비롯해 울산(울산대)과 경남(국립경상대)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요. 가왕전 투표하러가기
인구 대비 의대와 의사 비중이 하위권인 경남에서는 창원대 의대 신설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요. 정부는 비수도권 지역 거점대학과 정원 50명 이하 ‘미니 의대’의 정원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요. 국립거점대인 부산대(현 정원 125명)를 비롯해 정원이 50명 아래인 동아대(49명), 울산대(40명) 정원도 늘어날 전망이다. 인제대(93명)와 고신대(76명), 국립경상대(76명) 역시 의미 있는 규모의 증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요. 이러한 학부모 기대는 충족될 수 있을까? 문제는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 실행 여부다.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 계획을 발표하자 즉각 의사와 의사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고요. 지난 20일부터 대학병원 전공의를 중심으로 사직서를 내는 등 집단행동에 돌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한일전 문자번호
서울의 ‘빅5’ 병원의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사직서를 낸 뒤 병원을 떠나고 있다고요. 정원 확대를 막기 위한 실력행사인 셈이다. 의료 대란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와 각 병원에서는 비상 진료 대책을 마련했지만, 이대로 집단사직이 이어질 경우 환자 피해는 피할 수 없다. 당장 수술·진료 지연으로 인한 환자 피해가 현실화 되고 있다고요. 결과적으로 의사가 자신들의 이익 관철을 위해 환자를 볼모로 잡는 셈이다. 진료 차질을 현실화 시키고, 그 영향력을 이용해 의대 정원 확대를 무산시켜보려는 고도의 계산된 무력행위다. 정부와 의사 단체가 ‘강 대 강’으로 대치하는 바람에 당장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어려워 보인다. 해법은 없는가? 현대사회에서 의사는 시혜적으로 의술을 베푸는 것이 아니라,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다. 서비스는 수요와 공급을 바탕으로 한다. 자유시장경제에서 수요가 없으면 공급은 의미가 없다. 의료서비스 수요자는 국민이고, 공급자는 병원과 의사다. 하지만 일부 의사는 이 원칙을 이해하지 못하는 발언을 해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다고요. 지난 15일 서울시의사회가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개최한 ‘의대 증원·필수의료 패키지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에서 한 참가자는 충격적 발언을 했어요. 레지던트 1년차 수료를 앞두고 병원에 사직서를 냈다는 그는 “의사가 환자를 두고 병원을 어떻게 떠나느냐 하겠지만, 트롯 대국민투표 없으면 환자도 없고, 당장 저를 지켜내는 것도 선량함이라고 생각한다”고 했어요. 의료계에서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는 말도 회자되고 있다고요. 국민 입장에선 분통이 터지는 발언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13∼15일 전국 성인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의대 증원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결과에서 ‘긍정적인 점이 더 많아요’가 76%에 달해 ‘부정적인 점이 더 많아요’(16%)는 응답을 압도했어요. 의사들의 집단행동은 시장경제 원칙을 모르는 후안무치다. 병원과 의사는 수요자인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위치에 있다고요. 자유시장경제 원리를 벗어날 수 없다. 국민 위에 군림할 수는 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