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이번에 리뷰 진행할 제품은 쿨러의 명가 ZALMAN에서 출시된 공랭 쿨러 CNPS10X PERFORMA BLACK입니다.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린 쿨링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CPU 쿨러인데요, 기본으로 제공되는 일명 '기쿨' 부터 '공랭' '수랭'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쿨러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과연 어떤 쿨러를 선택할 것인가? 고민 중이시라면 오늘 직접 리뷰로 궁금증을 풀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잘만
ZALMAN은 국내에서 쿨러의 명가로 많은 소비자들의 신뢰를 쌓은 기업입니다.
예전 부채꼴 모양의 쿨러로 모양만 봐도 잘만을 알 수 있을 정도로 당시 상당히 특이하고 혁신적인 제품을 생산 유통하기도 하였습니다.
현재는 쿨러뿐만 아니라, 컴퓨터 관련 제품들을 하나둘씩 판매하고 있지만, 예전의 절대적인 위치에서 밀려나 타 브랜드와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보급형 공랭 쿨러의 시장에서 ZALMAN이 내세울 수 있는 특징이 무엇이 있을지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언박싱 및 외관
▲ 박스 전면에는 깔끔한 마감의 블랙 감성을 자극하는 쿨러 모습과 함께, 인텔 최신 1700소켓까지 지원 가능하다는 문구로 폭넓은 호환성을 알 수 있습니다.
측면에는 세 가지의 큰 특징(① 고급스러운 블랙 도장 ② 터빈 블레이드 ③ DTH 기술 적용)과 비대칭 히트파이프 배치를 통한 방열 면적 극대화를 보여주는 CNPS10X PERFORMA BLACK의 제원이 나와있으며, 후면에는 여러 나라의 언어로 특징을 글로 서술해 놨습니다.
▲ 내부는 부속품을 따로 박스화 시켜놔서 구분을 용이하게 해놨습니다. 쿨러 본품은 플라스틱 케이스로 2중 완충을 한 상태입니다.
내부 구성
▲ 구성품으로는 쿨러본품과 조립 설명서 및 조립 시 필요한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쿨러본품은 플라스틱 케이스로 완충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CNPS10X PERFORMA BLACK의 경우 설치가 간편하지는 않기에 설명서를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모습 및 특징
▲ 쿨러 본품의 모습입니다. 깔끔한 마감의 블랙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방열판과 구리 히트파이프를 열전도에 강한 블랙으로 도장 함으로 산화 방지 효과와 제품 내구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모든 부분에 균일한 도장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 높은 열 전달력을 가진 넓은 면적의 알루미늄 히트싱크로 공기 흐름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노란색 원으로 표시한 부분은 방열판이 휜 상태로 배송이 되어, 직접 손으로 방열판을 펴서 생긴 흔적입니다. 플라스틱 케이스로 완충이 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 케이스의 파손 및 방열판의 휨이 생겨 리뷰의 입장에서는 조금 아쉽게 느껴집니다.
▲ 비대칭 히트파이프 배치를 통해 방열판의 면적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메인보드, 메모리 간섭은 최소화되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이 부분은 조립을 통해 다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잘만의 DTH(Direct Touch Heatpipe) 기술을 적용, 열 저항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냉각 성능을 극대화했습니다.
▲ CNPS10X PERFORMA BLACK 쿨러는 날개 끝단을 연결한 가이드링(슈라우드링) 팬을 채택하였으며, 터빈 블레이드라 명명하였습니다.
일반 쿨링 팬과 차별화된 135mm 팬을 사용하는 터빈 블레이드는 팬 동작 중 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블레이드 끝부분을 연결시킨 팬의 안정성 및 최대 풍량 대비 저소음을 실현하며, 뛰어난 풍량과 조용한 구동 소음을 자랑합니다.
또한 일반 Sleeve 베어링 보다 진보한 EBR 베어링으로 먼지 유입을 차단하고, 제품 수명이 길어졌으며 소음이 감소하였습니다.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팬 속도 조절이 가능한 4핀 PWM 케이블로 연결하실 수 있습니다.
조립
▲ 잘만의 CNPS10X PERFORMA BLACK 리뷰에 사용된 PC 구성입니다. AM4 소켓을 사용해 조립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 조립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① AMD와 INTEL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백플레이트를 준비합니다.
② AM4 소켓에 맞도록 너트를 사이드 캡으로 고정합니다.
③ 백플레이트에 로딩 블록을 소켓에 맞게 부착합니다.
④ 써멀 그리스(ZM-STC8)를 도포합니다.
⑤ 메인보드에 AMD 가이드 클립을 설치합니다.
⑥ 쿨러를 가이드라인에 맞게 드라이버로 볼트를 조여 고정합니다.
⑦ 팬 고정 클립을 이용해 쿨러에 팬을 고정합니다.
⑧ 램 간섭을 고려해 보고 마지막으로 램을 장착합니다.
☞ 조립은 설명서에 나와있는 그대로 진행을 해보았습니다. 설치가 간편한 편이 아니다 보니, 초심자의 경우 설명서를 꼭 필독하시길 바랍니다. 너트와 사이드캡의 방향을 조심하셔야 하며, 백플레이트의 방향과 로딩 블록의 결합 방향 역시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 램 간섭도 설치 시 유의하셔야 합니다. 제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 진행이 되었지만, 일부 메인보드의 경우 1번 슬롯에 튜닝램 및 램 방열판 장착 시 히트싱크 두께 "8.7mm" 이상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10세대 메인보드 전원부 히트싱크 높이 "30mm" 이상일 경우 팬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고 합니다.
▲ 잘만의 CNPS10X PERFORMA BLACK의 설치 중 개인적으로 가장 불편한 점은 쿨러를 메인보드에 장착하는 전원부 쪽입니다. 사진에서 보시면 아시듯이, 쿨러 높이의 긴 드라이버가 있어야 손쉽게 결합이 가능합니다. 제가 조립하면서 사용했던 드라이버도 짧지 않은 드라이버지만, 장착하는 데 애를 좀 먹었습니다.
▲ 조립이 완성된 모습입니다. 깔끔하고 묵직한 디자인을 보여줍니다.
구동(사진)
▲ 시스템을 구동했을 때의 모습입니다. NON LED이기에 오히려 케이스 LED 속에서 더욱더 깔끔한 마감의 블랙 감성을 느끼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구동(영상)
▲ 실구동 영상입니다. 터빈 블레이드 팬의 조용한 구동 소음과 뛰어난 풍량을 느낄 수 있습니다.
테스트(벤치마크 및 온도)
▲ 소음은 거의 없는 편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케이스 내부의 시스템 팬 소리에 묻혀 전혀 들리지 않을 정도였습니다. 확실히 풍량 대비 저소음을 실현하는 것 같습니다.
소리의 정도는 개인차가 심한 주관적인 부분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부팅 직 후, 아이들 시 온도입니다. 일반 보급형 공랭 쿨러 테스트 때보다 1~2℃가량 낮은 온도를 보여줍니다.
▲ 가벼운 부하인 CPU-Z 벤치 테스트에서는 기본 RPM으로 최대 온도 44.0℃로 좋은 온도 추이를 나타냅니다.
▲ 3DMARK CPU 벤치 테스트입니다. RPM은 기본 상태일 때의 970~980RPM과 큰 차이가 없는 1000RPM 정도로 정숙함과 동시에 온도를 잘 제어해 주고 있습니다.
▲ 부하를 조금 더 강하게 주는 OCCT입니다. 5분간 테스트를 진행했고, 아무런 문제 없이 최대 온도 55.74℃로 쾌적한 온도입니다.
▲ 많은 분들이 벤치 점수 비교를 하시는 씨네벤치 R20입니다. 점수는 3123(pts)을 나타냈으며, 최대 온도 역시 57.5℃로 높지 않은 결과입니다
▲ 마지막으로 씨네벤치 R23으로 싱글과 멀티 점수 및 온도 측정을 해봤습니다.
점수는 싱글(882 pts) 멀티(8,012 pts)로 나왔으며, 온도는 멀티 테스트에서 최대 온도 60.7℃로 큰 무리 없는 좋은 온도 추이를 보여줬습니다.
장단점 및 총평
지금까지 리뷰를 진행한 잘만 CNPS10X PERFORMA BLACK의 큰 특징으로는
① 비대칭 히트파이프 배치를 통한 방열 면적 극대화로 인한 성능
② 터빈 블레이드 팬의 조용한 구동 소음과 뛰어난 풍량
③ 깔끔한 마감의 블랙 감성 추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현 리뷰 시점 온라인 최저가 47,000원에 판매되고 있는 CNPS10X PERFORMA BLACK은 동급 성능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가성비 CPU 쿨러라고 불릴 수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조금 아쉬운 부분으로는 장착이 쉽지는 않다는 점과 쿨러 장착 시, 드라이버 부분을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벤치 테스트에서 보여주듯 강력한 쿨링 성능과 소음 부분은 충분히 단점을 보완하고도 경쟁력이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RGB를 선호하지 않고, 저소음 환경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은 쿨러입니다.
구매링크
http://prod.danawa.com/info/?pcode=14076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