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동일 제품군의 700W를 체험하고 다시 500W를 다시 리뷰하는 이유는 최근 AMD 라이젠 르누아르 4650G를 리뷰하면서 사무용/일반용 PC에 가장 적당한 파워가 500W급이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최소 200W면 구동이 가능하나 다른 주변 장치를 고려 시 500W급이 적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모든 파워는 정격 출력의 50%대에서 가장 효율이 좋다는 건 아시죠?? 500W는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면 200~300W에 딱 좋은 파워예요. 더구나 풀로드가 아니면 발열도 작아져 그만큼 팬 소리도 시끄럽지 않습니다.
지난번과 동일 한 내용이지만 효율 등급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파워의 효율에 따라 등급이 나뉩니다. AC를 DC로 변환하면서 효율이 80% 이상인 제품을 80 Plus라는 인증이 부여됩니다. 230V EU 플러그 기준 80 Plus는 100% 로드에서 효율이 82% 이상인 제품입니다.
기준과 동일하게 대부분의 파워는 로드가 50% 걸렸을 때 효율이 좋습니다. 40% ~ 60%대를 200W로 감안한다면 왜 500W 파워가 가장 잘 어울리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개봉기
구성품 : 파워, 파워 선, 케이블 타이, 볼트
3. 사용기
- 장착성 : 올블랙 & 플랫 케이블로 깔끔한 선 정리가 가능했습니다. 높이 45cm의 미들타워에 조립 시 10cm 이상 여유가 있었으므로 높이 50cm의 케이스에 사용하셔도 충분하실 것 같습니다.
CPU 보조 전원은 8핀 + 4핀을 지원합니다. 플랫 케이블이라 선 정리에 매우 용이했습니다.
- 파워 테스트
수랭에 필요한 전력 90W를 제외하면 요구되는 파워는 최대 190W입니다.
두 배로 잡아도 500W 면 차고 넘칩니다.
그럼 CPU 풀로드 사용 전력은 시네벤치 20으로 확인해 보면
최대 64.799W로 65W 이내입니다.
GPU의 풀로드는 3D Benchmark의 Time Spy로 측정해 보면
GPU의 최대 소비전력은 64W입니다.
스펙상으로 확인한 내용과 비슷한 결과입니다.
300W 이하 소비 전력을 사용 시 파워 팬 소리는 매우 정숙했습니다.
여기서 끝내면 재미가 없겠죠? 500W 이상을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안전 회로 가 없는 경우 정격출력 이상이 소비되는 경우 회로가 파손되면서 CPU, RAM, 메인보드 등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 회로 가 있는 잘만 파워를 믿고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추가 전력 소비를 위해 RX 5700XT를 추가하였습니다.
48(CPU)+59(Internal GPU)+325(External GPU)+30(External GPU Memory)= 492W
측정된 최대 소비전력만 492W입니다.
수랭 소비전력 90W만 추가해도 이미 정격출력을 초과하였지만 아무런 문제 없이 Pass 하였습니다.
물론 모든 전력소비가 최대로 동시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서 감안을 해야겠지만 적어도 500W에 근접한 것은 확실합니다.
5. 팬 성능
[베어링]
팬은 요즘에 가성비로 많이 사용되는 하이드로 다이내믹 베어링입니다.
팬에 사용되는 베어링의 종류를 간략하게 분류하면
- 슬리브 베어링 : 윤활유로 마찰을 줄여주는 방식
- 볼 베어링 : 구슬을 이용하여 마찰을 줄이는 방식으로 수명이 긴 장점이 있지만, 비교적 충격에 약하고 소음이 발생함
- 유체 베어링 : 이 모든 장점과 단점을 보완한 유체 베어링이 소음은 줄이고 수명은 늘어나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유체 베어링이라고 불리는 제품은 윤활유 처리에 따라 성능과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슬리브 < 볼 < 유체 베어링 순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비교가 됩니다.
[팬 소음]
금번 리뷰는 르누아르 APU와 A520 보드 조합인 사무용 혹은 일반용 PC를 대상으로 하는 테스트였으며 소비 전력 200W를 넘지 않는 조건에서는 거의 무소음에 가까웠습니다.
6. 소감
발열이 적은 AMD의 르누아르의 저전력 APU와
사무실에 잘 어물리는 저소음 설계잘만 S3 아크릴 케이스에
가성비파워인 잘만 MegaMax 500W의 조합은 완벽한 앙상블로 생각됩니다.
무상보증기간 6년 제공되니 고장나도 걱정없겠죠.
정말 환상의 사무용 PC의 가성비 조합이네요.
ASa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