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아흐로 모처럼의 컴퓨터 시스템을 갈아 엎으려던 약 1년전.
리사쑤의 AMD 가
RDNA 1.0의 라데온 5700XT 로 모처럼 엔비디아에 싸움을 걸고,
Zen2 의 3600 등으로 인텔에 싸움을 걸때
그 기운에 자연스래 3600 + 5700XT 의 조합을 갖추었다.
고성능의 그래픽카드를 사는 대부분이 그렇듯이 부족하지 않을까 싶은 마음에
든든하게 용량의 파워를 위해 650W 의 파워를 장착하였다.
CPU/그래픽카드에 대한 벤치를 볼때마다 성능만큼 대등한 수준으로 다루어지는 것이 바로 전력소모량이다.(유휴/최고 등)
그래서 항상 궁금한 부분이 있었다.
내 파워는 적당한가/과잉인가.
그런 궁금중을 한켠에 두고 일상을 살아가던 어느날.
수시로 들려오는 고성능 컴퓨터 부품들의 출시 소식에 기존제품들과의 비교하기 가장 좋은
다나와에 들어와 두리번 하던 와중 발견한
다나와 체험단 모.집!
거기에 있었다.
잘만의 500W 파워.
사실 600W파워도 같이 체험단을 모집하고 있었지만
나의 호기심 가득한 내면은 외치고 있었다.
500W 파워를 신청해서 너의 5700XT 를 시험해!
그리하다 500W 파워 체험단에 당첨되었고
나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시간이 되었다.
이를 위해 사전에 파워와 전류사용량에 대한 부분을 간단한 수준으로 사전체크해보았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가장 전기를 많이 먹는 두 요소인 CPU와 GPU를
각종 하드웨어 사이트의 벤치글을 참고해본다면
인텔 i5, AMD 라이젠5 라인업의 CPU 들의 최대 소비전력은
150W 정도.
엔비디아 지포스 -60/-70, AMD 5600/5700 라인업의 GPU 들의 최대 소비전력은
150W~200W 정도이다.
(물론 그래픽카드의 경우는 제조사별 라인업따라 좀더 차이가 있겠지만)
CPU,GPU 를 포함한 시스템 전체 소비전력은 200~300W 정도이고
이보다 상위 라인업인 i7/라이젠7 등의 CPU, -80/-800 라인업의 GPU 들을 쓴경우라 할지라도 시스템 전체의 최대 소비 전력은 400W 안팎이 나오는 편이다.
물론 벤치들은 필수 구성 만으로 체크했을때이고 우리가 실사용할때는
사람들마다 메인보드/케이스/쿨링팬등에 LED도 들어가있을테고 USB 포트등에 미니선풍기 등 추가로 전력을 전력을 소모할 여지들이 제각각이니
그래픽카드제조사들이 고성능의 그래픽카드에 700~800W 정도의 파워를 권장하는게 괜한 것은 아닐것이다. 사실 이정도 시스템을 맞추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10만원 이하의 파워서플라이는 애초에 고려대상이 아닐것이다.
하지만 5라인업의 CPU
--50(0), 60(0)라인업의 GPU 로 실용적이면서 충분한 성능의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사람들에게
이것저것 일반적인 자잘한 추가 전력소모를 덧붙인다 하더라도 시스템의 최대 소비전력은 아무리 해봤자 300W 를 넘는 경우는 흔치 않을 것이다.
전체적인 총량에서는 그럼 OK.
하지만 시험에도 과락이란게 있듯이
파워서플라이가 공급하는 전력도 5V/12V/3.3V 등으로 나뉘어 그 용량에 한계가 있다.
컴퓨터에서 통상적으로 가장 전력을 많이 먹는 그래픽카드는 PCIE 슬롯과
PCI-E 전원 12V 케이블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다.
때문에 다른 요소들이 전력을 적게 소모하여 총량에는 문제가 없다하더라도 그래픽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 양이 부족하다면 어차피 망이라는 것이다.
잘만 MegaMax Power 는
PCIE Power 터미널이 하나에 케이블이 두개인데
케이블 하나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이 288W 이고
8핀(150W)+6핀(75W)으로 225W까지 커버 가능하고
Power의 제공하는 12V 용량MAX도 450W이니
2070Super 등의 8+6핀을 요구하는 충분한 고성능의 그래픽카드 하나를 쓰는데는 아무 지장이 없다.
그래픽카드이 전력량도 OK
그렇다면 이론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법
라이젠 3600
라데온5700XT
M.2 NVME SSD 두개
그리고 쿨링팬 약간
달린 나의 PC에 잘만 MegaMax500W 파워로 교체하고
포아너와 배그를 돌려보았다.
문제 없이 OK(테스트 하는 와중에는 치킨을 먹지 못했지만..)
그러면 성능을 충족되었으니 다음 문제
요즘 상당수의 파워서플라이들은 80Plus 인증이란것을 달고 나온다.
플래티넘 골드 실버 브론즈 스탠다느 줄줄이 있지만.
간단히 말하자면 연비가 좋다는거다.
연비가 좋다는 것은 결국 해당 부품 구성의 전반적인 수준이 좋다는 지표가 되는 것이고.
실제 파워서플라이가 컴퓨터 부품들로의 전원공급(OUTPUT) 을 하기위해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을때(INPUT) 손실이 발생한다.(열, 소음 등의 형태로 우리가 체감할 수 있다.)
이왕 쓰는거 지구도 보호하고 전기요금도 적게 나오고 안정적인 수준의 부품으로 오래쓰면 좋은데 그걸 위한 간단한 지표가 80Plus 인 것이다.
못해도 80% 이상의 효율은 보장한다. 라는 의미고 그 정도에 따라서 스탠다드부터 쭈욱 올라간다.
그런데
자동차도 RPM 별로 연비가 다르듯이
파워서플라이도 최대정격용량 대비 사용양의 비율에 따라 그 효율에 차이가 나는데
보통 50% 안팎에서 최대 효율이 나온다.
잘만MegaMax 500W 80Plus Standard 의 경우도
20% 일때 85.81%
50% 일때 86.49%가 공식적인 수치이다.(그래프로 보면 통상 40~50% 구간이 효율 피크)
(20% 이하에 0%에 가까워질 수록 효율 최악, 물론 이러한 경우는 사용량 자체가 적은상태지만)
즉 환경도 생각하고 쓰는양 대비 효율적인 전기요금을 맞이하려면
무조건 큰거 혹은 무조건 딱 맞는게 아닌 적당히 정격용량의 20~50% 구간에서 주로 사용되게끔 자신의 피씨 수준에 맞는 용량을 고르는게 좋다는 것이다.
80Plus 도 그 단계별로 가격이 팍팍 뛰는데 플래티넘이나 골드등 높은 단계의 파워서플라이를 쓰더라도 정작 그 사용 구간이 상대적으로 낮을 효율구간이라면 적정 구간을 사용하는 스탠다드, 실버랑 효율의 차이가 거의 없거나 때로는 역전될 수도 있을것이다.
(사실 이는 80Plus 관련 질문이나 칼런 등에서 많이 나오는 얘기들이다)
앞서 적었듯이 이 가격대의 파워를 찾는 사람들이 갖출 시스템의 최대 소비전력은 200~300W 선이 대부분이고 효율구간에 가장 근접한 500W 파워를 쓴다면 80Plust Bronze/Silver 를 쓰는 정도의 효율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용량도 낮으니 가격 Down! 실효율도 잘나오니 전기요금 Down! 아니겠는가.
사실
500W ATX 80Plus Standard 파워들을 다나와에서 쭉 보면 다 고만고만하다.
깊이 140mm
120mm 쿨링팬
12V 37.5A~41A
4만원 안팎
액티브 AFC
잘만의 이 제품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파워서플라이 상품들이 몇몇 한정된 제조사의 OEM 을 통한 공급이니..
(그래서 그런지 죄다 불필요해보이는 FDD 케이블이 동일하게 구성되어있다...)
그렇다면 남은 것은 무엇?!
색깔, 유통, AS 등이다.
검정 단색의 PC케이스에 가장 깔끔하게 어울리는 파워 무엇?!
바로 잘만의 MegaMax!
(사실 커버 씌우면 애매하게 가려진다.)
(소소한 단점인데 깔끔한 블랙 제품인데 번들 나사는 은색이다..)
사실 과거와 달리 이젠 저장장치도
SATA 케이블 조차 불필요한 M.2 NVME 만으로의 구성이 가능한 시대다.
읽기 쓰기가 3GB/s 이상의 1TB제품들이 20만원 이하로 구매가 가능하니.
(게임 좀 하는 편이면 애매하게 256,512 가지말고 1TB/2TB 로 꼭 가는것을 추천한다. 요새 게임들 용량이...)
그렇기에 모듈러파워를 사용하면 매우 깔끔한 구성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여유로워지는 공간에 의한 쿨링 효과 미세한 상승은 덤)
쿨링팬 조차 메인보드에서 충분히 3핀 구성이 되어있다면 파워서플라이의 4핀 커넥터조차 불필요할 수 있다.
(왼쪽은 기존에 사용하던 케이블 완전 탈착 상태의 슈퍼플라워 650W 80Plus Silver 파워)
하지만 모듈러 파워는 좀더 가격이 나가는 편이니
적당한 대안이 바로 플랫 케이블이다.
깔끔하게 안쓰는 케이블들을 고이고이 접어서 끊으로 탁 묶어 넣으면 정리 끝!
파워서플라이라는게 한번 사면 매우 꽤 오래 쓴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부품들처럼 2~3년의 짧은 보증기간인 경우 한창 쓰고 쓰다가 문제가 생기는 경우 곤란하지만
이 파워서플라이는 보증기간 6년!
보증기간이 길더라도 회사가 먼저 사라지는 경우들이 적지 않은데
중간에 부침은 있었지만 다시 일어난 오래동안 컴퓨터 부품을 취급해온 국내 기업인 잘만이니 만큼 그런 부분은 충분히 믿어볼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