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에 CMOS 에서 IDE 로 설정된 상태로 윈도우를 설치한 이후에 AHCI 로 바꾸어 설정하게 되면 윈도우가 무한부팅하거나 시스템다운이 일어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때 레지스트리를 건드리지 않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서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 CMOS 에서 IDE 로 기본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윈도우10 기준으로 설명할게요.
윈도우 제어판에서 장치관리자로 들어가서 아래처럼 되어 있는지 우선 확인하셔야 합니다.
장치관리자 - IDE ATA/ATAPI 컨트롤러 - 표준 이중 채널 PCI IDE 컨트롤러
장치관리자에서 <표준이중채널 PCI IDE 컨트롤러>로 확인이 되면
다음 순서대로 따라오시면 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CMD 를 실행
bcdedit /set safeboot minimal
실행한뒤에 재부팅을 하게 되면 바로 CMOS로 진입합니다.
(주의사항 : 절대 윈도우로 진입하면 안됩니다!!)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설정법이 달라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IDE 로 되어 있는것을 AHCI 로 바꿔주시고 저장을 눌러 CMOS를 빠져나오면
자동으로 윈도우 안전모드로 진입할것입니다.
■ Integrated Peripherals - ICH SATA Control Mode (IDE)
■ SATA Configration - Onchip SATA Type - SATA Port (IDE)
■ Advanced - SATA Mode Selection (IDE)
■ Advanced - Storage Configration - SATA Mode (IDE)
>윈도우 안전모드에서 관리자권한으로 CMD를 실행
bcdedit /deletevalue safeboot
위 명령어를 실행하고 재부팅하면됩니다.
윈도우로 진입하게 되면 아래처럼 ACHI 컨트롤러로 잡혀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장치관리자 - IDE ATA/ATAPI 컨트롤러 - 표준 SATA AHCI 컨트롤러
IDE 에서 무난하게 AHCI 로 바꾸면서 무한재부팅은 일어나지 않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