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컴퓨존 체험단을 통해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가성비 SSD !
- PS5 지원 !
이번에 제공받아 체험하면서 리뷰하게된 제품은 화웨이 NVME 2280 M.2 SSD [1TB QLC] 제품입니다. 정식명칭은 아래와 같습니다.
HUAWEI
EKITSTROEXTREME 200E M.2
NVME 2280 [1TB QLC]
이하 리뷰에서는 "화웨이 EXTREME 200E 1TB " 라고 명칭하겠습니다.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 스펙에 대한 정보입니다. 제가 받은 제품은 1TB 용량으로 NVME2.0, PCIe4.0 × 4 를 지원하는
순차읽기속도 7000MB/s
순차쓰기속도 6500MB/s
의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테스트에 사용된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 사양 ]
WINDOW11 PRO 24H2
CPU : 인텔 울트라9 285K
메인보드 : ASUS ROG Z890 MAXIMUS HERO
RAM : G.SKILL DDR5-8400 CL40 TRIDENT Z5 CK RGB 48GB(24GB × 2) CUDIMM
GPU : 기가바이트 AORUS 지포스 RTX 5090 XTREME 워터포스
파워 : 시소닉 PRIME PLATINUM PX-2200 풀모듈러 ATX3
케이스 : 커세어 7000X RGB
CPU쿨러 : 커세어 iQUE LINK TITAN 360 RX LCD
온도로그장치 : 커세어 iQUE COMMADER CORE XT 허브 & 커세어 iQUE LINK 허브 시스템
비교대상 M.2 SSD : 1. W사 GEN4 2TB
2. S(H)사 GEN3 1TB
[ 제품정보 ]
제품보증에 대한 정보입니다.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은 디램리스, QLC 방식이라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2가지의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HMB(Host Memory Buffer ; 호스트 메모리 버퍼) : D램이 없는 SSD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스템 메모리 (RAM)를 사용하여 L2P(Logical-to-Physical) 테이블 등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SSD는 이렇게 할당된 RAM을 통해 주소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SSD에서 데이터를 직접 읽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데 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무작위 읽기 작업에서 성능 향상 효과가 큽니다.
2. SLC(Single-Level Cell) 캐싱 지원 : SLC 캐싱이란 NAND 플래시 메모리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가진 SLC 방식으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SSD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으로 낸드 셀당 1비트의 데이터만 저장하여 쓰기 속도를 빨리 하는 방법입니다.
화웨이 SSD의 플래시 메모리 중 일정 용량을 SLC 캐싱으로 할당하여 CPU와 플래시 메모리간의 버퍼 작용으로 최상의 퍼포먼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SLC 캐싱 영역을 최대한 보존할 경우, 항상 쾌적한 상태의 SSD 퍼포먼스를 유지할 있습니다.
[ 박스 외관 및 내용물 ]
두꺼운 종이 포장박스에 유통사인 (주)이선디지탈의 연락처가 적혀있는 정품 홀로그램 스티커가 붙여 있습니다.
개봉후 재포장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실링처리되어 있습니다. 스티커를 한번 떼게 되면 박스에 스티커 인쇄물이 남게되어 개봉여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요즘처럼 재포장 상품 판매가 논란이 되는 시기에 소비자들에게 꼭 필요한 부분이죠.
박스와 내용물입니다. 두꺼운 종이박스와 걸맞는 단단하고 두꺼운 플라스틱 보호케이스 안에 SSD본체와 기타장치에 부착할 수 있는 나사 1개가 패키징되어 있고, 퀵스타트 설명서가 들어있습니다.
외부장치 부착용 나사의 확대사진입니다.
SSD나 RAM과 같은 작은 구성품들은 가급적 박스를 개봉하자마자 정품 홀로그램 스티커를 붙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박스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박스를 분실하기 쉬워서 지금 붙여놓지 않으면 나중에 정품인증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죠.
뒷면입니다. 위에 있는 나사는 컴퓨터 메인보드를 제외한 외부장치 장착용 나사이며, 메인보드에 장착할 경우에는 메인보드에서 제공하는 나사나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장착합니다.
[ 메인보드 장착 ]
아래에 HERO 라고 적혀있는 냉각성이 겁나게 좋은 두껍고 크고 높은 방열판 밑에는 W사의 2TB SSD가 이미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공정하고(?) 빡쎈(?) 테스트를 위해서 그 밑에 위치한 평범하고 얇은 방열판 쪽에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을 장착하기로 했습니다.
메인보드에 장착가능한 6개의 M.2 슬롯중에서 배속에 영향을 받지 않는 슬롯은 1,2,5,6번 4개의 슬롯입니다.
그래서 W사는 1번 슬롯,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은 2번 슬롯, S(H)사는 5번 슬롯에 장착했습니다.
장착이 잘되고 인식도 잘되는 것 같습니다. 전원을 인가하니 이상없이 잘 작동됩니다.
[ 테스트1 :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로서 어떨까? ]
QLC방식의 디스크를 제공받았을 때 가장 먼저 해보고 싶었던 테스트 였습니다. 주변에서도 가장 궁금해 하던 테스트였습니다. QLC방식의 디스크를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로 사용해도 괜찮을까? 라는 질문에 많은 분들이 우려를 가지고 있기도 해서 실제로는 어떤지 일주일동안 평상시 사용하던 그대로 평범하게 사용해 봤습니다. 궁금하실 것 같으니 결과부터 말씀드릴께요.
결과는...TLC와 아무런 차이도 느끼지 못했습니다. 윈도우 시스템 자체가 몇십~몇백 기가바이트 단위의 대규모 파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우려와는 달리 어떤 속도 차이나 버벅거림같은 부분을 전혀 느끼지 못했습니다.
이미지 복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윈도우 시스템을 화웨이 EXTREME 200E 1TB에 마이그레이션 해줍니다.
대략 10분 ~ 15분 정도 걸립니다.
부팅할 때의 속도도 같은 GEN4인 W사의 SSD와 동일한 속도를 보여줬습니다.
W사 제품의 윈도우 부팅시간 화웨이 EXTREME 200E 1TB 윈도우 부팅 시간
윈도우 부팅 시간 테스트조건
1. 연속 3번 콜드 부팅해서 측정한 뒤 가장 낮은 값
2. BIOS POST가 모두 끝난 뒤에 부팅로고 표시시점에서 시작.
3. 윈도우 부트로더 시작 ~ 윈도우 바탕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아이폰 스톱워치로 측정.
아직까지 속도가 느린 SATA방식의 SSD나 GEN3 세대의 M.2 SSD를 사용하고 있고, 윈도우 시스템 드라이브를 교체하고 싶은데 가격때문에 업그레이드를 고민중인 분이라면 가성비가 좋으면서 윈도우 시스템이 이상없이 잘 작동되는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이 좋은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 테스트2 : 기본적인 성능은 어떨까? ]
1. CrystalDiskMark
디스크벤치마크 테스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먼저 S(H)사의 GEN3 1TB 제품입니다.
다음은 W사의 GEN4 2TB 제품입니다.
마지막으로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입니다.
GEN3 제품과는 2배차이가 나는군요. 이부분은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게임을 할 때도 속도차이가 체감되는 부분입니다. 같은 GEN4 제품과 비교하면 Write 에서는 소폭 떨어지는 속도차이가 나고, Read 에서는 동일한 폭만큼 앞서는 속도차이가 납니다. 랜덤 테스트에서는 떨어지기도 하고 앞서기도 하는 성능을 보이지만 속도차이가 미미해서 유의미한 속도차이는 아닌 것 같습니다. 결국 큰 용량의 데이터 파일을 이동하거나, 장시간 파일이동을 하는 작업을 제외하면, TLC방식이나 QLC방식이 속도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닌 것 같군요.
2. ATTO Disk Benchmark
다양한 크기의 파일 용량을 전송하는 테스트를 통해서 작은 용량의 파일과 큰 용량의 파일을 처리할 때의 속도 차이를 확인하기에 좋은 테스트 프로그램입니다.
S(H)사 GEN3 1TB 제품의 테스트 결과입니다.
W사의 GEN4 2TB 제품의 테스트 결과입니다.
GEN3와 GEN4는역시128KB이상부터는 약 2배 이상의 속도차이가 발생합니다.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입니다.
같은 GEN4 제품인 W사와 비교했을 때 Write에서는 소폭 앞서고, Read에서는 소폭 뒤지는 성능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크게 유의미한 성능폭은 아닌 것 같습니다.
[ 테스트3 : 사용중 발열 상태는 어떨까? ]
현재 시스템의 온도입니다.
시스템에 장착된 3개의 M.2 SSD 중에서 아이들링시에 가장 낮은 온도인 36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온도가 많이 CrystalDiskMark보다 훨씬 많이 올라가는 ATTO 벤치마크 테스트중 발열이 가장 높은 시점을 기록해 봤습니다.
온도 로깅에는 커세어 iQUE LINK 시스템 장비를 사용하여 센서로깅을 수행했습니다.
각 SSD의 센서를 로깅한 온도 비교표입니다.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이 아이들링시에도 가장 온도가 낮고, 벤치마크 테스트 중에도 낮은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하다가, 테스트가 끝나가기 직전에 최고 온도에 도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발열관리에 매우 뛰어난 제품입니다.
테스트 조건 : ATTO 벤치 테스트 시작과 동시에 센서로깅 시작 => ATTO 벤치 테스트 종료 10초 후 센서로깅 종료. 종료 후 온도 하강시점에서 엑셀 비교표의 끝 셀을 맞춤.
[ 테스트4 : 게임용 디스크로서 성능은 어떨까? ]
1. 몬스터헌터 와일즈 벤치마크 테스트( 스팀버전 )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 테스트 결과 W사 GEN4 2TB 제품 테스트 결과
의외의 결과가 나와서 살짝 놀랐습니다. 당연히 스펙상으로 앞서는 W사의 점수가 더 높게 나올 줄 알았는데, 반대로 나와서요. W사의 저 점수도 사실은 처음 점수가 너무 낮게 나와서 5~6번 더 돌려서 그나마 제일 좋은 점수를 올려 놓은 것입니다. 아마도 게임같은 경우 READ 성능이 중요하기 때문에, 위 벤치마킹 테스트에서 근소한 차이로 READ 성능이 더 좋게 나온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의 테스트 점수가 더 높게 나온 것 같습니다.
제조사에서 저에게 - PS5 지원 ! 이부분을 꼭 강조해 달라고 했는데, 자신있게 부탁해주신 이유가 바로 이부분이었던 것 같습니다!
플레이스테이션 게임들과 궁합이 잘맞는 제품입니다.
2. 스텔라리스 (PC게임, 스팀 4X)
W사 GEN4 2TB 제품의 스텔라리스 로딩 시간은 15초 22를 기록했습니다.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의 스텔라리스 로딩 시간은 15초 36을 기록했습니다. 두제품 모두 거의 동일한 로딩 시간을 보여줍니다. 그외에 33원정대 로딩시간도 측정해봤는데,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로딩되었습니다.
게임같은 경우에는 SSD의 쓰기 기능 보다는 대부분 읽기 기능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QLC방식이라고 해서 큰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 테스트5 : 업무용, 특히 AI 프로그램용 디스크로서 성능은 어떨까? ]
위 테스트 들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소용량의 파일에서는 TLC와 QLC의 차이가 별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문서작업이나 1~2GB 이하의 파일을 다루는 작업에서는 큰 불편함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최소2~3GB 단위부터 시작하는 AI 프로그램에서는 어떤 성능을 보여주는지도 한번 테스트 해봤습니다.
테스트는 AI 그래픽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으로 많이 사용하는 Stable Difusion AUTOMATIC1111로 진행했습니다.
워낙 초반 설치가 까다롭고, 툭하면 튕기는 프로그램이라 걱정했지만 다행히 튕기지 않고 잘 설치되었습니다.
학습모델을 제외한 기본 구동 파일만 128GB인데, 이걸 모두 웹을 통해서 다운받아 SSD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QLC 드라이버의 특성상 쓰기 속도가 떨어지면서 웹접속이 끊어지며 튕기지 않을까 걱정하면서 지켜 보았지만, 속도저하 없이, 기본 제공되는 학습모델링 파일까지 고속으로 다운받아 주면서 15분만에 잘 마무리되었습니다. W사의 제품과 동일한 설치시간을 보여줬습니다.
실제로 AI이미지를 생성해 보면서 시간과 퀄리티를 비교해 봤습니다.
먼저 W사 GEN4 2TB에 설치한 프로그램에서 생성한 이미지입니다.
도심지 거리에 있는 BMW 스타일의 스포츠카의 이미지를 만들어 달라고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1200 × 1200 사이즈로 2장을 생성할 때 35.5초가 소요되었습니다.
동일한 조건과 동일한 프롬프트로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도 생성해 봤습니다.
같은 사이즈인 1200 × 1200 사이즈에서 34.2초가 소요되었습니다.
여러번 측정한 결과 화웨이 EXTREME 200E 1TB 제품의 속도가 W사의 제품보다 평균 1.3초 정도 빠르게 생성됩니다.
약 3.66%의 속도 향상이 있습니다.
10시간 작업을 할 경우 22분 정도 단축되는 시간입니다. 이정도 시간 단축이면 상당히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즘 QLC 방식의 SSD제품들이 AI 작업능력에 대한 홍보를 많이 해서 왜 그럴까 하고 궁금했는데, 아마도 시스템 램을 활용한 HBM 기법으로 TLC방식보다 랜덤 리딩에서 이득을 보기 때문에 대규모 & 대용량 파일을 사용하는 AI 프로그램에서 시간적인 단축효과가 크게 나오는 것 같습니다.
생성된 결과물의 퀄리티는 사진으로 보다시피 거의 동일한 수준입니다.
[ 테스트5 : 기타 일반적인 성능은 어떨까? ]
크기가 6GB이상인 파일 18개 = 약 110GB를 이동할 때 평균 3GB/s 이상의 저장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훌륭하군요.
6GB 단일 파일을 압축하고 있습니다.
2분 12초 48이 걸렸습니다.
W사의 제품은 2분 7초 80이 걸립니다.
압축한 파일을 풀어줍니다.
압축을 푸는데는 42초69가 걸렸습니다.
W사의 제품은 43초 21이 걸렸습니다.
파일이동과, 압축하기, 압축풀기에서는 별다른 차이 없이 비교적 고가에 판매되고 있는 W사의 제품과 비등한 속도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테스트 후 종합적인 평가 및 제품에 대한 의견 ]
단점 :
일반적인 사용에는 지장이 없으나 디스크에 파일을 Write하는 경우 제가 테스트한 경우에 한해서 200GB를 초과할 때 속도저하가 발생.
장점 :
1. 발열관리가 굉장히 좋아서, 장시간 강한 부하를 주는 작업시에도 40도 초반을 유지한다.
(타사 제품은 40도 후반 ~ 50도 초반까지 상승)
2. Read(읽기)를 많이하는 작업, 특히 게임 플레이, AI 작업시에 HBM을 활용하기 때문에 고속 시스템램을 사용하고 있다면, 큰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3.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로 사용하는데 우려와는 달리 아무런 지장이 없다.
4. 1~3 항목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낮게 형성되어 가성비가 매우 좋다.
실제로 사용해보기 전에는 QLC방식에 대한 선입견이 있어서,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로 활용할 수 있을까? 고사양을 요구하는 몬스터헌터와일즈, 33원정대, 스텔라리스, AI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에서 잘 돌아갈 수 있을까? 하는 우려심도 없지 않아 있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약 2주동안 여러가지 면에서 빡세게 사용해보면서 느낀점은, 이거 생각보다는 괜찮은 물건이네? 이런 생각이 드는군요.
특히 읽기능력이 탁월해서 SPSS같은 단일 데이터는 자잘하지만 파일 갯수가 많은 방대한 데이터를 랜덤으로 읽는 작업이 많은 통계프로그램 같은데 사용하면 시간단축이 많이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
종합적으로 총평하자면, 윈도우 디스크로 활용하기에 전혀 지장없고, 게이밍 디스크로는 오히려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줬으며, AI 프로그램용 디스크로도 시간을 단축시켜 줘서 좋았습니다. 대용량 세이프 텐서 파일만 하루정도 날을 잡고 여유있게 옮겨주고 나면, 그 이후에는 작업시간을 많이 단축시켜 줄 것 같습니다.
갈수록 학습모델 데이터 크기가 커지고 있어서 용량대비 가격이 부담되고 있는데 1TB 제품 이후에 2TB, 4TB, 8TB까지 다양한 용량의 제품들을 부담되지 않는 경쟁력 있는 가격에 출시한다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글은 컴퓨존 체험단을 통해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가성비 SSD !
- PS5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