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설명충의 TMIT, 설명충 입니다.
오늘 소개드릴 제품은 고성능 PC를 위한 고용량 파워서플라이, 잘만의 MegaMax 80+ Standard 700W 파워입니다. 이번에도 다나와 체험단을 통하여 리뷰하게된 제품입니다. 이로써 잘만의 MegaMax의 모든 라인업 제품들을 리뷰할 수 있게 되었네요. 그렇다면 왜 잘만의 MegaMax 700W가 고성능 PC에 적합한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잘만의 MegaMax 700W는 잘만의 보급형 파워서플라이 라인업 중 가장 고용량의 파워 서플라이 입니다. 파워를 선택할 때 가장 먼저 보는 요소는 바로 용량과 80+ 등급입니다. 이 파워가 스탠다드 급 500W 파워다, 이 파워는 골드 급 700W 파워다. 이런 식으로 말이죠. PC은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 게이밍이든 작업용이든 500W ~ 600W 용량이면 충분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고성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한다거나, 그래픽 카드를 2장 이상 사용하는 SLI, 또는 크로스 파이어 시스템을 구성하실 때에는 고용량의 파워 서플라이가 필요하게 되죠. 다만 80+ Standard 등급이기 때문에, 오버클럭을 진행하는 PC에는 다소 적합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엔비디아의 RTX 2080 또는 RTX 2080TI, AMD의 RX5700 또는 RX5700XT 등 고성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시면서 별도의 오버클럭을 진행하지 않고, 파워나 케이스 등에서 예산 절감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적합한 가성비 파워서플라이 입니다. 그렇다면 제품에 대해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박스 외관은 심플합니다. MegaMax의 컨센 그대로 블랙 바탕에 화이트 포인트 입니다. 박스 외관에는 MegaMax 700W의 다양한 인증사항, 출력 성능, 특징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눈에 띄는 사항은 정격 700W의 80+ Standard 파워이며, 4가지의 보호회로 내장, 105℃까지 사용 가능한 고성능의 캐패시터 장착 등 눈에 띄입니다. 캐패시터는 삼손(Samxon)의 105℃ 캐패시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삼손의 대만의 업체로, 삼손 캐패시터는 괜찮은 품질의 캐패시터로, 보급형 파워서플라이에서 많이 보이는 믿을만한 캐패시터 입니다.
구성품은 간단합니다. 파워 본체와 설명서, AC파워코드 그리고 선정리를 위한 케이블 타이와 고정 나사가 들어있습니다. 파워 본체는 완충제로 한번 더 완충되어 있습니다.
4
파워 본체는 깔끔하게 생겼습니다. 블랙 바탕에 화이트 색상으로 포인트가 들어가 있습니다. 500W와 600W와는 다르게, 케이블의 수가 많기 때문에 고무줄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박스 외관과 동일하게 제품에 대한 스펙이 적혀 있습니다.
케이블은 24pin 메인 케이블만 슬리빙 처리된 검정색 케이블 입니다. 나머지 케이블은 검정색의 플랫 케이블 입니다. 플랫 케이블은 조립 및 선정리 시에 시스템 내부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 것은 개인적으로 파워를 선택하는 필수적인 기준 중에 하나 입니다. 알록이 달록이 개인적으로 극혐하기 때문이죠.
케이블들의 모습입니다. 커넥터 부위에 어떤 커넥터인지 써있지 않은 것이 사실 살짝 아쉽습니다만 전체적으로 커넥터 케이블 모두 품질이나 마감이 괜찮습니다. 700W의 고용량 파워 인지라 케이블 수가 참 많은데요, 6개의 Sata 케이블로, SSD와 HDD를 6개 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M.2 SSD까지 사용한다면 이론상 최대 8개의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상편집용 PC에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진 출처 : 애즈락 공식홈페이지, X570 타이치
CPU 보조전원은 일반적인 8핀이 아닌 8+4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메인보드는 8핀을 사용합니다. 저는 지금까지 조립했던 모든 컴퓨터 다 8핀을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애즈락의 X570 타이치와 같이, 고가의, 고성능의 메인보드의 경우 8+4핀, X499 와 같은 워크스테이션 급 PC의 경우 8+8핀도 사용합니다. Megamax 700W는 고성능 시스템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고려를 많이 한 모습이 보입니다. 사실 8+8 핀을 쓸정도로 고성능 메인보드라면, 파워 또한 가성비 파워를 찾지 않겠죠.
PCI Express 전원도 6+2핀 + 6+2핀 총 16핀 짜리 케이블이 2개 들어있습니다. PCI Express는 그래픽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인데요. 고성능의 시스템에선 그래픽카드를 2장 사용하는 SLI 나, 크로스 파이어 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SLI는 엔비디아의 그래픽을 2장 사용하여 그래픽 성능을 높이는 기술이며, 크로스 파이어는 AMD 의 그래픽 카드를 2장 사용하여 그래픽 성능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엔비디아의 경우 2070 Super 이상의 하이앤드급 그래픽카드만 SLI를 지원하며, 1장의 전력 소모량만 하더라도 엄청나기에, 700W도 SLI를 구성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AMD의 경우, 중급 성능의 GPU에서도 크로스 파이어를 지원하는데요, 700W 급 파워서플라이라면 RX570, RX580의 크로스파이어가 가능합니다.

사진 출처 : 퀘이사존

사진 출처 : 퀘이사존

사진 출처 : 퀘이사존
파워의 성능 같은 경우, 퀘이사존의 테스트를 참고하였습니다. 전력 효율의 경우, 최대 87.36%, 최소 81.52% 입니다. 적당히 괜찮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다만 12V 출력 전압이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보급형 파워임에도, 가장 중요한 12V 출력 전압이 전압 강하 거의 없이 안정적인 출력을 보여줍니다. 이정도라면 적당한 수준의 오버클럭에도 적합해 보입니다. 실제로 저는 3700X를 MegaMax 600W 파워와 사용하고 있으며, PBO 기능을 통해 적당한 수준으로 오버클럭 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44배수 잘 터져주고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음의 경우에도 거이 없는 수준이죠. 다만 리플과 노이즈의 경우 타사 보다 살짝 높은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살짝 아쉬운 부분입니다.
정리하겠습니다!
잘만의 MegaMax 700W 파워는 59,000원에 구매할 수 있는 80+ Standard 보급형 파워입니다. 몇 년 전만하더라도 파워는 100W당 1만원은 투자해야 쓸만한 파워를 구매할 수 있다고 하였죠. MegaMax 700W는 100W당 대략 8500원 꼴로 가성비가 괜찮은 파워 서플라이 입니다. 4중 안전 보호 회로 있고, 12V 라인 출력 안정적이고, 케이블도 많아, SSD나 HHD를 많이 이용하는 고성능 PC에 적합한 파워 서플라이로 보여집니다. 무상보증 또한 6년으로 넉넉합니다. 다만 리플과 노이즈는 조금 아쉬운 수준입니다. 개인적으로 고성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 CPU와 그래픽 카드에 예산을 몰빵한, 가성비 시스템, 영상 편집, 3D 모델링 등 작업용 PC에 추천드립니다.
오늘도 긴 글을 읽어주신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오늘 소개드린 제품은 아래 링크를 통하여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