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컴퓨존 체험단을 통해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9월 한달동안 사용해보지 않는 브랜드 부터 시작해서
최신의 Gen5 SSD를 시작으로 QLC SSD까지 소개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현재 컴퓨터에 들어가 있는 SSD 중에 서버용 오라클 SSD가 SLC 타입 포함해서 MLC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낸드 제품들이 다 들어가 있는 상태입니다. TLC제품대비 QLC의 성능과 타사 대비 QLC SSD대비 차이점도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사실 기대감을 안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기는 합니다.
다행히 5년의 보증을 이선디지털에서 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것으로 보이기는 하는데요
국내에는 500GB/1TB 용량으로 출시가 되었으며, Gen4 대역폭의 육박하는 수준의 읽기 쓰기 속도를 가지게 되면서 기대감이 상당히 높기는 합니다. 뭐라해도 실 성능에 있어서의 일반 TLC나 타사 QLC보다는 성능이 높게 나와야 하는 것이 현실이기는 하죠
화웨이가 통신부터 시작해서 일반 소비자 중심으로한 제품들을 국내에서도 유통을 시작을 했는데요
전반적인 가격 하락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경쟁력만 가지고 있다면 저는 대 환영 입니다. 생각보다 화웨이 제품들이 가격대비 나쁜적은 그렇게 많지는 않았던것 같습니다.
다양한 SSD들이 설치가되어 있습니다.
오라클SSD까지 포함하면 6종류의 SSD까지 박혀 있고, SATA SSD포함하면 그보다 더 하겠죠
이제는 Gen4 SSD가 기본이기 때문에 이전 세대는 제외하고 낸드의 타입에 따른 성능 차이가 어떻게 나는 지도 궁금하기는 합니다.
QLC 타입의 제품들에서 많이 사용하는 성능을 끌어올리는 방법중에 하나가 메인 RAM을 마치 빠른 캐싱구간처럼 사용하는 것입니다. 마이크론에서 조금더 적극적으로 이용하던 기술인데 최근 성능이 높아지게 되면서 TLC제품군에서는 사용을 거의 하지 않고 QLC에서만 적극적으로 사용을 하는 상황입니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SSD중에 비교군은 없습니다. 그나마 Gen4 대역폭을 사용하는 T500이나 하이크세미가 비교군이 될텐데요
자 먼저 경쟁사의 QLC제품군과 TLC 제품군들과의 동급 용량으로 비교해보았습니다.
쓰기 내구성측면에서는 더 나은점수를 보여주고 성능적인 면에서는 조금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거나 비슷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SLC캐싱과 HMB같은 기능도 동일합니다.
대신 가격대는 조금더 저렴하기는 합니다....스펙으로 본다면 TLC보다는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있고, 동일 타입의 SSD 기준으로 본다면 장점이 있네요
여튼 다시 돌아와서 SLC캐싱 구간은 250GB 입니다. 그 이후부터는 속도가 급락을 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쓰기를 진행을 할때는 이 이상의 용량이 넘어갈때는 잠깐 시간을 두고 나서 데이터를 대량으로 전송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즉 게이밍SSD부터 처음 설치하고 나서 읽기 위주로 하는 설치형 프로그램용도로 용량부담없이 사용하고자 한다면 좋을만한 SSD입니다.
지속쓰기 성능에서 계속 최대 쓰기 속도가 유지가 되지는 않기 때문에 온도또한 40도 중반대로 해서 안정적으로 유지가 됩니다.
HMB라고 해서 메인메모리 가져다가 사용하는 기능에 있어서 효과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성능이 Gen5 SSD 제품들과 실 성능적인 측면에서는 더 나은성능을 보여주네요
메인메모리를 이보다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닐까 할 정도로 캐싱구간안에서는 확실한 체감성능을 보여주는듯 합니다.
다른 벤치프로그램에서도 역시나 Gen4 SSD에 준하는 성능을 보여주면서 QLC 타입의 SSD가 가지는 오해를 풀어낼만 합니다.
사실 기대 안하고 테스트한 SSD중에 하나가 이번 화웨이 200E 제품입니다. QLC라서 성능이 급락할것은 예상했었지만 250GB 연속 쓰기 실 성능은 상위 제품들과 비견될만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서 이 점이 더 놀랐습니다.
가격대가 동급의 제품에 비해 저렴한것은 사실이고 내구성과 성능적인 면에서는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는것도 인정...그런데 브랜드만큼의 가격차이를 극복하기에는 단일 구매로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다만 가성비 SSD라는 측면과 다수의 시스템 조립을 하거나 할때 많은수량을 구입할때는 좋은 솔루션이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