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살펴볼 제품은 인텔 코어X-시리즈 i9-10940X CPU와
ASUS PRIME X299-A II 코잇입니다. 이번에 새롭게 체험하는 종류의 제품이라 설레는군요.
1. 패키지 상자
1) 인텔 코어X-시리즈 i9-10940X
제품 패키지 상자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 i7 CPU 상자와 비슷한 형태지만
외부에 제품명에 들어가는 X가 눈에 띄게 디자인된 점이 차이점이네요.
제품 상자 전면부에 i9과 X시리즈임이 크게 표기되어 있으며
제품명과 제품 소켓 방식인 LGA 2066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품 상자 측면부에 바코드가 적힌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코잇에서 유통하는 정식 유통품을 나타내는 정품 스티커입니다.
제품 상자 바닥면에는 CPU의 외형을 확인할 수 있게
투명플라스틱 처리가 되어 있는데 이것도 인텔 프로세서의 특징이네요.
그런데 CPU의 크기가 보기에 심상치 않습니다.
제가 여태껏 사용해봤던 i5, i7 급과는 체급부터가 다르네요.
제품 상자는 밀봉 테이프 처리가 되어 있어 새제품임을 확인 가능합니다.
2) ASUS PRIME X299-A II 코잇
메인보드 상자의 첫인상은 육중함입니다.
제가 사용해본 메인보드 중 가장 큰 상자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품 상자의 형태는 메인보드다운 모습을 갖추고 있네요.
제품의 컬러 사진과 제조사명, 제품명,
그리고 코잇에서 정식 유통하는 정품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네요.
ASUS AURA SYNC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입니다.
코잇 정품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큼직한 코잇 스티커입니다.
제품 상자의 측면부에도 마찬가지로 제품명 등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제품 상자의 바닥면에는 제품의 컬러 사진과 제품의 주요 특징,
적용된 주요 기술과 부품 등이 사진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어 있네요.
메인보드도 CPU와는 달리 밀봉 처리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메인보드가 거의 밀봉 처리되어 있지 않는 제품이긴 한데
이런 고가형 메인보드라면 밀봉 비닐 등으로 포장을 해주면 좋겠네요.
2. 구성품 확인과 크기/무게
1) 인텔 코어X-시리즈 i9-10940X
CPU의 상자 내부에는 단단한 재질의 종이 완충재가 CPU를 안전하게 고정하고 있습니다.
구성품은 CPU와 설명서가 다입니다.
설명서 앞에는 i9 x시리즈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CPU는 플라스틱 완충재로 한번 더 포장되어 있네요.
CPU의 가로 길이는 약 45mm입니다.
세로 길이는 약 53mm입니다.
높이는 약 5mm입니다.
CPU 크기를 종합하면 45(가로)x53(세로)x5(높이)mm이며
무게는 52g으로 측정되었습니다.
2) ASUS PRIME X299-A II 코잇
메인보드 상자를 개봉해 구성품을 확인해보겠습니다.
메인보드는 비닐 포장지에 잘 포장된 상태입니다.
상자 내부의 종이 완충재는 메인보드를 잘 고정할 수 있게
메인보드의 형태에 맞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메인보드 완충재 하단에 사용자 설명서를 비롯한 다양한 구성품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SATA 케이블을 비롯한 각종 부수기재가 상자 하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제품 구성품은 위와 같습니다. 메인보드 외의 정말 다양한 구성품이 있네요.
사용사 설명서는 아쉽게도 한국어가 없습니다.
그래도 그림을 통해 조립 방법은 나와있습니다.
빠른 시작 설명서는 한국어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빠른 시작 설명서에도 그림으로 조립 방법이 표기되어 있네요.
SATA 케이블외에 LED 헤더용 12V/5V 관련 케이블이 기본 구성품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M.2 나사입니다.
이건 처음 보는 부품인데 세로형 M.2 설치 브라켓이라고 하네요.
이것도 마찬가지로 M.2 세로 M.2 설치용 부품입니다.
이건 Q포트로 케이스의 단자와 메인보드 포트부 연결을 쉽게 하기 위한 부품이네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구성품입니다. 저가형 제품에도 이걸 넣어주면 좋겠네요.
메인보드의 첫인상은 육중하네요
메인보드 가로 길이는 약 244mm입니다.
세로 길이는 약 305mm입니다.
높이는 후면 I/O 쉴드를 기준으로 약 49mm입니다.
메인보드의 크기는 종합해보면 244(가로)x305(세로)x49(높이)mm이며
무게는 1.264Kg입니다.
3. 외형 살펴보기
1) 인텔 코어X-시리즈 i9-10940X
i7-10700KF 프로세서와의 비교입니다.
i7 제품이 마치 아기처럼 보이는 크기를 가지고 있네요.
이렇게 i7을 위에 올려놔도 마치 한몸처럼 보이게 큼직한 크기는 지니고 있네요.
히트스프레더 부분에는 제품명과 제품 정보가 각인되어 있습니다.
히트 스프레더 부분은 손상없이 깔끔하네요.
프로세서의 측면부입니다.
프로세서의 하단부도 살펴봤는데 마찬가지로 외관상 이상은 없어 보입니다.
2) ASUS PRIME X299-A II 코잇
곳곳에 자리잡고 있는 방열판이 인상적인 메인보드입니다.
전원부부터 I/O 쉴드 부분, M.2 슬롯, 메인보드 칩셋까지
메인보드의 가장 중요한 부분에 잘 자리잡고 있는 방열판들이네요.
실버 색상으로 세련되 보이는 이미지도 노리고 있다고 생각하네요.
LGA2066 소켓 메인보드를 직접 보는 것은 처음이고 조립도 처음인데
CPU 장착 부분에 클립이 2개 있는게 신기합니다.
아무래도 CPU가 크다보니 안전한 고정을 위해서인 것으로 보이네요.
소켓 커버를 열어서 살펴본 소켓부분은 손상된 부분이 없이 깔끔하네요.
메인보드를 받으면 가장 먼저 확인해야 되는 부분이죠.
빼곡한 전원부 위에 잘 자리잡고 있는 방열판입니다.
I/O 쉴드 부분은 일체형으로 만들어 있어 케이스 조립시 유리하고
화이트풍의 디자인은 아주 깔끔하게 보입니다.
이렇게 손상방지 비닐 포장도 되었네요.
일체형 I/O 쉴드 메인보드가 요즘 자주 보이는데 아주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갯수의 USB 포트는 최대 GEN2 20기가 속도를 자랑합니다.,
PS2 포트도 있는 점이 눈에 띄네요.
램 슬롯는 총 8개로 제 생애 8소켓 메인보드는 처음 사용해봅니다.
기본 메모리 버스는 2933MHz이며 한 슬롯당 32GB, 총 256GB를 지원합니다.
4채널 구성이 가능한 램 슬롯이네요.
메인보드 보조전원은 8+8핀입니다.
CPU 팬 관련 단자는 메인보드 좌측 상단에 있습니다.
메인보드 주전원 24핀은 메인보드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USB 3.2 GEN2 전면 패널 커넥터를 지원해
케이스가 케이블을 갖추고 있다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네요.
기본 제공되는 M.2 슬롯 커버도 품질도 괜찮아 보이고 2개나 제공되어 만족스럽습니다.
PCIe 슬롯은 스틸 보강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메인보드 방열판에도 스크래치 방지 처리가 되어 있는 점은 마음에 드네요.
LED 표시기를 통해 에러 등의 정보 표기도 가능합니다.
전원 버튼도 배려깊네요.
LED 헤더를 비롯한 다양한 단자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SATA 단자는 8개나 지원합니다.
메인보드 후면부에는 상단에 보강판이 하나 더 있어 메인보드를 듬직하게 지지합니다.
4. 조립 및 장착
CPU와 메인보드 외 시스템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RAM : G.SKILL TridentZ Series 16GB (2 x 8GB) 3600 CL15
VGA : 이엠텍 HV 지포스 RTX 3080 BLACK MONSTER OC D6X 10GB
케이스 : 마이크로닉스 Master M60 메쉬 (핑크)
파워 : 3RSYS AK 700S
CPU 쿨러 : ALSEYE XTREME X240
메인보드를 케이스 장착하기 전에 CPU와 메모리를 메인보드에 설치하겠습니다.
처음 사용하는 CPU와 메인보드지만 장착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오히려 커서 더 편했다고 할 수 있네요.
다음으로 메모리를 좌측 슬롯에 장착했습니다.
메인보드를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입니다.
수랭쿨러도 이상없이 메인보드 CPU 부분에 장착했습니다.
아슬아슬하게 그래픽카드도 장착 성공했네요.
케이스 전원을 넣어보니 이상없이 작동하는 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네요
I/O 커버 부분으로 LED가 들어옵니다.
LED 표시부와 전원 버튼입니다.
UEFI 바이오스를 통해 손쉽게 메인보드 정보를 살펴보고 설정이 가능합니다.
어드밴스드 모드를 통해 보다 상세한 정보 확인과 설정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설치 후 랜선이 연결되어 있다면 Armoury Crate를 다운받을 수 있으며
Armoury Crate를 통해 메인보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다운로드 설치가 가능합니다.
AURA 싱크도 지원하는 다재다능한 소프트웨어네요.
이렇게 설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표시됩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면 알아서 다운 및 설치해주는군요
편리하네요.
5. 벤치 테스트
1) 순정
XMP 램을 사용하기 위해 XMP 설정만 했으며
이외의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은 건드리지 않은 상태입니다.
작업 관리자 정보를 통해서 14개의 코어와 28스레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는 8GB 2개, 3600MHz 속도를 가진 제품입니다.
온도와 전력 측정 프로그래으로는 HWiNFO를 사용했습니다.
아이들 상태의 코어 최고 온도는 44도이며 평균 온도는 약 40도입니다.
아이들 상태의 CPU 전력 소모량은 44W 정도 되네요.
[CPU-Z]
CPU-Z의 CPU 정보창에서 10940X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PU-Z의 메인보드 정보창입니다.
CPU-Z의 메모리 정보창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XMP 램으로 3600MHz CL 15-15-15-35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CPU-Z의 벤치 테스트를 통해 측정한 결과값은
싱글스레드 점수 : 511.5 / 멀티스레드 점수 : 6986.4 입니다.
CPU-Z 벤치 테스트 실시 후의 CPU 온도는 최고 68도입니다.
CPU-Z 벤치 테스트 실시 후의 최대 전력값은 약 188W 입니다.
[Geekbench 5]
다음은 Geekbench 5의 CPU 벤치마크 테스트입니다.
싱글코어 점수 : 1121 / 멀티코어 점수 : 11465 로 측정되었습니다.
테스트 중 최고 온도는 83도까지 올라가며
최대 소모 전력은 약 212W 입니다.
[PassMark PerformanceTest]
다음으로 PassMark PerformanceTest 프로그램의
CPU Mark 테스트를 통해 CPU의 성능을 살펴보았습니다.
테스트 결과값은 26289 입니다.
테스트 중 최고 온도는 79도로 측정되었으며
최대 전력 소모량은 약 218W 입니다.
2) 올코어 45배수 (4.5GHz)
램 안정화는 TM5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3주기 통과만 실시했으며
차후 벤치 프로그램과 게임 테스트 중에 아무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LinX는 버전 0.9.7 인텔 버전으로 5회 통과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첫번째 지프롭스값이 낮긴 한데 잔차는 발생하지 않아 그대로 벤치프로그램과
게임 테스트를 실시했으며 역시 사용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CPU-Z]
메모리는 4000MHz CL 18-18-18-38로 수동 오버를 한 상태입니다.
CPU-Z 벤치 테스트 결과는 싱글스레드 : 533 / 멀티스레드 : 8948.9 입니다.
CPU-Z 테스트 중 최고 온도는 86도까지 올라갔습니다.
CPU-Z 테스트 중 최대 전력 소모량은 약 240W 입니다.
[Geekbench 5]
Geekbench 5의 테스트 결과는 싱글코어 : 1182 / 멀티코어 : 12238 입니다.
Geekbench 5의 테스트 중 최고 온도는 94도입니다.
Geekbench 5의 테스트 중 최대 소모 전력은 약 257W 입니다.
[PassMark PerformanceTest]
PassMark PerformanceTest의 CPU MARK 결과는 28012 입니다.
PassMark PerformanceTest의 CPU MARK 최고 온도는 110도입니다.
이 테스트만 유달리 많이 온도가 올라가네요. 이정도면 위험 온도라 볼 수 있는데
다행히 시스템 다운이나 이상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최대 전력 소모량은 약 338W 로 높은 온도만큼 전력 소모량도 가장 많습니다.
6. 게임 테스트
1) 순정
[배틀그라운드]
해상도는 3440X1440이며 그래픽 옵션은 선명함/수직동기화/모션블러 제외
모두 울트라로 설정했습니다. 오버시의 그래픽설정도 동일하게 했습니다.
게임 프레임 테스트는 미라마맵에서 플레이 했으며
리플레이 기능과 애프터버너 프로그램을 통해 측정했습니다.
프레임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 : 143 / 1% : 46 / 0.1% : 18
배틀그라운드 실행중 최고 온도는 71도 입니다.
배틀그라운드의 최대 전력 소모량은 약 96W 입니다.
[오버워치]
오버워치 역시 해상도는 3440x1440으로 동일하며
그래픽 품질은 최상으로 모두 설정했습니다.
게임 테스트는 아이헨발데 수비팀 시점에서 플레이했으며
게임 내 리플레이 기능과 애프터버너 프로그램을 사용했습니다.
프레임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 : 223 / 1% : 154 / 0.1% : 67
오버워치 플레이중 최고 온도는 72도 입니다.
오버워치 플레이중 최대 소모 전력은 약 109W 입니다.
2) 올코어 45배수 (4.5GHz)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오버)의 프레임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 : 144 / 1% : 51 / 0.1% : 17 입니다.
배틀그라운드(오버)의 최고 온도는 78도 입니다.
배틀그라운드(오버)의 최대 소모 전력은 약 약 125W 입니다.
[오버워치]
오버워치(오버)의 프레임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 : 231 / 1% : 168 / 0.1% : 75
오버워치(오버)의 최고 온도는 83도 입니다.
오버워치(오버)의 최대 전력 소모량은 약 154W 입니다.
7. 최종 평가
1) 벤치 테스트 결과
|
CPU-Z |
Geekbench 5 |
PassMark CPU Mark |
싱글스레드(순정) |
511.5 |
1121 |
26289 |
싱글스레드(오버) |
533 |
1182 |
28012 |
싱글향상폭(%) |
+4% |
+5% |
+6% |
멀티스레드(순정) |
6986.4 |
11465 |
x |
멀티스레드(오버) |
8948.9 |
12238 |
x |
멀티향상폭(%) |
+28% |
+6% |
x |
2) 게임 테스트 결과
|
배틀그라운드 |
오버워치 |
평균FPS(순정) |
143 |
223 |
평균FPS(오버) |
144 |
231 |
평균FPS 향상폭 |
1 |
8 |
1% FPS(순정) |
46 |
154 |
1% FPS(오버) |
51 |
168 |
1% FPS 향상폭 |
5 |
14 |
0.1% FPS(순정) |
18 |
67 |
0.1% FPS(오버) |
17 |
75 |
0.1% FPS 향상폭 |
-1 |
8 |
인텔 코어X-시리즈 i9-10940X, ASUS PRIME X299-A II 코잇 제품은
2019년 겨울과 가을에 출시된 인텔 10세대 X시리즈 프로세서와 메인보드로
14코어 28스레드를 통해 뛰어난 작업 능력을 갖춘 제품입니다.
HEDT(High End Desk Top)이라는 이름으로 꾸준히 출시중인 X시리즈 라인업으로
저는 말만 들었지 이렇게 직접 보고 사용하는 것도 처음입니다.
다나와 최저가를 기준으로 CPU는 90만원대, 메인보드는 50만원대로
이렇게 값비싼 제품을 앞으로도 사용해볼 일이 있을까 모르겠네요.
제품의 주용도는 고사양 작업용이지만 저는 PC의 주용도가 게임이기 때문에
게임에 더 주목하며 제품 테스트를 실시해봤습니다.
오버클럭을 통해 벤치프로그램에서는 최소 4프로에서 최대 28프로까지의
성능 향상 폭을 볼 수가 있었네요. 게임에서는 다소 오버클럭의 영향이 적었습니다.
배틀그라운드가 최대 5프레임 향상, 오버워치는 최대 14프레임이 향상 되었네요.
게임에서는 조금 아쉽지만 렌더링이나 3D 작업용같이 코어와 스레드를 많이 사용하는
분야에서는 좀 더 확실한 성능을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어쨌든 저는 새로운 제품을 사용해볼 수 있는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하네요.
>인텔 코어X-시리즈 i9-10940X 구매하러 가기<
>ASUS PRIME X299-A II 코잇 구매하러 가기<
본 포스팅은 (주)코잇으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