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리뷰어다] 시간 데이터 활용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 아키텍처 가이드, 한빛미디어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
글 / 사진 : 서원준 (news@toktoknews.com)
이 포스팅은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정성스럽게 작성된 후기입니다.
최근 빅데이터와 데이터센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벤트 기반의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해서도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인터넷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데이터들이 점점 쌓여가는 느낌이 강해지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는 대규모로 조직화된 데이터를 잘 활용해야 하는데 여기에 대해서 자세한 사례를 곁들여 설명한 책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 이라는 책이 바로 그것이다.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 은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소개하는 실무 개론서가 되겠다. 구조, 통신, 통합, 배포 등 기본 개념을 그림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 책이다. 따라서 이벤트 기반 시스템 구축 방식을 마이크로서비스로 전환하고자 하는 입문 개발자도 쉽게 읽을 수 있다. 넷플릭스, 링크드인, 스포티파이, 우버 등 세계 주요 IT 기업들이 도입한 실제 데이터 사용법과 서비스 접근법을 이 책을 통해서 익힐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 되겠다.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의 표지. 표지가 모양이 특이한 새인듯.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의 뒷표지.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 내용의 일부분.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 서평을 마치면서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인터넷에서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이 쌓이고 있다. 이렇게 되고 보니 대규모로 조직화된 데이터 역시 방대해 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구축”은 대규모 조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서비스로 전환하려는 실무 입문자를 위한 실용적인 가이드북이다. 물론 PC와 프로그래밍, 데이터센터 입문자가 보기에 이 책은 어려울 수 있지만 호기심을 가진 유저라면 한번쯤 읽어볼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