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량 게이밍 시대에서 SSD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현시점 온라인 혹은 STEAM과 같은 AAA 게이밍은 그래픽, 음향 그리고 다양한 콘텐츠의 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에 설치 파일 역시 사이즈가 커지고 있습니다. 게이밍 녹화 영상과 같이 높은 사이즈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게이머들에게 고용량 SSD는 매우 중요하며, 게이밍 감성을 고려한 메인보드는 게임에 최적화된 성능과 장시간 플레이에도 문제없는 안정성, 발열 수준 그리고 내구성을 요구합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웨스턴디지털 WD_BLACK SN850X M.2 NVMe 저장 장치와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 메인보드이며, 서두에서 말씀드렸던 게이밍 관점에서 두 제품이 어떠한 차별성을 제공하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01 WD_BLACK SN850X M.2 NVMe SSD |
웨스턴디지털 WD_BLACK SN850X는 22년 여름에 출시한 고성능 NVMe M.2 SSD입니다. 해당 제품은 게이밍이나 생산성에 최적화된 고성능 저장 장치이며, D램이 탑재된 웨스턴디지털의 플래그십 제품입니다. 개인적으로 저장 장치는 웨스턴디지털의 제품을 오랫동안 선호하고 있는데요. 우수한 속도는 물론 저장 장치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오랫동안 소중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 구매 시 가장 먼저 찾아보는 제조사입니다.
WD_BLACK SN850X 제품은 1TB ~ 4TB의 용량으로 출시되었으며, 고용량의 최신 게임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해 놓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 제공되는 대시보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게임 모드 2.0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 환경에 따라 개선된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주요 스펙
| 주요 스펙 | 폼팩터 M.2 (2280) | 인터페이스 PCIe 4.0x4 | 메모리타입 TLC | 낸드구조 3D낸드 | D램 탑재 | 읽기 속도 7,300 MB/s | 쓰기 속도 6,300 MB/s | 내구성 600 TBW | | 보증기간 5년 | 플레이스테이션 5 호환
WD_BLACK SN850X 제품은 읽기 속도 7,300 MB/s와 쓰기 속도 6,300 MB/s를 자랑합니다. PCIe 4.0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저장 장치 제품에서 최상급 속도를 체감할 수 있으며, D램이 탑재된 만큼 문제 될만한 단점을 찾아보기 어려운 제품이므로 현시점 부담되지 않은 SSD 가격과 함께 구매 검토에 좋습니다.
대시보드
웨스턴디지털 저장 장치는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가능한 WD_BLACK 대시보드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저장 장치의 용량, 온도, 잔여 수명 등을 모니터링하거나 게이밍 모드 2.0을 통해 최적화된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품 성능이나 특정 이슈 관련하여 요구되는 펌웨어 버전을 바로 업데이트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구매 시 우선적으로 사용한다면 더 좋겠네요.
02 GIGABYTE B650M AORUS ELITE AX |
게이밍 CPU로 자리를 잡고 있는 AMD 라이젠 7600과 7800X3D CPU에 최적화된 성능을 자랑하는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 제품입니다. mATX 보드 규격으로 그래픽카드 장착 시 1번 슬롯을 사용하는 만큼 고성능 그래픽카드 사용에 최적화된 B650M 메인보드이며, 여유로운 전원부와 함께 풀커버 히트싱크로 무장되어 있어서 CPU 및 메모리 오버클럭에 좋습니다.
레이아웃
| 주요 스펙 | 소켓 AM5 | 칩셋 AMD B650 | 전원부 12+2+1 (60A) | DDR5 128GB 6600 (OC) | M.2 SSD PCIe 5.0 | 그래픽카드 PCIe 4.0 | USB 3.2 Type-C | 2.5GbE 랜 | Wi-Fi 무선랜 | 일체형 IO 커버 |Q-Flash BIOS 업데이트 | 그래픽카드 및 M.2 SSD 랫치 방식 지원
B650M 메인보드 제품군에서 최상급 성능을 자랑하는 스펙입니다. B650M 메인보드의 경우 mATX 사이즈 제약으로 그래픽카드 슬롯 위치가 특히 중요한데요. 해당 제품은 1번 슬롯에 그래픽카드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3슬롯 이상의 그래픽카드 장착에도 충분합니다.
전원부
12+2+1 개별 60A 용량으로 대부분의 고성능 CPU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이며, 풀커버 히트싱크, 5W/mk 써멀패드 지원으로 안정적인 CPU 전압 제어와 함께 최상급의 발열 성능을 자랑합니다. 다만 CPU 보조 전원이 8핀 1개를 제공하여 8+4핀 형태로 구성되었다면 훨씬 좋았을 텐데 아쉽네요.
PWM 포트
PWM 포트는 CPU_FAN 및 CPU_OPT를 포함 4개의 SYS_FAN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CPU 쿨러와 함께 전면, 후면, 하단, 우측 쿨링 팬을 개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빌드 진행 시 제약 없는 쿨링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RGB 지원
RGB 헤더는 +5V ARGB 2개와 +12V RGB 3개를 지원합니다. RGB Fusion 2.0을 통해 다양한 컬러 매칭이 가능하며, 전체 동기화 방식 혹은 개별 핀에 대한 RGB 연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USB 인터페이스
USB 3.2 내부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독특합니다. 메인보드의 레이아웃 최적화를 위해 고안된 디자인으로 보이며, USB 3.2 Type-A는 하단 우측에 USB 3.2 Type-C의 경우 메인보드 전원 하단에 위치하므로 선 정리에 유리합니다.
M.2 SSD 방열판
PCIe 4.0 이상의 M.2 SSD 저장 장치를 사용할 경우 높은 온도가 발생될 수 있는데요.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의 방열판은 M.2 SSD의 발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어 스로틀링과 같은 성능 저하 현상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번 리뷰에서 함께 소개하는 웨스턴디지털 WD_BLACK SN850X 성능 유지에 충분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IO 패널
| IO 패널 구성 | Q-Flash BIOS | WIFI 안테나 | USB 2.0 x4 | DP 및 HDMI 포트 | USB 3.2 Gen 2x2 Type-C x1 | USB 3.2 Gen1 Type-A x5 | USB 3.2 Gen2 x2 | 2.5 GBe LAN | 오디오포트
우수한 성능을 자랑하는 만큼 IO 패널 지원도 화려합니다. 패널 포트 지원은 타사 제품 대비 최상급이며, 별도의 USB 허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포트 지원입니다. 특히 USB-C 3.2 Gen 2x2 Type-C 포트를 지원하므로 전면 IO와 함께 최대 Type-C 2개가 지원되므로 모바일 기기 백업이나 디바이스 사용에도 훌륭합니다.
빌드 편의 사항
공랭 쿨러 사이즈에 따라 그래픽카드를 탈거하거나 교체하기 어려운 경우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의 잠금장치는 랫치 방식을 지원하므로 편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CPU나 메모리 오버클럭 시 부팅이 어려운 경우 BIOS 초기화는 중요한 해결 방법 중 하나입니다. BIOS 리셋 버튼은 상위급 메인보드에서 지원하거나 하단 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해당 제품은 메모리 슬롯 우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간혹 그래픽카드 장착 이후에도 최강의 오버클럭 환경을 제공합니다.
03 설치 |
시스템 빌드에는 AMD 라이젠 7600을 사용했고, 현시점 가성비 최고의 게이밍 CPU인 만큼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와 멋진 매칭을 예상해 봅니다. 윈도우 설치와 드라이버는 메인보드 통합 프로그램인 GCC를 통해 진행했고 내장 WIFI 속도가 꽤 준수하여 쾌적한 셋업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의 M.2 SSD 장착 방식은 특이합니다. 일반적인 랫치 방식이 아닌 잠금장치와 유사하게 누르는 방식으로 WD_BLACK SN850X 설치에 있어서 매우 편리합니다.
메모리는 TeamGroup T-CREATE DDR5-6000 CL48 CLASSIC을 사용했습니다. DDR5 방식의 EXPO / XMP 튜닝 메모리를 사용하거나 순정상태의 메모리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DDR5 가격대가 많이 저렴해진 만큼 DDR5 전용의 신규 라이젠 CPU는 게이밍 관점에서 괜찮은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
두께 56mm의 그래픽카드 장착 시 하단부 IO와의 거리는 충분합니다. 대략 15mm 정도의 여유가 있으므로 70mm 정도의 고성능 그래픽카드 장착에 특별한 문제는 없어 보이며, 2번 슬롯에서 시작하는 메인보드의 경우 하단부 IO와 간섭이 발생되므로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의 그래픽카드 호환성은 탁월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04 성능 테스트 |
AMD 라이젠 7600에 써멀라이트 COGAGE Sanction 120 CPU 공랭 쿨러를 사용했으며, PC 케이스는 리안리 랜쿨 216에 ARCTIC 쿨링 팬을 배기 팬으로 사용했습니다. 성능 테스트는 SSD 속도, 메인보드 발열 그리고 게이밍 성능 관점에서 진행했고 WD_BLACK SN850X와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했습니다.
CrystalDiskMark 8.0.4
WD_BLACK SN850X의 스펙은 읽기 속도 7,300 MB/s, 쓰기 속도 6,300 MB/s이며, 테스트 결과 미세하게 상회하는 속도를 확인했습니다.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는 PCIe 5.0을 지원하기 때문에 SN850X의 성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향후 PCIe 5.0 M.2 SSD가 대중화된다면 메인보드 교체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할 것 같네요.
Dirty Test 6.0.4
나레온 더티 테스트 6.0.4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쓰기 성능에 대해 확인했습니다. 구동한 결과 대략 70% 남은 용량에서 속도 저하가 발생되며, 평균 속도는 2237 MB/s가 기록된 만큼 연속 쓰기 성능은 우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발생하기 힘든 극한 수준의 쓰기 형태이고, 최대 쓰기 성능이 지속되는 구간이 길기 때문에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충분한 성능을 예상합니다.
테스트 과정에서 메인보드의 기본 M.2 SSD 방열판을 적용했을 때 WD_BLACK SN850X 온도 범위를 확인했습니다. 시작 시 온도는 44℃이고 시작 종료 시점의 온도는 62℃로 꽤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며, 더티 테스트 이후 유후 상태에서 시작 온도에 근접하는 온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PU 오버클럭
사용자 환경과 목적에 따라 PBO (Precision Boost Overdrive)와 같은 자동 오버클럭을 적용하거나 Curve Optimizer 혹은 CPU 온도에 제한을 걸어 스로틀링 컨트롤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PBO 세팅의 경우 Tweaker 혹은 Settings 항목에서 적용 가능하며, 현시점 Curve Optimizer를 많이 사용하므로 Settings 항목에 위치한 PBO를 사용합니다. 수동 오버 클럭의 경우 PBO에 영향을 주는 항목을 비활성화했고 즐겨찾기 항목에서 CPU 배수와 전압 그리고 LLC (Load Line Calibration)을 변경했습니다.
CPU 온도 테스트
메인보드 초기 상태, Curve Optimizer를 적용하지 않은 PBO 활성화, 52배수 1.18V의 수동 오버클럭 상태를 비교했습니다. 시네벤치 R23 멀티 테스트 기준으로 멀티 성능도 크게 향상되었고, 낮아진 CPU 전압만큼 발열 역시 낮아집니다. 메인보의 준수한 성능과 함께 AMD 라이젠 7600의 수동 오버는 짧은 시간에 효율적인 결과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메모리 오버클럭
메모리 오버 클럭은 Tweaker 항목의 Advanced Memory Settings에서 진행하며, 타겟 클럭과 전압 설정 이후 세부 램 타이밍 조절을 하면서 최적값을 찾습니다. 한정된 리뷰 시간만큼 평소 사용하는 정보를 입력했고, 게이밍에 충분한 성능인 61.3 ns 레이턴시 정도에 마무리했습니다.
디아블로 4 게이밍 테스트 (설정)
라데온 RX 6700 XT와 QHD 144 모니터 환경에서 최근 엄청난 판매고를 갱신하고 있는 배틀넷 유상 게임인 디아블로 4를 통해 게이밍 테스트를 진행습니다. 그래픽 옵션은 최고 옵션이라 할 수 있는 매우 높음으로 설정했고, 라데온 그래픽카드에서 사용 가능한 FSR 기능을 품질 레벨로 적용했습니다.
웨스턴디지털 대시보드에서 게임 모드 2.0을 켜기로 활성화했습니다. 대용량 패키지를 로딩하는 게임에서 게임 모드 2.0을 통해 보다 빠른 로딩을 체감할 수 있지만 디아블로 4에서 유의미한 체감은 느끼지 못했습니다. 해당 옵션은 아무래도 게임에 따라 체감할 수 있는 범위는 달라지므로 자동 설정을 통해 게임 진입 시 대시보드가 탐지할 수 있게 설정해 놓는 것도 좋겠네요.
디아블로 4 게이밍 테스트 (프레임)
게임은 무료 게임을 꼭 이용 혹은 다운로드해야 하며, 유료 게임을 다운로드한다면 돈을 내고 사용해야 합니다.
게이밍에 특화된 WD_BLACK SN850X 저장 장치와 오버클럭 성능이 우수한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 메인보드의 조합은 디아블로 4에서 최적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던전과 야영지에서 프레임을 각각 확인했으며, 이미 고인이 되어 버린 RX 6700 XT 그래픽카드가 다시 부활한 느낌입니다. 예상과는 다르게 타협 없는 최고급 옵션에서도 지속적인 프레임 유지 성능이 특히 우수했습니다.
프레임 1% LOW의 경우 100 FPS 정도로 드롭되는 경우는 있었지만 스터터링이 체감되는 수준은 결코 아니었습니다. 게이밍 옵션을 잘못 선택한 것은 아닌가 여러 번 의심해 보았고 최고급 옵션에서 디아블로 4를 즐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동일한 시스템에서 RTX 3060 Ti 정도면 QHD 144 모니터 급에서 충분한 성능을 체감할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리며, 7월 2일까지 디아블로 IV 스탠다드 에디션 (PC) 이벤트 행사가 있다고 하는군요. 제품 구매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다음 링크 참고하세요.
05 마무리 |
웨스턴디지털 WD_BLACK SN850X M.2 SSD 저장 장치와 기가바이트 B650M AORUS ELITE AX 메인보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두 제품의 공통점으로는 최상급의 성능을 자랑하지만 유사 성능의 제품 대비 저렴한 가격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물론 가성비 조합보다는 고성능 조합에 적합한 제품인 만큼 수준 높은 환경에서 제약 없는 성능을 맘껏 사용해 보고 싶은 사용자분들에게 적합해 보입니다.
한번 시스템 빌드를 구성하면 오랫동안 사용하는 분들이나 미세한 부분에서도 투자를 아끼지 않는 게이머 그리고 장시간 게이밍 영상을 기록하여 편집하는 크리에이터 분들에게 적극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대중적인 미드레인지급에서 최신 CPU를 자주 교체하시는 마니아분들에게도 좋은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
이상 리뷰 마무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