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IT 리뷰어 자스민입니다.
저는 업무적으로 유튜브와 같은 영상 편집이나 일러스트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동영상, PSD나 Ai 파일 등 다양한 데이터 백업을 위해 저장장치들을 상당히 많이 쓰고 있는데요.
가격도 저렴한 편이고 가격대비 빠른 속도와 안정성 때문에 WD 제품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웨스턴디지털사의 제품들은 전반적으로 빠지는 곳 없이 무난하면서도 가성비가 좋아서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어요.
지금까지는 파일 저장을 위해 SATA 방식 SSD와 HDD를 주로 사용했었는데요.
이번에는 현재 저장장치들 중 가장 빠르다고 할 수 있는 M.2 NVMe 방식 SSD를 사용해 본 소감을 리뷰해볼까 합니다.
요즘 주로 사용하고 있는 Western Digital WD BLUE SN550 M.2 NVMe (500GB) SSD는 용량도 500GB로 넉넉한 편이고 NVMe방식이라서 SATA방식 SSD에 비해 속도도 굉장히 빨랐는데요.
C:에 메인 저장장치로 사용해도 손색이 없는 제품이지만 저는 이미 NVMe SSD에 OS를 깔아놓은 상태라서 주로 영상 파일과 일러스트파일을 저장하고 고사양 게임을 설치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NVMe방식 SSD에 OS와 주요 프로그램들을 설치하는 메인 저장장치로 활용하고 속도는 느리지만 보다 저렴하고 용량이 큰 HDD나 SATA방식 SSD를 보조 저장장치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가성비가 높은 세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성비 SSD + HDD 조합을 추천)
구성품은 SSD본품과 매뉴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WDSSD는 안전하고 깔끔하게 투명 플라스틱 케이스에 보관되어 있었어요. WD BLUS SN550 NVMe M.2 SSD는 다양한 외부 환경과 충격에 대한 안전성 테스트와 내구성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이라서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인데요. 보증기간도 5년으로 상당히 길기 때문에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대 2400MB/s 순차 읽기 속도와 1750MB/s의 순차 쓰기속도를 지원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메인 SSD로 활용해도 좋고 저처럼 대용량 영상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을 많이 다루는 영상 편집자나 일러스트레이터, 디자이너 분들이 사용하기에도 적합한 제품입니다.
WD BLUE SN550 NVMe SSD 시리즈의 주요 스펙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해주시구요.
TLC 메모리 타입이며 SSD 용량에 따라 읽기, 쓰기 속도 차이가 있다는 것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무게가 6.5g정도로 굉장히 가볍고 작은 제품인데요. 이렇게 작은 크기의 저장장치에 500GB나 되는 용량이 들어간다니 기술의 발전이 참으로 놀랍네요.
M.2 2280 폼팩터 사이즈로 최근 생산되는 일반적인 M.2 SSD들과 동일한 사이즈입니다.
저장장치 분야에서 오랫동안 제품을 생산해 온 웨스턴디지털사의 SSD답게 뒷면까지 깔끔하게 잘 마감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에 홈이 파여 있으면 NVMe SSD인데요.
이 쪽을 PC의 SSD슬롯에 꽂은 후 반대쪽에 있는 홈에 나사를 조여서 장착해주면 됩니다.
저는 ASUS TUF Gaming B550 PLUS 메인보드를 사용하고 있어서 메인보드에 2개의 NVMe SSD슬롯이 있습니다. 그리고 방열판 또한 기본으로 달려 있는 메인보드라서 기본 방열판을 사용해 온도를 낮춰주었어요.
장착 후에는 바로 단순 볼륨 만들기와 포맷을 진행했습니다. 원래 저장장치는 포맷 후에는 기본 용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465.76GB 용량으로 정상적으로 인식되었습니다.
포맷 후에는 다양한 저장장치용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테스트를 진행했는데요. 테스트에 사용된 제 PC의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스템 사양>
CPU : AMD 라이젠5 5800X
RAM : 삼성 시금치 16G x 2개 (3200Mhz로 오버클럭, CL18)
GPU : AMD Radeon 사파이어 RX580
메인보드 : ASUS TUF Gaming B550-PLUS
파워 : 시소닉 A12 700W
모니터 : 에이서 프레데터 XB273U GX 270Hz QHD, GIGABYTE 게이밍 G27FC 165Hz FHD (듀얼)
저장장치 : m.2 NVMe 2TB, 500GB 외 HDD 다수
크리스탈마크 테스트에서는 모든 기능이 오류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었고 속도 또한
읽기속도 최대 2,400MB/s, 쓰기속도 최대 1,750MB/s 라는 제품 스펙과 동일하게 측정되었습니다. (오히려 살짝 높게 측정됐어요 ㅎㅎ)
더운 여름임에도 온도는 37도 정도로 유지되어 상당히 안정적이었어요.
다른 테스트 프로그램인 HD Tune Pro 와 AIDA64 Disk Benchmark 에서도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역시 제품스펙에 가까운 빠른 처리 속도를 보여줬습니다.
이 정도 속도라면 HDD의 10배, SATA 방식 SSD보다 4배 빠른 속도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물론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체감은 위의 숫자에 비례하진 않지만 실제로 대용량 파일을 옮길 때는 속도가 정말 빨라졌다는 것은 눈으로 확실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70GB용량의 파일을 옮기는 데 5분 정도 밖에 안걸리더군요.
특히 저처럼 영상편집이나 디자인 작업을 많이 하시는 분들이라면 대용량 파일을 많이 저장하고 옮겨야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저장 장치의 읽기, 쓰기 속도는 바로 업무의 효율성과도 직결되는 부분이라서 WD BLUE M.2 NVMe 는 시간을 아껴주는 효자같은 녀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렴한 가격이면서 빠른 속도와 높은 안정성을 갖고 있고 5년 제한 보증이라는 긴 A/S까지 갖춘 SSD이기 때문에 다용도로 활용하기 좋을 것 같은데요. 멀티태스킹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PC나 노트북의 메인 저장장치로도 좋고 보조저장장치로 활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저처럼 영상편집, 디자인 작업 등 멀티미디어 작업을 자주하시는 분들이라면 대용량 파일 전송 속도와 프로그램 실행속도, 랜더링 속도까지 다방면에서 업무의 효율을 올려줄 수 있는 제품이라서 SSD추천드리고 싶네요.
* Western Digital WD BLUE SN550 M.2 NVMe (500GB) SSD 구입처
http://prod.danawa.com/info/?pcode=10120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