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방송장비 스카이디지탈 슈퍼캐스트 X LIVE 4K캡쳐카드 리뷰"
게임방송장비_유튜브나 트위치를 보면서 "나도 게임 BJ 한번 해볼까??"라는 생각들 요즘 세대라면 누구나 생각해보셨을 텐데요. #유튜브 #아프리카TV #트위치 #카카오팟 기타 등등 스트리밍을 하기 위해선 필요한 #게임방송장비 들이 몇몇 개가 있습니다. 뭐 기본적으로 시청자들과 소통을 해야 하니 마이크나 이어폰 그리고 내가 플레이하는 게임을 송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캡처보드 같은 게 필요할 텐데요.
요즘에는 PC 게임 이외에도 플레이스테이션이나 닌텐도 스위치 게임들도 많이 스트리밍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의문이 들겠죠. 저런 비디오게임기는 과연 어떻게 녹화를 해서 올리는 거지??라고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HDMI 단자를 이용해 컴퓨터뿐만 아니라 비디오게임기, DSLR, 미러리스 같은 카메라까지도 영상 녹화 및 스트리밍을 할 수 있는 게임 방송장비를 소개해드릴게요._
바로 #스카이디지탈 브랜드에서 판매 중인 #슈퍼캐스트 #XLIVE #4K캡쳐카드 입니다.
현재 다나와 최저가 기준으로 292,680원에 판매 중인 제품인데요 4K 해상도에 60FPS을 지원하고 HDR 모드로 어두운 장면까지도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해주는 캡처 보드입니다.
인터넷 스트리밍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Xsplit 부터 #OBS #팟플레이어 #GoogleHangouts 같은 프로그램에서 완벽하게 지원 가능한 제품이에요.
최신 4K 화질을 위해 H.265 코덱을 지원하고 있고 EDID 편집 및 PCM/AC3/DTS 재생 및 레코딩까지 가능해 컴퓨터뿐만 아니라 비디오게임들의 고화질 영상을 그대로 녹화, 송출하는데 특화된 모델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스카이디지탈의 독보적인 기술로 개발된 11.1Gbps의 데이터를 리얼 RGB 24비트와 YUY2 16비트(7.4Gbps)에서도 4K 60FPS를 지원해 프레임 드롭 없이 깔끔하게 처리 가능한 4K 캡처카드에요.
제품 구성품입니다. 스카이디지탈 슈퍼캐스트 X LIVE 4K 캡처카드와 HDMI 2.0 케이블 그리고 사용설명서가 있습니다.
제품 사이즈는 152x102x18mm로 메인보드에 장착 시 그래픽카드에 간섭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두께입니다.
상단에는 발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기구멍이 나 있고 측면 부분에도 구멍이 널찍하게 나 있어 동일 조건에서 30분 이상 작동 후 온도를 측정했을 시 40도 초반대 정도로 발열이 적다고 하네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기가 없어서 수치상으로 보여드릴 순 없지만 몇 시간을 영상 녹화를 하더라도 손을 대 보니 전혀 뜨겁지가 않았어요.
뒷면입니다. 포트는 HDMI 단자 OUT, IN 두 개가 자리해 있습니다. 사실 PC나 게임기 이외에 카메라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하나 더 있길 바랐지만 스카이디지탈 슈퍼캐스트 X LIVE 4K 캡처카드 모델은 HDMI 포트가 2개뿐이라는 점이 조금 아쉽네요.
스카이디지탈 슈퍼캐스트 X LIVE 4K 캡처카드의 인터페이스는 PCI-Express gen2 4x로 PCI 4x/8x/16x에 장착해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에 장착할 시 반드시 전원을 끈 상태로 장착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시에는 주변기기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는 주의 문구까지 친절하게 설명서 안에 적혀있었습니다.
기기와 연결하는 방법도 두 가지로 친절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스플리터 기능을 활용해 모니터를 연결해서 쓸 것 인지 아니면 게이밍용 PC에 다이렉트로 모니터를 연결할 것 인지 차이입니다.
스카이디지탈 슈퍼캐스트 X LIVE 4K 캡처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권장사양은 인텔 i7-6세대 이상급에 메모리 16GB 그래픽카드 GTX 1050이상 급이 되어야 한다고 해요. 물론 PCI-E Gen2.0 4x 이상 지원하는 슬롯이 있어야 하고요. 그 외 필요하다면 영상 저장을 위한 SATA3 200GB 급의 HDD나 SSD, 외장하드가 필요하며 OS는 윈도 10에서만 지원을 합니다.
제 컴퓨터 세팅 스펙입니다.
송출용 컴퓨터
CPU - AMD Ryzen 7 3700X
RAM - 64GB
메인보드 - 컬러풀 BATTLE-AX B450M-G DELUXE V14 STCOM
그래픽카드 : ASUS ROG RTX 2070 SUPER D6 8GB
파워 : 쿨러마스터 MWE 650 230V
게이밍용 컴퓨터
CPU - 인텔 I7-10700 + 잘만 CNPS10X OPTIMA II
RAM - 32GB
메인보드 - MSI MAG B460M 박격포
그래픽카드 : ASUS ROG RTX 2070 SUPER D6 8GB
파워 : DEEPCOOL DQ850-M-V2L 80PLUS GOLD FULL MODULAR
송출용 컴퓨터에 캡쳐보드를 장착했으면 스카이디지탈 홈페이지로 가셔서 드라이버 및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스카이디지탈 홈페이지 메인화면 상단에 있는 고객지원을 클릭한 뒤 Hot 다운로드 & 자료실에 들어가면 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skyok.co.kr/bbs/board.php?bo_table=down_board
게시글 중 "캡처 보드 / TV 수신기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들어가면 내장형 PCI-E 방식 중에 슈퍼캐스트 X LIVE 4K 가 있는데 본인이 구매한 제품의 모델명을 클릭해 주면 드라이버 및 소프트웨어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드라이버 / 소프트웨어 설치 후 실행을 해보니 별다를 것 없는 심플한 디자인의 UI의 창이 뜨면 게이밍 PC의 화면이 모니터링 되기 시작합니다.
환경설정 창의 모습입니다. 드라이버/외부장치/프로그램/녹화/인코더/디코더/랜더러의 설정을 컨트롤할 수 있는데요. 우선 드라이버 내에서는 비디오 표준 NTSC, PAL, SECAM 중에 선택을 할 수 있고 16,24비트의 색상 선택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밝기, 대비, 색상, 채도의 컨트롤은 물론이고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바로 스플리터 EDID를 통해서 1080p 120,144,240Hz / 1440p 120,144HZ 설정을 통해 주사율까지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녹화하는 디지털 파일 포맷(ts, ts_all, mpg, mkv) 아날로그 파일 포맷(avi, ts, mp4,mkv) 설정부터 인코더, 비디오/오디오 코덱,렌더러 등등 입맛대로 설정을 할 수 있어 초급자에게는 필요가 없겠지만 전문적으로 레코딩을 하는 분들에게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능들입니다.
저는 일단 별다른 설정을 바꾸지 않고 초기설정 그대로 놔둔 체 게임을 녹화해봤습니다. 플스나 닌텐도 스위치가 없어서 투컴 세팅으로 만 녹화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출력 단자의 패스쓰루 기능 통해서 영상은 물론이고 음향까지도 아주 깔끔하게 녹화, 녹음이 된 걸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소프트웨어 내의 단축키들을 활용해서 손쉽게 레코딩 시작, 종료를 할 수 있었습니다.
녹화가 진행되면 스카이디지탈 슈퍼캐스트 X LIVE 4K 캡처카드 내에서 파란색과 빨간색의 LED 등이 번갈아가면서 점등이 되는데 눈에 띄게 보이지는 않아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녹화가 완료되면 내가 지정해뒀던 폴더 내에 촬영한 날짜와 시간이 파일명으로 저장이 되어 간편하게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게임방송장비인 스카이디지탈의 슈퍼캐스트 X LIVE 4K 캡쳐보드를 한번 사용해 보았습니다. 게임 유튜버를 꿈꾸시는 분들 조금 있으면 신제품인 플스 5나 엑시엑이 출시될 예정인데 아마 신규 유튜브로써 스타트를 하기 좋은 시기가 아닌가 싶네요.
무엇보다 현재 해당 제품 구매시에 Xsplit을 2개월 동안 구독할 수 있는 프리미엄 라이센스까지 제공해주는 혜택도 있으니까 참고하셔서 활용해보세요.
PS5나 XBOX 시리즈 X 스트리밍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게임방송장비인 4K 캡처카드를 구매계획하고 있다면 아래 링크로 가셔서 꼼꼼히 살펴보신 뒤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1494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