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작하면서
초창기의 5600의 가격은 상급 모델인 5600X보다 높아서 소비자가 구매할 수가 없는 제품이었습니다만 시간이 지난 지금은 멀티팩 기준으로 5600이 5600X에 비해서 약 3만 원가량 낮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5600X와 5600 모두 7nm 공정으로 만들어졌으며 싱글 성능과 멀티 성능 모두 아직도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어서 게이밍이나 작업 용도로 충분히 사용할만 가치가 있는 제품입니다. 차이점이라면 5600X에 비해서 0.2Ghz 낮은 클럭을 가지고 있는 것뿐입니다. 다만 5600은 5600X를 뛰어넘을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데 그건 밑의 항목에서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인보드는 AM4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저렴하게는 램 오버가 가능한 A320부터 CPU 오버클럭이 가능한 B450, PCIe 4.0을 사용할 수 있는 B550까지 가격과 필요한 기능에 따라서 시스템을 구성 할 수 있습니다.
포장은 5600X와 완전히 동일합니다. 윗면에는 제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옆에서 CPU의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다만 이것은 정품 포장의 모습이기 때문에 멀티팩으로 구매한다면 다른 모습일 것이라 예상됩니다. 멀티팩도 정품과 동일한 AS 기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렴한 멀티팩을 구매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박스를 열어보면 쿨러와 CPU 그리고 스티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 쿨러가 동봉되어 있지만 아무래도 5600~5600X급의 CPU부터는 온도와 소음을 위해서 기본 쿨러보다는 시장에 판매되는 쿨러를 따로 구매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5600의 모습입니다. 현 세대의 라이젠 CPU들은 밑에 핀이 나와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핀이 휘지 않도록 주의하셔서 설치하셔야 합니다.
[ 시스템 구성 ]
CPU : 라이젠5 5600
M/B : 기가바이트 B550M PRO-P
쿨러 : Thermalright Assassin X 120 Refined SE ARGB
RAM : 16G X 2 32G@XMP 3600CL18
VGA : 이엠텍 RTX 3080 10G 터보젯
조립 후에 바이오스에서 PBO를 ENABLE로 설정하고 메모리는 XMP를 적용하여 DDR4-3600 18-22-22-42 1.35V 값으로 확인됩니다.
CPU-Z에서 확인한 정보입니다. 올해 나온 제품이기 때문에 리버전의 항목에서 B2로 나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PU-Z 벤치마크입니다. 싱글은 613점, 멀티는 4777점이 나왔네요. 예전 5600X를 사용할 때는 싱글 634점, 멀티 4897점이 나왔는데 클럭이 낮은 만큼 점수도 낮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네벤치 R23의 점수입니다. 싱글은 1398점, 멀티는 11027점이 나왔습니다. 5600X의 예전 벤치를 확인해 보니 싱글은 1493점, 멀티는 11167점이 나왔네요. 역시나 클럭이 낮은 만큼 점수도 낮게 나온 것이 확인이 됩니다.
방온도 28도 기준 시네벤치를 작동하였을 때 최대 온도는 69.4도로 확인이 됩니다. 최대 전압은 1.212V인 것으로 보이네요. 조립한 써멀라이트사의 Assassin X 120 Refined SE ARGB 쿨러가 2만 원 중반대인 것을 감안하면 온도 낮게 나온 것이라고 느껴집니다.
3D MARK의 파이어 스트라이크와 타임 스파이 점수입니다. 5600X의 경우보다도 조금 더 낮게 나온 것이 확인이 되네요. 타임 스파이의 경우 5600X의 CPU 점수는 8461점 이었습니다.
CPU 클럭을 47배수로 설정하고 전압은 1.202V로 주었으며 CPU 캘리브레이션은 HIGH로 두었습니다. 즉 CPU 클럭을 4.7Ghz로 설정한 것입니다. 5600의 부스터 클럭은 4.4Ghz, 5600X의 부스트 클럭은 4.6Ghz인데 비슷한 전압을 주고서 4.7G로 오버클럭이 가능한 것이죠. 예전에 사용하던 5600X의 경우에는 4.6G으로 고정하는 데만 1.3V를 설정해야 했는데 5600은 아무래도 그 뒤에 나와서 공정이 안정화된 덕분인지 더 쉽게 오버클럭이 가능했습니다.
CPU-Z에서 오버클럭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4.7G일 때의 CPU-Z 벤치마크 점수입니다. 당연하게도 5600X보다도 높은 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네벤치 R23으로 확인한 멀티 점수도 기본의 11027에서 더욱 올랐다는 것이 확인됩니다.
온도와 전압을 확인해 보면 오버하기 전의 부스트 클럭일 때와 별반 차이가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5600의 잠재력이 높다고 평가를 한 것이지요.
로스트 아크의 환경 설정입니다. 모든 옵션을 최상으로 주었습니다.
프레임 테스트는 회상의 방에서 확인하였습니다. 평균 프레임은 194이며 최소 프레임은 110으로 확인됩니다. 로스트 아크 같은 경우에는 환경 설정을 여유 있게 함에 따라서 프레임이 더 올라가기 때문에 144hz 모니터를 사용하신다면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고 보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는 매우 높음 세팅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한타가 끝난 뒤 넥서스가 파괴되는 것까지 확인을 해보았는데 평균 195프레임 최소 147 프레임으로 확인됩니다. 최적화가 아쉬운 게임인지라 CPU와 그래픽 카드의 점유율이 많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가 있네요. 역시나 매우 높음 옵션에서도 144HZ의 모니터를 사용하기 충분합니다.
오버워치의 세팅입니다. 매우 높음에 렌더링 스케일은 141%입니다.
한타를 진행한 후에 확인해 보면 평균 301프레임 최소 236프레임으로 240HZ의 모니터를 사용하기에도 충분해 보이네요.
- 22년 8월 다나와 가격
“해당 컨텐츠는 대원 CTS에서 제품을 받아 소정의 원고료를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