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품 소개
WD는 HDD SSD등 저장장치를 주로 만드는 회사로 비교적 다양한 라인업의 저장장치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개인용 SSD를 보면 엔트리급 Green, 보급형인 blue, 퍼포먼스급 black 등이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대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무난하게 사용할만한 보급형 SSD WD blue SN550 NVMe을 소개해보겠습니다.
(WD blue의 경우 현재 sata타입의 SSD와 NVMe SSD가 모두 출시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소개하는 제품은 NVMe SSD입니다. )
WD blue SN550의 스펙입니다. TLC, 디램리스, 3d nand SSD로 500GB 모델 기준 최대 2400Mb의 읽기 속도, 최대 1750Mb의 쓰기속도를 지원합니다. 제품 사용시간은 175시간이며 TRIM 기능과 SLC 캐싱 등 기본적인 기능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제품 사이즈는 M.2 2280으로 현재 M.2 슬롯에 장착되는 가장 일반적인 사이즈입니다. PCI 인터페이스는 3.0X4로 역시 현재 출시되는 NVMe SSD의 가장 일반적인 인터페이스입니다.
정품의 경우 5년의 품질보증을 제공합니다.
2. 언박싱
박스 정면에 간단한 제품 특징과 정품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국내에서 정품 WD SSD를 구매하면 저렇게 정품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상자 상단의 봉인씰을 제거하고 상자를 개봉하면 플라스틱 틀 안에 SSD가 포장되어 있습니다.
구성품으로 SSD와 제품 매뉴얼이 들어있습니다.
3. 외관
WD blue라는 브랜드명 답게 파란색 기판에 부품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M.2 SSD의 디자인이지만 대부분의 소자들이 좌측과 우측에 붙어서 배치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에는 큰 부품은 배치되지 않았습니다.
좌측 부분의 경우 Sandisk 메모리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우측 부분에는 핵심 부품 2개가 위치하고 있는데 Sandisk 20-82-10023-a1 컨트롤러와 PMIC(power management IC) 90430VM330 입니다. (PMIC는 각 부품에 전원 공급 및 전압 조절 등의 기능을 하는 IC로 사실상 대부분의 보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 컨트롤러의 경우 디램리스 제품으로 SN550은 디램이 없는 제품입니다.
4. 설치
사용하는 보드의 M.2 슬롯(NVMe 지원 슬롯)에 껴 주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2슬롯이 SATA 버전의 SSD만 지원하는 보드의 경우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방열판 없는 온도 테스트를 위해 방열판과 SSD 사이의 서멀패드는 제거하고 장착하였습니다.
부팅 후 SSD 볼륨 설정 후에 크리스탈인포에서의 모습입니다. PCIe 3.0 X 4 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온도의 경우 IDLE 상태에서 30도 이내로 상당히 좋은 수준을 보여줍니다.
5. 벤치마크
*테스트 환경
CPU : intel i5-9600KF
M/B : Asrock Z390 ex4(SSD 방열판 서멀패드 제거)
Ram : G.skill TridentZ RGB 3600 CL16 16Gb * 2
VGA : RX570 4G
Power : Antec eag pro 750W gold
(1) 0% 상태
가장 대표적인 저장장치 벤치마크인 CrystaldiskMark입니다.
소개된 스펙대료 2400Mb이상의 읽기 속도와 1750Mb이상의 쓰기 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S SSD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TTO 벤치마크 역시 스펙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2) 83% 상태
83%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크리스탈디스크마크입니다. 0% 인 경우와 큰 차이가 없는 속도를 보여줍니다.
AS SSD 역시 0%인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WD blue sn550의 경우 제품 용량이 어느정도 채워져 있어도 속도하락은 거의 없으며 거의 일정한 성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HD tune
대용량 전송 복사 읽기 등의 실사용에 조금더 가깝다고 할 수 있는 HD tune 벤치마크 결과입니다.
읽기의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균일한 속도를 유지하고 있으나 쓰기의 경우 초기 이후에는 약 420MB 정도로 속도가 많이 떨어집니다. 아무래도 디램리스 제품의 한계로 쓰기 성능은 조금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떨어진 쓰기 속도의 경우에도 420Mb 수준으로 일반적인 SATA 방식의 SSD와 비슷한 수준으로 실 사용환경에서 아주 큰 문제가 생길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4) 더티테스트
SSD를 0%부터 지속적으로 파일을 생성하여 쓰기 작업을 반복하는 나래온 더티 테스트입니다.
HD tune의 결과과 유사하게 초기 이후에 속도가 감소하여 이후에는 420Mb 정도로 복사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벤치마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품의 저장공간의 남은 정도로는 제품 성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디램리스 제품인 만큼 대용량 쓰기 작업시 성능 저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읽기 작업의 경우 디램리스 제품의 경우에도 큰 성능차이가 없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쓰기 작업에서 성능이 떨어지는 부분도 약 420Mb로 일반적인 SATA 방식의 SSD와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에 실 사용환경에서 아주 크게 답답한 수준은 아닙니다. 또한, 일부 SSD의 경우 디램 포함 제품에서도 대용량 쓰기 작업시 성능 하락이 발생함을 감안하면 꽤 괜찮은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6. 소프트웨어
(1) 대쉬보드
웨스턴디지털 공식 홈페이지에서 대쉬보드라는 프로그램으로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제조사가 최신 펌웨어를 제공하는 경우 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최신 펌웨어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2) 아크로니스 트루 이미지
일부 SSD 제조사의 경우 자사의 SSD를 구매하면 데이터 파괴를 할 수 있는 Acronis True Image를 제공하는데 WD역시 이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는 역시 Western digital 공식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 받아 설치를 하면 몇 가지 기능은 막혀있고(유료 버전에서 사용가능) 몇 가지 기능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경우 디스크 복제, 백업, 데이터 파괴 등으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할 만한 기능들은 무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데이터 파괴의 경우 데이터 복원이 되지 않도록 파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뜻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알고리즘의 데이터 파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상에서 데이터를 제거할 SSD와 파괴 알고리즘만 선택해 주면 쉽게 진행이 가능합니다.
7. 온도
WD Blue SN550은 idle 상태에서 약 30도의 온도를 보여주었습니다. 나래온 더티테스트가 진행되는 동안(지속적인 쓰기작업) 최대 57도까지 온도가 올랐는데 약 400Gb 이상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쓰는 작업을 한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준수한 수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 테스트 환경에서 방열판과 SSD사이에 서멀패드 제거로 사실상 SSD 방열판이 없는 것과 유사한 환경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꽤 좋은 온도이며 별도의 방열판이 필요한 제품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8. 총평
WD blue SN550은 보급형 NVME SSD로 TLC, 디램리스 제품입니다. SSD 시장에서 디램리스에 대한 인식이 그렇게 좋지 않고 저 또한 디램리스 SSD를 좋게 보지 않았지만 위 제품의 경우 지속적인 쓰기작업에서도 400MB/s 이상의 전송률을 꾸준하게 유지해 주었습니다. 이 정도 수치면 대부분의 사용자 환경에서 큰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한 수준이며 일반적인 SATA 방식의 SSD와 유사한 수치로 사용하면서 답답함을 느낄일은 거의 없어보입니다.
또한, WD 제품의 경우 자체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안전한 데이터 파괴, 백업, 복사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누구나 쉽게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역시 상당한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WD blue SN550은 현재 500g 기준 약 8만원에 판매되는 NVMe SSD 중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제품에 속하며 AS 기간도 비교적 넉넉한 5년이기 때문에 이 부분 역시 이 제품이 강점입니다.
디램리스 제품이지만 게임 등의 읽기 작업 위주로 하는 분들의 경우나 영상 등의 데이터 저장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성능이 떨어지는 부분이 별로 없기 때문에 충분히 구매를 고려해보아도 괜찮은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제품 링크 : http://prod.danawa.com/info/?pcode=10120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