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퀘이사존을 통해 필드테스트를 진행하게 된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한영 이중사출키캡 청축 기계식 키보드의 사용기입니다.
최근 맥스틸이 의욕적으로 가격 대 성능비가 뛰어난 게이밍 기어들을 줄이어 출시하고 있는데, 이번에 출시된 키보드 4종도 이에 걸맞게 저렴한 가격대에서 멋진 디자인과 충실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사용기에서는 비키 스타일의 감각적인 로열 블루 컬러 상판을 갖춘 레인보우 LED 키보드인 G650K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 구매를 고려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제품 설명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한영 이중사출키캡 청축 기계식 키보드는 뛰어난 가성비를 갖춘 기계식 키보드입니다. OUTEMU 청축 기계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경쾌한 키감을 가지고 있으며, 감각적인 로열 블루 컬러의 상판과 레인보우 LED의 화려함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글/영문 이중사출 키캡을 적용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1000Hz 폴링과 무한 입력을 지원하여 우수한 게이밍 성능을 자랑합니다.
[이미지 인용 : 다나와 상품 설명 -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한영 이중사출키캡 (청축)]
■ 제품 스펙
[이미지 인용 : 다나와 상품 설명 -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한영 이중사출키캡 (청축)]
■ 개봉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기계식 키보드의 박스 전면입니다.
맥스틸 로고, 제품명, 제품 사진, 주요 특징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다른 맥스틸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오렌지+실버+블랙 컬러로 된 박스 디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면의 언급된 주요 특징입니다.
오테뮤 기계식 스위치, 레인보우 LED 컬러, 알루미늄 상판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박스 후면의 모습입니다.
간략한 스펙, LED 기능키 설명, 품질보증정보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박스 후면 우측에는 기본적인 LED 사용법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외에도 몇 가지 기능들이 더 존재하는데, 이는 제품 설명서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그 옆에는 박스의 내용물과 보증 정보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박스 내용물은 키보드 본체, 제품 설명서의 단출한 구성입니다.
맥스틸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QR 코드와 2년 무상보증이 눈에 띕니다.
박스 좌측 측면의 모습입니다.
키보드에 탑재된 스위치 종류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제품은 청축을 탑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단에는 임의 개봉을 막기 위한 봉인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봉인 스티커를 자른 후 박스를 개봉한 모습입니다.
키보드 본체가 재차 포장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모든 구성품을 꺼낸 모습입니다.
구성품은 키보드 본체와 사용 설명서로 되어있으며, 일반적으로 기계식 키보드에 제공되는 액세서리인 키캡 리무버는 동봉되어있지 않습니다.
포장을 벗긴 키보드 본체의 모습입니다.
■ 외관
이제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기계식 키보드의 외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키보드 정면의 모습입니다.
하우징은 로열 블루, 키캡은 블랙의 투톤 구성으로 기성품에서는 흔치 않은 모습을 지니고 있습니다.
비키 스타일의 알루미늄 상판 위에는 맥스틸 로고와 인디케이터 외의 장식적인 요소가 없고, 위아래가 급경사 수준으로 각이 져 있어 하판이 노출되지 않도록 막아주어 독특한 느낌을 줍니다.
그리고 하단부는 중심 부분만 살짝 오목하게 되어 있어 포인트를 주고 있습니다.
좀 더 가까이에서 키보드를 본 모습입니다.
영문/한글 모두 이중사출로 이루어진 키캡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방향키 바로 위에는 은색으로 된 맥스틸 로고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상판에는 맥스틸 로고 외에는 별다른 장식물이 없는 깔끔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맥스틸 로고를 가까이에서 본 모습입니다.
은색의 양각으로 된 로고이며, 크게 튀거나 부각되지 않는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어 키보드와 잘 어울립니다.
숫자패드 위에는 인디케이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Num/Caps/ScrLck의 토글 상태를 표시하는 표준형 인디케이터이며 일반적인 점 LED 인디케이터와는 달리 원형 각인 전체가 점등하는 특이한 형태를 지니고 있습니다.
키보드 후면의 모습입니다.
상판과는 달리 하판은 전체가 유광+무광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심에는 키보드 정보와 일련번호가 기재된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하판에 빗살 무늬로 포인트를 준 점이 눈에 띕니다.
케이블 연결부는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고 하판에 자리 잡고 있으며 단선 방지 처리가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상단에 3방향 라우팅 홀이 파여있어 케이블 정리가 한층 용이합니다.
케이블을 홀에 집어넣는 것으로 원하는 방향으로의 라우팅이 가능합니다.
홀이 끝까지 파여있지는 않으므로 완전히 끝까지 라우팅 할 수는 없지만 적당한 지점으로 좌측/중간/우측 방향으로의 라우팅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G650K는 상단부가 급경사 수준으로 각이 져 있기 때문에 하판과 상판 사이의 공간에 케이블을 넣는 것으로 아래와 같이 좌/우 방향의 끝까지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는 자매품인 G660K에서는 할 수 없었던 부분입니다.
상단 좌측과 우측에는 밀림 방지 고무와 높이(경사) 조절 다리가 존재합니다.
다리를 펼치는 것으로 키보드의 높이와 경사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고정 강도가 상당히 강하므로 흔들림이나 접힘 없는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합니다.
다만, 높이 조절 다리 끝에는 밀림 방지 고무가 없으므로 키보드의 경사를 높인 상태에서는 경우에 따라 키보드가 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단 좌측과 우측에도 밀림 방지 고무가 자리 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키보드 측면의 모습입니다.
상단이 하단보다 높은 경사를 지닌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텝 스컬쳐 2가 만들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하단과 최상단의 높이 차이는 10mm입니다.
하단에 있는 높이 조절 다리를 펼치면 상단부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다리를 펼칠 경우 최상단의 높이가 13mm 증가합니다.
상판을 확대한 모습입니다.
로열 블루 색상의 무광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끄럽게 처리되어있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약간 펄이 들어간 것 같은 느낌도 들게 하는 표면 처리입니다.
후면에서 본 키보드의 모습입니다.
상판 윗부분이 아래로 급경사 수준으로 플라스틱 하판을 거의 대부분 가려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케이블이 나오는 중심부의 모습입니다.
기본적으로 중심에서 케이블이 나오지만, 라우팅 홀을 사용하여 좌측이나 우측으로 케이블을 정리할 수도 있습니다.
USB 케이블의 모습입니다.
요즘 추세인 패브릭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으며 1.8미터의 충분한 길이를 제공합니다.
USB 단자는 금도금 처리되어 있으며 노이즈 방지를 위한 EMI 필터도 장착되어 있습니다.
USB 단자에는 오염을 막기 위한 보호 캡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키보드의 가로 길이는 440mm, 세로 길이는 157mm으로 측정되었습니다.
하단부는 오목한 중심부는 15mm, 그 외의 부분은 18mm으로 짧기 때문에 기능적인 요소라기보다는 장식요소로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상단부 높이는 밀림 방지 고무를 포함할 경우 25.6mm, 제외할 경우 23.7mm로 측정되었습니다.
높이 조절 다리를 펼쳤을 시의 상단부 높이는 38.3mm로 측정되었습니다.
다리를 펼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약 13mm의 높이 상승효과가 있습니다.
케이블의 두께는 4mm로 측정되었습니다.
그러나 두꺼운 두께에 비하면 유연성이 좋은 편이므로 사용하기에는 좋은 편입니다.
키보드의 무게는 케이블 포함 시 966g, 케이블 제외 시 917g으로 측정되었습니다.
키보드 본체 외의 구성품인 사용 설명서입니다.
작은 종이 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설명서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의 3개국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래는 한국어로 기재된 LED 모드 설명입니다. (오른쪽 페이지)
아래는 한국어로 기재된 기능 키 설명입니다. (왼쪽 페이지)
■ 스위치 / 키캡
이제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기계식 키보드의 스위치와 키캡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키캡을 제거하면 아래와 같이 스위치와 스테빌라이저의 모습이 보이게 됩니다.
(키캡 리무버가 동봉되어있지 않으므로 키캡 제거 시 주의를 요합니다. 맨손으로 제거 시 스위치 손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스위치를 가까이에서 본 모습입니다.
스위치 하단의 각인을 통해 오테뮤(OUTEMU) 청축(클릭축)이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ED 키보드인 만큼 스위치가 역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180도 뒤집어서 읽으셔야 합니다.)
LED는 기판 위에 SMD로 부착되어 있으며, 빛의 확산을 위하여 상부 하우징이 투명한 스위치가 사용되었습니다.
길이가 긴 키캡들은 안정적인 타건을 위하여 스테빌라이저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스테빌라이저의 형태는 겉으로 보기에는 체리식 스테빌라이저와 유사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십자축을 분리할 수 있는 변형 체리식 스테빌라이저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십자축을 분리한 모습입니다.
최근 오테뮤 스위치를 사용한 키보드 일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형 체리식 스테빌라이저는 체리식 스테빌라이저 특유의 먹먹함이 거의 없고 윤활 작업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어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철심과 십자축에 오일 형태의 윤활제가 발라져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만, 윤활 효과는 미미합니다.
키캡을 살펴보기 위하여 Q 키를 제거한 모습입니다.
영문/한글이 모두 이중사출되어 있으며 LED가 투과될 수 있도록 반투명 재질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측면과 하단도 번들 키캡으로는 제법 깔끔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키캡의 마감이나 각인의 품질은 준수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키캡 표면 처리를 보여드리기 위하여 가까이에서 빛을 비춘 모습입니다.
표면이 미끈거리지 않고 약간 거친 거친 느낌을 주도록 가공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키캡 후면의 모습입니다.
상단에 보이는 작은 사출 자국 외에는 깔끔한 가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축을 포함한 상단부는 LED 투과를 위하여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키캡 상단, 하단, 측면의 두께는 모두 1mm입니다.
모든 키와 스테빌라이저의 간격이 US 표준 배열이며, 체리 호환 스테빌라이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기본 키캡 외에도 시중에 판매되는 거의 대부분의 OEM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흔히들 말하는 키캡놀이가 가능합니다.)
■ LED
이제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기계식 키보드의 LED를 켠 모습과 효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인보우 LED가 켜진 모습입니다.
위에서부터 빨강-파랑-초록-보라-분홍-주황의 LED 구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좀 더 가까이에서 키보드를 본 모습입니다.
SMD 방식의 LED를 사용하고 있어 (DIP 방식에 비해 최대 밝기는 떨어지지만) 키보드 주변에 LED 빛이 퍼지는 멋진 산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LED의 색상이나 배치는 키보드에 잘 어울리는 적절한 배치로 생각됩니다.
인디케이터를 모두 켠 모습입니다.
원형의 인디케이터는 시인성도 훌륭하고 독특한 느낌을 줍니다.
LED 색상이 파란색인 부분이 하우징과 잘 어울립니다.
키캡을 좀 더 가까이에서 본 모습입니다.
산란된 주변광으로 인해 화려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키캡을 더욱 가까이에서 본 모습입니다.
한글 각인까지 LED가 잘 투과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내등을 끈 상태에서의 키보드의 모습입니다.
레인보우 LED의 효과가 더욱 강조되어 한층 더 화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한글 각인까지 온전하게 잘 투과되므로 불을 끈 상태에서도 키보드를 사용하는 데 지장이 없습니다.
좀 더 가까이에서 키보드를 본 모습입니다.
불을 끈 상태에서는 인디케이터부의 주변까지 파랗게 빛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키캡을 좀 더 가까이에서 본 모습입니다.
키캡을 더욱 가까이에서 본 모습입니다.
키캡을 제거한 모습입니다.
투명한 스위치 상부 하우징을 통해 빛이 산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를 좀 더 가까이에서 본 모습입니다.
LED가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각인으로 투과되는 빛의 총량은 떨어지는 대신 스위치 전체에 산란되는 빛의 양은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스위치 상부에 LED가 빛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스위치 상단의 LED가 직접적으로 투과되는 부분은 카메라의 감도 특성 상 약간 과장된 감이 있습니다만, 전체적으로 LED의 효과나 색상은 상당히 좋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LED 기능
이제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기계식 키보드는 다양한 LED 기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키보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LED 모드(효과)입니다.
기본값은 '전체 LED 점등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Fn+ScrLk 키를 누를 때마다 아래와 같이 순서대로 모드가 변하게 됩니다.
(이 부분은 설명서와 실제 동작이 상이하므로 아래의 설명과 유튜브 동영상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1. 전체 LED 점등 모드 : 모든 키의 LED가 점등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2. 피아노 모드 : 입력한 키의 LED가 점등된 후 서서히 어두워집니다.
3. 숨쉬기 모드 : 모든 키의 LED가 서서히 밝아졌다 어두워집니다.
4. FPS 모드(Fn+1) : Esc, WASD, 방향키의 LED가 점등됩니다.
5. 라인 크로스 모드 : LED가 가로로 서로 교차됩니다.
6. 센터 모드 : LED가 바깥에서 가운데로 흐릅니다.
7. 스네이크 모드 : LED가 소용돌이 모양으로 바깥에서 가운데로 흐릅니다.
8. 웨이브 모드 : LED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파도처럼 흐릅니다.
9. 트리거 모드 : 입력한 키를 중심으로 LED가 파장처럼 퍼집니다.
아래는 맥스틸에서 제공하는 LED 모드(효과) 소개 동영상입니다.
기본적인 LED 효과 외에도 Fn+1~8의 기본 LED 프리셋이 내장되어 있으며 Fn+방향키로 LED 밝기와 속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LED 밝기는 3단계가 지원되며, 1단계에서 Fn+↓키를 누르면 모든 LED가 꺼지게 됩니다.
기본 LED 프리셋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Fn+9, Fn+0에는 사용자가 직접 커스텀 설정을 기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록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미지와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맥스틸에서 제공하는 LED 커스텀 모드 사용법 안내 동영상입니다.
그리고 이 키보드는 마지막으로 설정한 LED 모드, 밝기, 속도를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므로 매번 키보드를 켠 후에 설정을 변경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상당수의 보급형 기계식 키보드들이 메모리가 없거나 반쪽짜리 메모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생각하면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부가기능
이제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기계식 키보드의 부가 기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1000Hz 폴링 / 무한동시입력
이 키보드는 최적의 게이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1000Hz 폴링과 무한동시입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뱅킹이나 전자결제 시에도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무한동시입력/6키 전환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키보드가 켜질 시의 기본값은 무한동시입력입니다.
Aqua'S KeyTest로 테스트한 결과 많은 키를 동시에 입력하여도 문제없이 처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무한동시입력/6키 전환 기능을 사용하여 인터넷뱅킹과 신용카드 인증을 시도한 결과 이상 없이 사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기능키
Fn+F1~F12 키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1~F4 키가 윈도 쉘 기능키, F5~F9 키가 미디어 제어 키, F10~F12 키가 볼륨 제어 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Fn+F10~F12 키는 한 손으로 제어하기에 최적의 위치인 볼륨 조절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윈도 키 잠금
설명서와 다나와 제품 설명에는 기재되어있지 않지만 여타 게이밍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이 제품도 Fn+윈도키를 눌러서 윈도 키 잠금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윈도 키 잠금 상태를 별도로 표시하는 기능은 없습니다만, 이를 위해 윈도키의 LED를 꺼 버리는 것은 대부분이 원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올바른 선택으로 생각됩니다.
■ 타건감
이제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기계식 키보드의 타건감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단, 타건감은 주관적인 부분으로 그 사람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음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 스위치
요즘 대다수의 중저가 청축 키보드가 채택하고 있는 오테뮤 청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테뮤 청축은 일반적으로 키압이 높고 클릭음과 구분감이 큰 것으로 알려진 스위치로 경쾌한 타건감으로 인하여 대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다만, 실제로 키압을 측정해보면 오테뮤 청축과 체리 청축은 키압이 변화하는 속도의 차이를 제외하면 키압 자체는 비슷합니다. 소음은 큰 편이지만 일반적인 통념만큼 무거운 스위치는 아닌 셈입니다.
스위치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키압 그래프는 아래와 같으며, 실제 측정값도 이와 거의 비슷합니다.
◆ 타건감 / 타건음
오테뮤 청축의 날카로운 클릭음과 경쾌한 타건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키캡이 1.0mm 두께로 얇기 때문에 클릭음을 그대로 잘 전달하여 경쾌한 타건감을 즐길 수 있습니다.
클릭 스위치의 재미를 느끼기에 적당한 키보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스테빌라이저
최근 호평을 받고 있는 변형 체리식 스테빌라이저를 사용하고 있으며, 먹먹함 없는 경쾌한 타건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용된 오일 타입의 윤활제의 소음 억제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제법 큰 스테빌라이저 소음이 발생합니다.
청축(클릭 스위치) 키보드 특성상 그렇게까지 거슬리지는 않습니다만, 소음이 신경 쓰이는 분들은 구리스 타입의 윤활제를 사용하시는 걸 권하고 싶습니다.
◆ 통울림
맥스틸에서 소비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흡음재 등의 마감을 시도한 점은 높게 평가합니다만, 흡음재 내장으로 인한 통울림 억제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적인 중저가 기계식 키보드들과 비슷한 수준의 평범한 통울림을 가지고 있습니다.
청축(클릭 스위치) 키보드 특성상 사용에 거슬리는 정도는 아니며 특징적인 통울림은 아닙니다만, 흡음재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은 조금 덜어두시는 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타건 영상
참고를 위하여 실제 타건 영상을 준비하였습니다.
카메라 마이크가 키보드 가까이에 있는 관계로 실제보다 타건음과 스테빌라이저 소음이 과장되어있다는 점에 유의하시고 봐 주시기 바랍니다.
■ 전력 소모
마지막으로 MAXTILL TRON G650K 레인보우LED 기계식 키보드의 전력 소모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측정은 USB 전류 측정기를 사용하여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둘을 곱하여 전력을 환산하였습니다.
SMD 타입의 LED를 사용한 키보드인 만큼 중간 단계의 밝기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최대 밝기만을 측정하였습니다.
- LED 꺼짐 : 0.06A (0.3W)
- LED 켜짐, 최대 밝기 : 0.19A (0.95W)
최대 밝기에서 1W 미만의 적은 전력 소모를 보여주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전력 부족으로 인한 구동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총평
멋진 디자인과 충실한 기능을 갖추고 있는 가격 대 성능비가 뛰어난 키보드입니다.
키보드 자체는 오테뮤 청축 스위치, 비키 스타일의 알루미늄 상판, 레인보우 LED과 같은 최근 인기 있는(=잘 팔릴 것 같은) 요소들을 갖춘 보급형의 제품입니다만, 멋진 디자인 외에도 필요한 기능을 충실하게 지원하는 점이 돋보입니다.
특히, 실사용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전체 LED 점등, 설정값 저장 기능, 6키/무한동시입력 전환 기능이 결함 없이 완전하게 제공된다는 점은 높게 평가하고 싶은 부분입니다.
이외에도, 맥스틸에서 출시한 다른 키보드들도 비슷한 스펙과 가격대를 가지고 있으므로 마음에 드는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가격 대 성능비가 뛰어난 기계식 키보드를 찾으시는 분들에게 추천할만한 제품입니다.
◆ 장점
- 매끄러운 무광 로열 블루 상판의 멋진 디자인
- 한글 투과되는 LED 키캡
- 시인성이 좋은 Num/Caps/ScrLk 인디케이터
- 3방향 케이블 라우팅 지원
- 키캡 놀이가 용이한 US 표준 배열, 체리 호환 스테빌라이저
- 밝기, 속도, 효과를 모두 저장하는 메모리 기능
- 완벽하게 동작하는 6키/무한동시입력 전환 기능
- 뛰어난 가격 대 성능비
- 2년 무상보증
◆ 단점
- 스테빌라이저 소음 (청축 특성상 크게 거슬리는 정도는 아니지만 약간 아쉬운 부분)
- 키캡 리무버의 부재
※ 이 사용기는 컴웨이로부터 제품을 제공 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