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용기는 World NO.1 ASUS와 STCOM(에스티컴) 체험단을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인텔 6세대 코어i 시리즈 스카이레이크를 지원하는 인텔 최신 Z170 칩셋을 장착한 ASUS Z170-A 제품의 필드테스트를
시작하고자 합니다. 편의상 이하 존칭은 생략합니다.
인텔 6세대 스카이레이크(Skylake) 출시되면서 모처럼 메인보드 등 PC 부품 시장에 변화를 바람이 불고있다.
스카이레이크(Skylake) 프로세서가 기존 LGA 1150 소켓에서 LGA 1151 소켓으로 변경되었고 DDR4 메모리를
지원하면서
기존 9시리즈 이하 메인보드에서는 호환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인텔에서는 6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완벽하게 소화하기 위해 100 시리즈 칩셋을 새로이 발표 했는데,
오늘 살펴 볼 ASUS Z170-A 메인보드는 100 시리즈 칩셋 중에서도 최상위 라인업에 포진하고 있는
Z170 칩셋을
채택한 제품이다.
여러 부품의 규격 및 지원 사양이 변경 된 만큼 메인보드의 안정성 또한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시점으로
오랜동안 명품 메인보드를 제작한 ASUS 의 새로운 라인업 Z170-A 메인보드의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검은색 배경의 박스 디자인은 정갈하면서 깔끔한 느낌이다. 박스 크기 자체는 생각보다 아담한 수준이다.
ASUS(ASUSTeK Computer Inc.) : 1989년 대만에 설립된 ASUS 는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광학 드라이브, PDA,
노트북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제품, 휴대 전화, 컴퓨터 케이스, 컴퓨터 냉각 시스템을 제조하는 회사이다.
(출처 : 위키백과)
▲ 박스 뒷면에는 Crystal Sound 3 등 Z170-A 메인보드에 적용된 특징점들이 나열되어 있다.
▲ 언제나 그렇듯 STCOM 에서 3년 무상보증이 적용된다.
▲ 구성품은 사용자 매뉴얼, 드라이버 DVD, SATA3 케이블 X4, 전자파 차폐 I/O 실드, CPU Installation Tool, SLI 브릿지,
PC 케이스 선연결을 돕는 이지커넥터가 제공된다.
▲ CPU Installation Tool 제공으로 자칫 실수로 CPU 소켓 핀 휨을 예방 할 수 있다. 제품 외형에서 자세히 살펴보자.
▲ "ASUS" 로고가 새겨진 SLI 브릿지가 제공된다.
▲ M.2 방식 저장장치용 고정 나사
▲ PC 케이스 각종 선 연결을 돕는 이지커넥터
|
![]() ![]()
▲ ASUS Z170-A 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은 짙은 갈색계통의 PCB와 흰색 I/O 커버 및 Z170 칩셋 대형 히트싱크의 조화로
심플하면서 깔끔한 첫인상을 보여준다. 다만 아쉬운 점은 블랙색상의 PCB 와 전원부 히트싱크도 은색이 아닌 흰색이
였으면 더욱 멋진 외관이 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 4개의 DDR4 메모리 슬롯은 최대 3466MHz(O.C) 메모리속도와 듀얼 채널로 최대 64GB 까지의 용량을 지원한다.
▲ 백패널는 USB 2.0 x 2, 그래픽 출력 포트(HDMI, DP, D-Sub, DVI), PS/2 포트, USB 3.0 x 2, LAN 포트, USB 3.1 Type
A, C 포트,
오디오(8CH HD Audio) 출력(광출력)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 내장오디오는 업그레이드 된 Crystal Sound 3 가 탑재되어 일본산 전력제어 레귤레이터 장착과 음질을 보호하는 오디오 쉴딩, EMI 커버가 적용되어 있다.
![]()
▲ Crystal Sound 3 에서는 DTS 스튜디오 사운드 기술이 추가로 제공되어 아날로그 출력에 대한 다채널 변환과 각종 서라운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 2 X PCI Express 3.0 x16 및 PCI Express 3.0 x4 슬롯이 제공되고 3 X PCI-Express 2.0 및 Legacy PCI 가
제공된다.
▲ ASUS Z170-A CPU 전원부는 DIGI+ VRM 8 + 2페이즈(phase) 로 구성되어 있다.
▲ I/O 커버와 방열판을 제거한 모습
▲ ASUS Z170-A 사용된 대형 히트싱크는 알미늄 합금 소재로 손으로 들어보면 무게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 칩셋 방열판 디자인도 ASUS 만의 멋스러움이 담겨져있다.
▲ 메모리 전원부는 2페이즈(phase)로 구성되어있다.
▲ 방열판이 제거된 Z170 칩셋
▲ 입출력 기기와 하드웨어 각 부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Novoton NCT6793D Super I/O 칩셋
▲ Z170 칩셋와 이어주는 브릿지 역할을 하는 ASMEDIA ASM1083 칩셋.
▲ TPU (TurboV Processing Unit) : KB3720QF
ASUS는 CPU와 메모리,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HDD, 쿨러를 아우르는 EPU를 바탕으로 전력관리 기술을 적용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여왔고 자동 튜닝과 TurboV, TProbe 기능을 통합한 TPU를 통해 오버클럭과 하드웨어 모니터링,
메인보드 전원부 온도 관리 등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 winbond 시스템 UEFI BIOS
▲ Intel I219V 네트워크 칩셋
▲ ASMedia ASM1142 USB 3.1 컨트롤러 칩셋
▲ 디스플레이 출력 변환 레벨 시프트로 2, 4K 출력을 지원하는 ASMedia ASM1442K 칩셋
▲ ASUS 전원부 핵심인 DIGI+ VRM 컨트롤러은 CPU와 내장 그래픽, 메모리 등에 전력을 공급하고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 CPU 쿨링팬 및 수냉쿨러(일체형) 펌프 등의 전원공급을 위한 OPT 단자가 기본제공되며 총 7개(상단, 하단, 우측중앙)
가
지원된다.
▲ ASMedia의 ASM1480 PCI-E 3.0을 지원하는 스위치 칩셋.
▲ IDT 6V41538NLG Clock Generator 칩셋
▲ CPU 추가 전원 공급을 위한 8핀 포트가 메인보드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 ASUS Z170-A 는 기존 SATA 3(6Gbps) 대비 60% 정도 향상된 SATA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를 정식 지원한다.
▲ M.2 SSD 장착을 위한
NVMe(M.2) 슬롯을 지원하고 PCI 익스프레스 슬롯에 추가로 SSD를 장착하여 RAID 구성도
가능한 PCI 익스프레스 RAID 기술도 지원한다.
▲ 히트싱크를 제거한 CPU 전원부는 8 + 2 페이즈(phase)로 구성되어 있다.
▲ LowRDS(on) MOSFET 사용과 비교적 넓은 면적의 방열판으로 인해 발열에 대한 안정성은 충분히 확보된 모습이다.
▲ CPU 장착을 위한 CPU Installation Tool 이 제공된다.
▲ 실제로 사용해보니 CPU 장착에 따른 부담감이 상당히 감소하였고 CPU 탈장착이 한결 수월하였다.
|
![]() ![]()
▲ Del 키로 바이오스 초기진입 시 화면으로 CPU 온도 등 각종 시스템 정보들이 제공되며 UEFI 바이오스 답게 화면구성은
심플하면서 깔끔하다.
![]()
▲ F11 키를 누르면 EZ Turning Wizard 로 진입하여 각종 기능들을 손쉽게 설정가능 하다
.
![]() ![]() ![]() ![]() ![]() ![]() ![]() ![]()
▲ F7 키(Advanced Mode)를 누르면 고급사용자들을 위한 세부 설정이 가능 하다
.
![]() ![]()
▲ Ai Tweaker 메뉴를 통해 각종 오버클럭 설정들이 가능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니터링을 통해 CPU 팬이 연결되지 않으면 부팅이 되지 않는다.
![]() ![]() ![]() ![]() ![]() ![]() ![]() ![]() ![]() ![]() ![]() ![]()
▲ EZ 플래시 3 유틸리티를 통해 바이오스상에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 ![]()
▲ SSD 초기화(영구삭제) 기능이 제공되어 유용하게 할용 가능하다.
![]() ![]() ![]() ![]() ![]() ![]() ![]() ![]() ![]() ![]() ![]()
▲ 바이오스 설정 후 저장하면 그 동안 설정했던 목록들을 보여준다. 자칫 실수로 설정이 잘못 된 부분들을 바로잡을 수 있다. |
![]()
기본 성능테스트는 인텔 Skylake i5 6600K 로 진행하였고 하스웰 리프레시 i5-4690K + MSI B85M-G43 조합의
시스템과 비교 성능테스트를 진행하였다.
![]() ■ Windows 8.1 장치관리자 ![]()
▲ Windows 8.1 설치 후 장치관리자의 시스템장치를 통해 Z170 칩셋임을 확인 할 수 있다.
■ CPU-Z 시스템 확인
![]() ![]() ![]()
▲ CPU-Z 에서는 Z170 칩셋을 Skylake PCH 로 표시하고 있다.
![]()
▲ ASUS Z170-A 은 최대 3466MHz(O.C)의 메모리속도와 64GB 까지 용량을 지원하고 있다.
![]() ![]()
▲ 인텔 Skylake i5-6600K 에는 HD Graphics 530 내장그래픽이 탑재되어 있다
■ AIDA64 Cache & Memory Benchmark
![]()
▲ 스카이레이크 i5 6600K + ASUS Z170-A
![]()
▲ 하스웰 리프레시 i5-4690K + MSI B85M-G43
■ CINEBENCH R15
![]()
▲ 스카이레이크 i5 6600K + ASUS Z170-A
![]()
▲ 하스웰 리프레시 i5-4690K + MSI B85M-G43
![]()
■ SuperPI
![]() ![]()
■ CrystalDiskMark64
![]()
▲ 스카이레이크 i5 6600K + ASUS Z170-A
![]()
▲ 하스웰 리프레시 i5 4690K + MSI B85M-G43
■ 3DMark Fire Strike v1.1
![]() ![]()
■ 3DMark11
![]() ![]() ■ The Witcher 3: Wild Hunt (최상급 옵션) ![]() ![]()
■ Grand Theft Auto V (최상급 옵션)
![]() ![]()
■ METRO REDUX BENCHMARK (최상급 옵션)
![]() ![]() ![]()
번들 소프트웨어 DVD 에 있는 AI Suite 3 를 설치하면 오버클럭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등 왠만한 관리 프로그램들이
모두 설치가
된다. 그 중 가장 눈여겨볼만한 소프트웨어는 단연 Dual Intelligent Processors 5 이다. 이 유틸리티를
실행시킨 후 5-Way Optimization 을 클릭하면 TPU 와 EPU, DIGI+ 파워컨트롤, X-Fan3, 터보 앱이 단계적으로 실행
되면서 시스템에 맞는 최적의 클럭과 전압, 팬 속도를 찾아 바이오스 설정과 연동되어 자동 설정된다.
![]() ![]() ![]()
▲ 왼쪽에 위치한 탭을 클릭하면 목록이 나타난다.
![]()
▲ TPU 메뉴
![]()
▲ Turbo APP - 프로그램 별 네트워크 우선순위 지정 등을 설정
![]()
▲ Fan Xpert 3 - CPU 및 시스템 팬 자동설정
![]()
▲ DIGI+ VRM - CPU 전원 설정
![]()
▲ PC Cleaner - 시스템 최적화 프로그램
![]()
▲ AI Charger+ - 모든 USB 포트는 3A 출력이 가능해 최대 15W 출력으로 모바일기기 등에 고속충전이
가능하다.
![]()
▲ EZ u pdate - 바이오스 업데이트
![]() ![]()
▲ System Information
![]()
▲ USB BIOS Flashback
![]() ![]()
▲ Push Notice
![]()
▲ Version
- 제공되는 유틸리티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 ![]()
▲ ASUS Z170-A PRO Clock 기술
앞서 소개한 Dual Intelligent Processors 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스카이레이크 i5 6600K 오버클럭 시도해 보았다.
CPU 및 캐쉬배수, CPU 및 Input 전압 설정 등등 하스웰 시절부터 오버클럭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들로 인해 특히
초보자에겐
무척 까다로운 작업이고 또한 최적의 오버 클럭 값을 찾으려면 많은 시간이 소모되었다.
ASUS Dual Intelligent Processors 5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면 원 클릭으로 오버클럭이 가능하다. 작업에 앞서 우선
선행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
▲ ASUS Z170-A 의 자동오버클럭은 공냉 쿨럭(TPU I)와 수냉 쿨러(TPU II)에 따라 각각 다른 방식이 적용되어 진행
되며, 클럭을 조정하는 TPU도 쿨링 방식에 따라 전용 칩을 사용하게 된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쿨러 맞게 메인보드에
우측 하단에 위치한 TPU 선택 스위치를 설정하면 된다.
![]()
▲ 오버클럭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해 Memory Stress test 와 CPU Advanced Vector Extensions (AVX) instruction
set During stress test 옵션을 Enable 로 설정하였다.
![]() ![]()
▲ 이제 시작 버튼을 누르고 의자에 앉아 편안히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 ![]() ![]() ![]() ![]() ![]() ![]() ![]()
▲ Dual Intelligent Processors 5 프로그램 실행 결과 27% 향상된 4.6Ghz 로 오버클럭되었다.
![]() ![]() ![]() ![]()
▲ 바이오스와도 연동되어 Dual Intelligent Processors 5 프로그램 실행 결과가 반영되었다.
![]() ![]() ![]()
▲ CPU Core Ratio 46 / CPU Cache Ratio 39 / CPU Offset Voltage 1.230~1.290v
Dual Intelligent Processors 5 프로그램을 이용한 오버클럭은 기존 바이오스를 진입해 직접 설정을 통해 찾은 최대
속도와
별반 차이가 없었다. 과거에 비슷한 프로그램으로 설정 시 단순 참고용에 불가 했지만, 자동 전압조정을 비롯해
안정성
테스트,
순차적 배율 조절까지 고려한 Dual Intelligent Processors 5 자동 오버클럭은 상당히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수준이다.
■ BCLK 오버클럭(추가)
인텔 Z170 칩셋은 BCLK(Base Clock) 오버클럭을 정식 지원하는데, BCLK 오버클럭을 활용하면 앞으로 출시될 Non-K
스카이레이크 CPU를 오버클럭 할 수 있게 된다. BIOS 상 BCLK 오버클럭 메뉴를 살펴보면 BCLK Frequency 항목 값에
따라 CPU, DRAM, Cache 클럭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 ![]() ![]() ![]() ![]() ![]() ![]()
▲ BCLK(Base Clock) 오버클럭에 따라 Cache 클럭이 높다면 Cache 배수 조정을 통해 클럭을 낮출 수 있다.
현재 ASUS Z170-A 메인보드에서 BCLK(Base Clock) 오버클럭 설정하고 BCLK Frequency 항목 값을 105로만
설정해도
OS 부팅시 오버클럭 실패에 해당하는 오류메세지가 나타난다. 아직 초기 BIOS에 따른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아쉽지만 차후 업그레이드된 BIOS 에 기대를 걸어 본다.
![]() ASUS Z170-A 메인보드의 CPU 전원부 및 Z170 칩셋의 발열상태를 팍클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아이들시 온도는 부팅 후 10분, 로드 시 온도는 Prime95 로 시스템 부하를 걸고 30분 경과 후 각각 측정하였다. ![]()
Idle 시 전원부 및 Z170 칩셋 온도가 40도 밑의 미열에 가까운 수준이였고 Load 시 온도는 Z170 칩셋은 0.3도,
전원부가 6.4도 각각 상승하였지만 한 여름임을 감안하면 전체적으로 50도 미만의 낮은 발열 상태를 보여 주었다. ![]()
이번에는 ASUS Z170-A 의 전력소모 상태를 알아보았고 i5 4690K + MSI B85M-G43 시스템과 소비전력을 비교해 보았다.
마찬가지로 아이들시 온도는 부팅 후 10분, 로드 시 온도는 Prime95 로 시스템 부하를 걸고 30분 경과 후 각각 측정하였다.
소비전력 측정에 사용된 장비는 파워모니터이다.
![]() 소비전력은 아이들 및 풀로드시 기존 i5 4690K + MSI B85M-G43 시스템 보다 다소 높게 측정 되었다. ![]() 지금까지 ASUS Z170-A 메인보드를 살펴보았다. 오버클럭 시 부족함 없는 출력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8 + 2페이즈(phase) 전원부 설계와 맞물려 Dual Intelligent
Processors 5
프로그램을 이용한 원클릭 오버클럭 기능은 이전세대와 다른 한 차원 높은 수준의 완성도로 편리함이
돋보였고
작은 부분이지만
CPU 장착을 위한 CPU Installation Too 제공으로 자칫 실수하기 쉬운 초보사용자도 손쉽게
CPU 탈장착이 가능해졌다.
4K UHD TV & 모니터 사용자들 위한 DisplayPort 출력을 기본 지원해 스카이레이크 6세대 코어 프로세서와의 조합으로
UHD 홈씨어터 PC 시스템 구축도 손쉽게 가능하고 더불어 업그레이드 된 Crystal Sound 3 탑재와 DTS 스튜디오 사운드 기술이 추가로 제공되어 아날로그 출력에 대한 다채널 변환과 각종 서라운드 효과로 눈과 귀의 즐거움을 동시에 선사 하는 제품이다.
끝으로 CPU 소켓의 변화와 DDR4 메모리 지원 등으로 추가적인 비용 발생은 시스템 업그레이드 시 부담으로 다가오지만
DDR4 플랫폼 전환에 따른 시스템 변화를 느끼고 싶은 사용자나 스카이레이크로 초기 시스템 구축 사용자들에게는 충분히
권하고
싶은 메인보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