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기술이 눈에 띄게 발전하면서, 4K UHD 해상도 모니터 시장에도 저렴하게 구입할만한 제품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해상도를 출력하기 위해 그래픽 카드도 그만큼 고가 제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요즘 출시되는 최신 게임들의 경우, 사실상 4K UHD 해상도를 적절한 프레임으로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유저에게 비용적으로 부담이 커서, 옵션으로 타협할 수밖에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해상도를 가장 먼저 낮추게 되는데요. 그렇게 되면 '4K UHD 해상도 모니터가 꼭 필요할까?'라는 합리적인 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비트 엠 Newsync X320Q75 컬러풀 제품 박스, 보기보다 크고 묵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QHD 해상도를 갖춘 '비트엠 Newsync X320Q75 컬러풀'이라는 제품을 소개해보려 합니다. 4K UHD 해상도의 3840 x 2160보다는 조금 낮은 2560 x 1440이지만, FHD 모니터들 1920 x 1080보다는 확실히 높은 해상도를 갖추고 있습니다.
시중에서 4K UHD 모니터 중 저렴한 모델은 28인치 화면 크기의 TN 패널이 주류였지만, 'Newsync X320Q75 컬러풀'은 무려 32인치로 더 넓은 화면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패널도 A-MVA 패널을 사용해서 광시야각과 색감까지 잡았습니다.
다나와에서 2020년 8월 1주 차 무료배송으로 20만 원 초반대에 판매되고 있는데요. 32인치 모니터들 중에서는 매우 저렴한 축에 속합니다. 거기에 이것저것 숨은 재주도 많아서 하나씩 소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 패널 부분, 스탠드 쪽이 반조립 형태로 포장이 되어 있습니다.
우선, 박스를 개봉하면 32인치의 커다란 패널이 반겨 줍니다. 큰 화면만큼 무게도 묵직한 편이라, 신중하게 다룰 필요가 있습니다. 패널을 꺼내기 전 스탠드 받침 부분을 먼저 조립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모니터 액세서리, 부품 및 설명서
패널을 보호하고 있는 부분 반대편에, 나머지 액세서리들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사진 왼쪽부터 DP 케이블, 전원 어댑터, 스탠드 받침대, 설명서, 조립용 나사 순서입니다.
독특한 형태의 전원 어댑터
전원 어댑터는 12V, 4A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AC 코드 연결 부분 상단이 튀어나와 있어서 멀티탭 연결 시, 간섭이 생기는 경우가 있더군요. 이 부분은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스탠드 받침 조립 장면
패널을 꺼내기 전, 스탠드 받침을 우선 조립했습니다. 나사 2개만 조이면 완성입니다. 이제 묵직한 완제품을 조심스럽게 꺼낼 수 있습니다.
조립 완성 후, 제품 후면 모습
가격대에 비해 후면 디자인은 인상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상단에는 독특한 모양의 발열구가 있고, 하단에는 스테레오 스피커와 입/출력 단자가 위치해 있습니다.
그리고, 100 x 100 규격의 베사홀 주변에 흰색 링에 'Newsync X320Q75 컬러풀'의 숨은 재주가 하나 숨어 있습니다. 모니터를 사용할 때 나타나기 때문에 잠시 후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후면 하단의 입출력 단자 모습
입출력 단자는, 왼쪽부터 HDMI 2.0, DP 1.2, 오디오, USB, 전원 입력 단자 순서입니다. 기본적으로 두 개의 5W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지만, 오디오 단자를 통해서 외장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USB는 서비스 포트지만, 테스트 결과 0.5 ~ 1A 사이 출력은 나오고 있어서 스마트 워치같이 저전력 충전이 필요하거나, 간단한 USB 선풍기, LED 스탠드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측면부 모습
측면부에서 보면 스탠드가 아슬아슬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줍니다. 그러나 받침까지 스틸 재질이고 꽤나 안정적으로 고정돼 있어서, 타이핑을 하거나 틸트 기능을 사용할 때 불안한 동작을 보이지는 않습니다.
전면부 모습
전면에서 바라보면 평범한 디자인에, 특출난 기능은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패널 표면이 눈부심 방지 코팅이 되어 있고, 플리커 프리와 로우 블루 라이트 등 시력보호를 위한 기능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전면부 하단 모습
베젤 부분은 무광 재질이어서 웬만한 오염이나 지문에 강합니다.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는 재질과 색상입니다.
하단 OSD 버튼 상세 모습
비트 엠 'Newsync X320Q75 컬러풀'의 숨은 재능을 꺼낼 수 있는 마법의 버튼입니다. 게임 좀 한다면 AMD '프리 싱크'나 Nvidia '지 싱크'를 들어본 적이 있을 텐데요. 그래픽 카드의 양대 산맥인 두 회사의 기능을 모두 지원합니다.
얼마 전에도 비슷한 주제를 다룬 적이 있는데요. 관심 있으시다면 첨부한 링크 참고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참고: G-Sync 호환! 비트 엠 Newsync X28UHD IPS ZERO HDR 모니터 리뷰)
뿐만 아니라 고화질 영상을 감상할 때 좋은, HDR 기능도 OSD 버튼을 통해 작동 시킬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FPS 게이머를 위한 조준선 표시나 오버드라이브 같은 재주들도 다양하게 갖추고 있죠.
제품 후면, 백라이트 모습
전원이 들어오면, 후면 LED 링에 은은하게 빛이 들어옵니다. 어두운 곳에서 보면, 사진보다 선명하고 방향에 따라 조금씩 다른 색을 띠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진 좌측 하단에 푸른 불이 비치는 것이 보이는데요. 요즘 차량의 웰컴 라이트처럼, 전원 버튼이 있는 바로 하단을 비춰주고 있습니다. 전원이 들어와 있을 때는 푸른색을, 안들어와 있을 때는 붉은색이 나타납니다.
백라이트 상세 모습
차량의 앰비언트 라이트처럼 모드가 바뀌거나 화면에 출력 되는 생상에 따라 색상이 바뀔 줄 알았는데요. 이리저리 OSD 설정을 바꿔보거나 매뉴얼을 뒤져봐도, 그런 기능은 찾아볼 수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그래도, 모니터 후면이 벽면을 항해 있지 않은 배치거나 어두운 환경에서 은은하게 비쳐 보이는 LED 라이트는, 마치 따로 튜닝을 한듯한 느낌을 줄 것 같습니다.
책상 위에 설치한 모습
책상이 좌우로 800mm 사이즈 제품인데, 공간을 꽉 채운 것 같이 보입니다. 32인치가 정말 크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를 띄운 모습 | 권장 값 배율 200%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를 띄운 모습입니다. 이전에 4K UHD 해상도 모니터를 사용해서 그런지, 폰트도 아이콘도 모두 큼직큼직해서 생경한 모습이었습니다.
윈도 디스플레이 설정 | 배율 100% 조정
윈도의 디스플레이 설정에서는 권장 설정값인 200% 배율로 설정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몇 번 테스트해 본 결과, 32인치가 모니터로는 매우 큰 화면이라 QHD 해상도라도 배율은 100%가 적합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듀얼 브라우징 | 배율 100% 조정
고해상도 모니터에서만 누릴 수 있는, 듀얼 브라우징을 해보았습니다. 배율 100%에서 네이버와 다나와 메인 모두 넉넉하게 브라우징 할 수 있는 QHD 해상도입니다.
맥북프로 | DP to C 타입 연결
다음은 IT 분야 업무용으로는 어떤지 테스트해봤습니다. 보통 한쪽에 문서를 띄어 놓고 데이터 소스를 함께 보거나, 작성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넓은 화면 덕분에 창의 배치도 자유롭고, 깨알 같은 글씨들도 선명하게 눈에 들어와서 당장 사무실에 들고 가고 싶은 욕심이 들었습니다.
윈도 디스플레이 설정 | 재생 빈도 75Hz 설정
마지막으로 'Newsync X320Q75 컬러풀'의 숨은 재주는 주사율입니다. 일반적인 모니터 보다 높은 75Hz까지 설정할 수 있는데요. 화면 전환이 빠른 게임을 할 때 잔상을 줄여주기 때문에, FPS 장르를 즐기는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타이탄 폴 온라인 | 게임 플레이 영상
끝으로, '타이탄 폴 온라인'이라는 CBT 게임 플레이 영상으로 'Newsync X320Q75 컬러풀' 사용기를 마무리하겠습니다. 실제로 눈으로 보는 것과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패널의 색감이나 내장 스피커 품질, 빠른 화면 전환 시 잔상이 어느 정도 있는지 등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앞에서도 설명드렸지만, 4K UHD 출력을 위해서 갖춰야 할 PC 시스템은 고성능의 그래픽카드 때문에 비용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비트엠 'Newsync X320Q75 컬러풀' 제품은 20만원대 초반에 구입할 수 있는 대화면의 QHD 모니터로, 저렴한 가격과 여러 용도에 적합한 기능까지 넉넉하게 갖췄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PC 시스템 밸런스를 맞춰줄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책 입니다.
fin.
※ 본 리뷰는 비트엠 통해서 제품을 지원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우츠미 과장 님께서 작성하신 글이 소비자 사용기 게시판으로부터 2020.08.06 03:24:21 에 이동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