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열 수냉쿨러는 여러 장점이 있다. 가격이 저렴한 데다, 조립도 간편하고 호환성도 우수하다. 오늘은 2열 수냉쿨러 중에서도 특히 가성비가 돋보이는 이엠텍의 레드빗 240 RGB 제품에 대해 세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이엠텍 CPU수냉쿨러 개봉기
깔끔하고 직관적인 구조의 박스다.
박스 속 내용물은 수냉쿨러 본체, 액세서리 박스, 설명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액세서리 박스 속에는 인텔 2011, 인텔 17XX, AMD용 전용 소켓이 각각 구분되어 있어 조립 준비 과정이 수월하다.
고성능 Hydraulic 베어링 라디에이터팬 전격 탑제
이엠텍 레드빗 240 RGB에서 먼저 주목해 볼 만한 특징은 라디에이터팬에 Hydraulic 베어링이 적용되었다는 점이다.
베어링이란 회전체의 마찰을 줄여주고 하중을 지탱하는 핵심 부품으로써, 겉에선 보이지 않지만 쿨링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제품에 적용된 Hydraulic 베어링은 다른 볼 베어링에 비해 소음은 낮으면서 성능은 더 좋다.
쿨링팬은 화려한 레인보우 LED 기능도 지니고 있어 다른 튜닝 부품과 시너지 효과를 낸다.
고정 RGB LED라서 색상이 변하거나 하지는 않지만 화려함에서는 부족함이 없고 색상조합도 상큼하다. 꼭 ARGB 기능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선정리가 훨씬 간편한 고정 RGB LED가 좋은 선택이다.
기본으로 제공하는 Y 스플리터 케이블을 활용하면 하나의 메인보드 CPU팬 헤더로 두 개의 쿨링 팬에 모두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Y케이블의 수커넥터는 한쪽은 3핀. 다른 한쪽은 4핀으로 되어있다.
여기서 잠깐! 만약 팬 하나가 유난히 느리게 회전한다면 Y 스플리터 케이블의 핀 일부가 제대로 안 꽂힌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보자. Y 스플리터 케이블은 가끔 가장자리 핀이 뒤쪽으로 튀어나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해당 핀을 원래 위치로 밀어넣기만 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신속하게 발열을 제거하는 쿨링 메커니즘
레드빗 240 RGB는 발열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 설계로 제작된 제품이다. 이 제품만의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 설계는 고밀도 구리 핀 디자인 설계 + 극대화된 냉각수 면적의 효과를 통해 높은 쿨링 성능을 발휘한다.
이 제품의 CPU 접촉부는 100% 구리로 만들어져 있다. 빠른 열 분산이 이루어져 CPU 쿨링 성능이 극대화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라디에이터에도 고밀도 알루미늄 냉각핀 설계가 적용되어 있다. 빈틈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의 촘촘한 알루미늄 냉각핀은 보기만 해도 든든하다.
조립 소감 및 조립시 주의할 점
레드빗 240 RGB는 처음부터 쿨링팬이 라디에이터에 결합되어 있고 ARGB 케이블이 없어 다른 수냉쿨러보다 조립과정이 단순하다.
다만 이 제품은 메인보드 위 아래의 나사홀더가 비교적 느슨한 타입이어서 나사가 밑으로 흘러내리는 걸 막아주지 못한다. 따라서 펌프유닛을 CPU 위에 장착할 때는 메인보드 아래에 한 손을 넣어 백플레이트 나사를 위로 떠받치고 있어야 한다.
손으로 백플레이트 나사만 잘 떠받쳐주면 나머지 작업은 일사천리다. 펌프 고정용 스프링 나사는 드라이버 없이 손만으로도 쉽게 꽂을 수 있어 수월하다.
이 펌프 고정용 스프링 나사는 너무 세게 조이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인텔 유저) 왜냐하면 지나친 힘은 백플레이트 나사 구멍 사이에 있는 돌기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백플레이트 고정 나사는 얼핏 매끈한 둥근 기둥 형태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머리 아랫부분에 각이 진 부분이 있다. 바로 이 부분이 백플레이트 나사 구멍 돌기에 걸리면서 회전이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나친 힘이 가해질 경우 돌기가 파손될 위험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다.
또한 백플레이트의 장착 방향도 중요하다. 반듯하게 깍아진 면이 나사 머리 쪽에 위치해야 접촉면이 넓어지면서 나사로부터 받는 힘이 분산된다.
ASUS EX B660M-V5 D4 메인보드 + 아이구주 VENTI D1000 케이스 조합에서 3열 수냉 쿨러 (레드빗 360 ARGB XT PENTA+)는 튜브 길이가 짧아 펌프 유닛의 일부가 램 슬롯을 침범했었다.
반면 레드빗 240 RGB는 동일한 사양에서 램 슬롯 침범 없이 쾌적하게 펌프 유닛의 설치가 가능하였다. 이런 점은 오히려 2열 수냉쿨러가 3열 쿨러보다 더 낫다.
수냉쿨러 벤치마크 테스트
테스트 당시 방의 온도는 대략 29도로써, 매우 무더운 날씨였다. 아이들 시의 CPU온도는 30도를 잘 넘지 않았고 풀로드 시의 온도는 60도 중반이었다.
이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는 펌프 유닛 고정 나사를 손으로만 조여주었을 때의 결과다. (약간 뻑뻑한 느낌이 될 때까지만 조임) 제품에 과도한 부하를 가하지 않아도 좋은 쿨링 성능을 보여주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펌프유닛은 어느 팬 헤더에 연결해야 할까?
메인보드에 AIO PUMP가 있다면 고민할 필요가 없이 펌프 유닛을 AIO PUMP 헤더에 연결하면 된다. 그런데 보급형 메인보드는 CPU팬 헤더와 CHA팬 헤더 (혹은 SYSTEM 팬헤더)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펌프 유닛을 어디에 연결해야 할까?
ASUS EX B660M-V5 D4 메인보드에서 CPU팬과 CHA팬의 속도를 풀스피드로 설정하고 테스트 해 본 결과, 펌프 유닛을 CPU팬 헤더에 장착하고 라디에이터 팬을 CHA팬 헤더에 연결하든, 그 반대로 연결하든 속도엔 아무 차이가 없었다.
가성비 최고의 CPU수냉쿨러
레드빗 240 RGB는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 설계, Hydraulic 베어링 팬 탑제, 고밀도 냉각핀이 적용된 라디에이터 등 다양한 특징을 갖춘 2열 수냉쿨러로써, 조립과정이 단순하고 성능이 뛰어나 가성비 높은 수냉쿨러를 찾는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은 제품이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15455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