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서버용 SSD인 인텔 D3-S4510을 리뷰해보려고 합니다.
기존 컴퓨터에서 흔히 사용하는 일반적인 제품보다 안정성이 강화된 제품이라고 하는데요.
과연 어떤 제품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D3-S4510는 인텔에서 만든 서버용 SSD입니다.
2.5형 SATA3 인터페이스의 내장형 제품으로 메모리 타입은 TLC입니다.
3D 낸드 구조로 560MB/s의 읽기와 510MB/s의 쓰기 성능을 가지고 있고요.
(960GB 제품 기준이며 480GB의 경우 읽기 속도는 동일하나 쓰기 속도는 480MB/s입니다.)
사용 보증 시간은 200만 시간이라고 하는데요.
이론적으로 100만 사용 보증 시간일 때 하루 12시간씩 사용한다고 할 경우 228년을 보증하는 것이니 엄청난 내구성을 지닌 제품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AS도 인텔 공인 대리점인 (주)코잇을 통해 5년간 지원하고 있고요.
서버용 SSD이지만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제품과 동일한 규격으로 되어 있으며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도 동일합니다.
그럼 인텔 D3-S4510 SSD를 컴퓨터에 장착하여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텔 D3-S4510 SSD에 커넥터를 연결해 줄 건데요.
파워 서플라이의 SATA 커넥터를 연결하고 메인보드의 SATA 포트에 케이블을 연결해 주면 됩니다.
간단하게 결합만 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 방법은 쉽습니다.
사용하는 메인보드에 따라 SATA 포트의 위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보통 메인보드의 오른쪽 하단이나 오른쪽 아래 옆 부분에 있으니 사진의 모양과 같은 곳을 찾아 연결하시면 됩니다.
SATA 포트의 경우 어디에든 열결하셔도 상관없으니 편하게 작업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파워와 메인보드에 연결이 끝난 후에는 컴퓨터를 켜고 설정을 해줘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추가 장착한 SSD는 컴퓨터에 처음 연결한 상태에서는 파일 탐색기에서 검색이 되지 않기 때문인데요.
이럴 땐 제어판의 저장소 공간 관리를 통해 인식을 시켜줘야 합니다.
(실제로는 인식은 되고 있지만 풀이 만들어지지 않아 뜨지 않는 것입니다.)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저장소 공간 - 저장소 풀 만들기' 순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그러면 포맷되지 않은 드라이브 목록에서 인텔 D3-S4510이 검색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저장소의 이름과 복원 유형, 크기를 선택해 주면 되는데요.
이름은 원하시는 대로 적으시면 되며 드라이브 문자는 원하는 대로 지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 인텔 D3-S4510 SSD를 연결한 컴퓨터에 C 드라이브만 있기 때문에 바로 뒤인 D 드라이브로 설정했습니다.
파일 시스템의 경우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NTFS로 두시면 됩니다.
그리고 복원 유형의 경우 단순(복원 없음)과 양방향 미러, 3방향 미러, 패리티 총 4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일반적인 저장 공간으로 사용하실 분들은 단순(복원 없음)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복원 유형의 경우 하나씩 클릭해 보시면 설명이 나오니 한 번씩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크기(용량)까지 지정해 주면 끝인데요.
저는 인텔 D3-S4510 SSD의 용량인 893GB로 설정한 후 저장소 공간 만들기 버튼을 눌러줬습니다.
그러면 사진에서처럼 저장소 공간이 만들어집니다.
그러면 제가 설정한 대로 D 드라이브 공간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렇게 인텔 D3-S4510 SSD를 사용해 만들어진 공간이 제대로 인식되어 동작하는지 테스트를 진행해봤습니다.
우선적으로 가장 간단하게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로 SSD 상태를 확인해 봤습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함은 물론, 33도로 온도도 준수하게 나왔습니다.
그리고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를 사용하면 펌웨어와 일련번호, 기능 등도 확인할 수 있어 기본적으로 정보 확인을 위해 사용해봤습니다.
다음으로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를 통해 인텔 D3-S4510 SSD의 성능을 테스트해봤는데요.
1mb 크기의 데이터 8개 연속 묶은 측정 시 읽기 속도는 552.25MB/s가 쓰기는 505.15MB/s가 나왔습니다.
1개 연속 묶은 측정 시에는 읽기 368.76MB/s와 쓰기 477.88MB/s가 나왔네요.
제품 사양 설명을 보면 960GB 용량의 경우 읽기 560MB/s와 쓰기 510MB/s를 지원한다고 하니 지원 사양에 근접한 결과가 나왔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인텔 D3-S4510 SSD의 경우 읽기 속도는 전부 동일하나 용량에 따라 쓰기 속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AS SSD Benchmark를 사용해 인텔 D3-S4510 SSD를 테스트해봤는데요.
여기서는 읽기 504.02MB/s와 쓰기 472.78MB/s가 나왔네요.
스코어는 읽기 421점과 쓰기 414점, 그리고 총점 1058점으로 나왔습니다.
지금까지 인텔 D3-S4510 SSD를 살펴봤는데요.
테스트를 통해 알아본 바로는 엄청나게 빠른 읽기, 쓰기 속도를 지원하는 제품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인텔 D3-S4510 SSD의 경우 일반적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SSD가 아닌 안전성을 중시하는 서버용 SSD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가 됐습니다.
서버용 SSD 지만 기존 SATA 설정과 호환이 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스토리지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점이 편했는데요.
시스템 안정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라우드 인프라에 최적화된 저장 장치이기에 최대 4.2배 낮은 AFR(연간 고장률)로 SSD를 교체하는 횟수를 감소시켰습니다.
기존 HDD 보다 최대 6배 낮은 전력을 소비하며 최대 6배 낮은 냉각 요구 사항을 지원하기도 하고요.
그리고 같은 크기의 공간에서 3.2배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요.
HDD보다 최대 300배 우수한 IOPS/TB4로 서버의 민첩성을 향상시키며 서버 설치 공간을 확장시키지 않고도 업무를 성장시키기 위한 더 나은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하네요.
여기에 블렉스 워크로드 기능은 공통 드라이브 타입이 유연한 용량과 내구성, 전력의 효율적인 성능을 통해 더 많은 작업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합니다.
저장되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켜주고 데이터 연속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서버용 SSD를 찾으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릴만 한 제품인 거 같네요.
본 포스팅은 (주)코잇으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