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용기는 주관사와 다나와 체험단 행사를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시스템 환경 |
||||||
CPU |
인텔 코어i3-12세대 12100 (엘더레이크) |
|||||
CPU쿨러 |
3RSYS Socoool RC1700 ARGB |
|||||
메인보드 |
BIOSTAR H610MH D4 이엠텍 |
|||||
메모리 |
삼성전자 DDR4-3200 (8GB) 2개 |
|||||
그래픽카드 |
ASUS STRIX 지포스 GTX780 OC D5 6GB |
|||||
파워서플라이 |
SuperFlower SF-1000F14MP LEADEX PLATINUM SE WHITE |
|||||
M.2 NVME SSD |
SK하이닉스 Gold P31 M.2 NVMe (1TB) |
|||||
케이스 |
darkFlash DLX21 RGB MESH 강화유리 (화이트) |
중소기업(비상장 기업)
설립일 : 2003년 09월 18일
대표이사(CEO) : 이덕수
도매 및 소매업이며 컴퓨터 및 주변장치, 소프트웨어 도매업
자체 a/s이며 a/s가 매우 좋습니다 a/s는 1티어
이엠텍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 XENON은 Palit, HV는 갤럭시와 게인워드 이지만 갤럭시나 게인워드는 팰릿 계열사 이므로 펠릿OEM인 셈 그외 evga나 사파이어 그래픽카드를 유통하고 있습니다
메인보드는 바이오스타와 EVGA를 유통하고 있습니다 EVGA는 asrock OEM
파워는 evga를 유통하고 있습니다 evga의 파워는 다양한 회사 oem이므로 링크 참조
수냉쿨러는 evga와 자체 상품인 레드빗을 유통하고 있습니다 evga의 펌프는 아세텍 oem 레드빗도 oem(무슨 회산지는 모르겠네요)
그외 여러 제품을 유통하고 있습니다
공식 쇼핑몰로는 아이바이컴이 있습니다
메인보드 스펙 |
|||||
인텔(소켓1700) / 인텔 H610 / 사이즈 : M-ATX (20.8x23.6cm) / cpu 장착 수 : 1개 / 메모리 : DDR4 / 메모리 지원 용량 : 3200MHz (PC4-25600) / 메모리 슬롯 : 2개 / 메모리 지원 용량 : 64GB / M.2 폼팩터 : 2242~2280 / 그래픽 출력 : D-SUB / HDMI / 오디오 헤더 : 1개 / USB 2.0 헤더 : 2개 / USB 3.0 헤더 : 1개 / TPM헤더 : 1개 / com 포트 : 1개 / JSPI1 헤더 : 1개 / a/s 기간 : 무상 3년 |
|||||
전원부 |
8+1+1페이즈 N채널 모스펫 |
||||
로우 사이드의 Sinopower SM4364A(60A)+하이 사이드의 SM4377(50A)Low RDS |
|||||
SM4364A(60A) 20개, SM4377(50A) 10개 |
|||||
PWM 컨트롤러 |
RT3628AE(최대 8+1) - 듀얼 아웃풋 방식 칩셋 |
||||
캐패시터 |
APAQ AP-CON AR5K |
||||
Super I/O 칩셋 |
ITE IT8613E |
||||
방열판 |
칩셋 방열판 1개 |
||||
nvme버전 / 포트 수 |
3.0 / 1개 |
||||
저장장치 버전 / 포트 수 |
sata3 / 1개 |
||||
유선랜 칩셋 |
Intel I219V(최대 기가비트) - WGI219V |
||||
내장사운드 |
Realtek ALC897(7.1채널(8ch)) |
||||
쿨링팬 헤더 |
cpu 팬 1개, 시스템 팬 1개 |
||||
PCIe슬롯 |
4x16 1개, 3x4, 1개, 3x1 1개 |
||||
후면단자 |
USB 3.0 2개, USB 2.0 4개, PS/2 1개, RJ-45(랜 커넥터) 1개, 오디오잭 |
||||
보호회로 |
SPD, ESD, OVP, OCP, OHP |
||||
지원 기능 |
DX12, HDCP, XMP |
||||
적합성평가인증 |
R-R-EMT-BS-H610 |
||||
지원 OS : 윈도우 10 64비트, 윈도우 11 64비트 |
|||||
주의 사항 : 최대라는 단어는 생략 되어 있습니다 |
포장 박스에 이엠텍 로고가 박혀 있네요
메인보드 박스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뽁뽁이가 두껍습니다
메인보드 박스 디자인 입니다
멋있네요
I/O 쉴드와 sata 케이블 2개 cd와 설명서가 있습니다
CD롬 없는 분들은 홈페이지 들어가셔서 다운 받으면 됩니다만
h610 쪽 선택지가 무려 5개나 됩니다
h610mh는 2가지 밖에 없습니다만 6.0인지 6.1인지는 메인보드의 은색 스티커의 버전에 따라서 선택하면 됩니다
바이오스가 구버전인 경우 반드시 On-Board LAN를 반드시 다운로드 받으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저도 이런 경우 처음이라 메인보드 고장인 줄 알았습니다 ㄷㄷ
오디오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On-Board Audio를 다운 받아 보세요
절연 비닐에 메인보드가 포장 되어 있습니다
메인보드 아래에 스티로폼이 있네요
긁힘 방지용인 것 같습니다
보드 디자인 입니다
4x16 vga 슬롯 1개와 3x4 nvme 슬롯 1개가 있습니다
그외 3x1 슬롯 1개, sata3 슬롯 4개가 있습니다
인텔 12세대용 합리적인 가격의 바이오스타 메인보드
cpu, 메모리 상태가 나와있네요
아쉽게도 언어는 중국어와 영어 밖에 없습니다
버전이 구버전 이길래 이후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F5' 키를 누르면 메인보드에 연결된 쿨링팬의 작동속도를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구성된 프로파일(기본값)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F12' 키를 누르면 바이오스를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탭에서는 CPU 부가 기능, SATA, USB, PCIe, 네트워크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부터
(CNVi+WWAN), (절전모드+오버잠금+하이퍼스레딩+캐시 또는 하드웨어 Prefetch+고급 벡터 확장
C6DRAM+overclocking lock+Hardware,Adjacent Cache Line Prefetcher+AVX+AES 암호화 기능+레거시 게임 호환성 모드,액티브 퍼포먼스 코어,등), (핫스왑, 사타 활성화, 셀프 테스트), (TPM 기능, 알고리즘,등), (ACPI Sleep state[절전상태], ps2 키보드 또는 마우스 모드,등), (슈퍼 I/O 칩 설정 이지만 무시해도 됩니다), (메인보드의 자동 온도조절)
해당 탭은 칩셋 설정 하는 곳 입니다
(글카 메모리 대역폭 증가, PCIe 대역폭을 통해 그래픽카드 VRAM에 다이렉트로 액세스해서 성능 향상 및 레이턴시 감소, 커널 DMA 보호), (USB 관련 설정), (네트워크 스택), (nvme 셀프 테스트 하는 곳), (내장 그래픽, 주 디스플레이 어댑터(듀얼 모니터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 페이지 테이블, 메모리구경, 전원 공급 장치 제어+관리+기록, 등), 최소 메모리양, 최대 메모리양, 암호화된 비디오의 하드웨어 가속 디코딩을 제어, 사용 가능한 낮은 드램의 상단, 가상머신에서 장치에 직접 엑세스를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 4GB MMIO BIOS 할당 초과, 등)
의 기능들이 있습니다
ErP 기능은 전원 단추 말고는 전원을 킬 수 없게 막습니다(원격 작동 차단)
바이오스 락은 말 기대로 바이오스 잠금
3x1을 2x1 또는 1x1으로 바꿀 수 있는 기능 이라지만 오토로 두면 알아서 맞춰서 작동합니다
바이오스 관련 탭입니다 위에서부터
(바이오스 진입 기다리는 시간초),(numlock 미리 켜는 기능), (부팅시 로고 출력), (부팅 성공 경고음), (권한이 부여되거나 승인되지 않은 사용자가 BIOS에 기록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부팅 시간 단축 기능 단점은 coms 진입 불가),(레거시(MBR) 부팅 활성화 기능)
입니다.
아래는 부팅 옵션인데 윈도우를 설치하려면 1번을 윈도우가 깔려있는 usb로 하시면 됩니다
비밀번호 설정하는 곳 입니다
CPU 및 DRAM를 오버클럭 하는 곳 입니다
h610은 오버클럭이 불가능 하므로 그냥 넘기면 됩니다
cpu는 전력 제한 해제라는 야매를 쓸 수 있습니다 다만 메모리 쪽은 들어가도 세부 설정이 잠겨 있습니다
Tweaker -> CPU Power Management 이후 Power Limit 1 Override - Enabled, Power Limit 1에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제가 200000을 넣었을 때 별 차이가 없었으니 200000 이상 넣으면 됩니다 어떤 분이 255000 넣으셔서 쓰는 거 보면 그 값 넣어서 써도 될겁니다만 쿨링에 따라서 줄이거나 늘려서 넣으시면 됩니다
다만 12100은 전력제한 해제해도 별 차이가 없습니다
위에서부터
P코어의 배수 적용 - (오버클럭용), (주파수 조절 기능), (xmp 적용하는 기능), (xmp 적용된 타이밍 보여주는 칸), (메모리 수동 오버하는 기능(해당 보드는 메모리 오버가 불가능이라 들어가도 잠겨 있습니다)), (오버클럭을 위해 cpu v조절 하는 기능(해당 보드는 오버클럭이 막혀 있으므로 안 건들여도 됩니다 BCLK Aware Adaptive voltage는 유동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 오버클럭을 하려면 이 기능을 꺼야합니다 그외 모든 voltage는 전압을 조절하는 기능 입니다)), (오버클럭 시 전력 제한), (c-states는 유휴상태일때 전원공급을 차단해서 전력소모량을 낮추는 기술), io mwait redirection는 저도 모르겠네요, (부스트 클럭 유지를 증가시키는 기능), (특정 레지스터를 쓸 수 있는 기능), (온도 측정 기능), PVD Ratio threshold도 모르겠으나 오토로 잠겨 있습니다, (ln2 오버클러킹을 할 때 필요한 기능), (ln2 오버클러킹을 할 때 필요한 기능의 주파수편), BCLK TSC HW Fixup도 뭔지 모르겠네요, (AVX 명령어를 처리할 때 클럭을 별도로 설정하는 기능 2개) , (프로세서가 종료되거나 이를 저장하기 위해 다시 조절되는 임계값), (열 헤드룸 및 터보 전력 예산이 부족할 때 추가 CPU 성능을 잠금 해제하는 기술),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Vcore를 증가시키기 위해 Alder Lake에서 기본적으로 활성화되는 부스트 최적화 기능), (IA와 GT는 보호 메커니즘 언더볼팅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비활성화 해야합니다)
윈도우 11를 사용 예정이라면 trusted computingdp에 들어가셔서 Security Device Support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 tpm device selection가 ptt로 되어 있는지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12시간 동안 쉬지않고 100%로 풀부하 해봤습니다
메인보드가 잘 버텨주네요
향상된 내구성과 안정성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스타!
게임시 메인보드 온도도 좋게 나오네요
전력제한해제한 것과 비교하려고 했었는데 큰 차이가 안 나서 전력제한해제는 뺏습니다
사용후기
특징
TPM 헤더
a/s가 이엠텍
장점
3년 무상 서비스
착한가격 좋은 품질
사용소감
방열판이 없어서 온도를 못 잡는 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있었는데 전원부가 좋아서 그런지 온도가 잘 유지 되어 좋았습니다 12100을 12시간 써도 80도가 최대인 것을 봐서는 12400도 가능해 보이는 것이 군침이 싹 도네요
총평
인텔 12세대용 가성비 메인보드
#BIOSTAR, #H610MH, #D4, #이엠텍, #DDR4, #가성비메인보드 #12세대용, #12세대메인보드, #TPM 헤더, #ver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