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Optical Disc Drive/Recording Media/Computer/Hardware/Software/Digital Camera/Digital Cam. |
|||||||||||||||||||||||||||||||||||||||||||||||||||||||||||||||||||||||||||||||||||||||||||||||||||||||||||||||||||||||||||||||||||||||||||||||||||||||||
|
|||||||||||||||||||||||||||||||||||||||||||||||||||||||||||||||||||||||||||||||||||||||||||||||||||||||||||||||||||||||||||||||||||||||||||||||||||||||||
작성자 : 파랑돌이 (Parangdory)
이번에 테스트한 제품은 한국에디파이어(주)(http://www.edifierkorea.co.kr)에서 2004년 4월에 출시한 제품인 슈멜 Xemal 2.1채널 스피커이다. 5.1채널 스피커가 보급형,고급형 등 다양한 가격대와 성능을 차지하면서 스피커시장에서 더욱더 자리를 굳힐려고 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왜 하필 2.1채널을 그것도 고급형 2.1채널 스피커를 시장에 과감히 출시하느냐? 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저 또한 테스트를 시작하면서 별 기대를 하지 않았다. 여기에 한국에디파이어의 관점이 보인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스피커를 소모품으로 여기로 컴퓨터를 사면 말 그대로 끼워주면 쓰고 없으면 헤드셋을 쓰고 좀 필요하면 돈을 좀 들여서 5.1채널 스피커를 산다라는 일련의 순서가 바로 소비자의 마음이다. 그런데 가민히 생각해 보면 2.1채널 스피커시장은 없다. 아니 저렴하니 쓴다라는 것이지 성능이 좋아서 2.1채널을 쓴다가 아니었다. 이처럼 2.1채널 스피커시장은 더 이상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그러면 왜 2.1채널인가? 바로 고급형인 2.1채널을 한번도 사용해 본적이 없기 때문에 그동안 보급형 2.1채널을 한 번쯤 사용해 본 사용자는 아무리 고급형이라 하여도 별로 메리트가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필자또한 테스트 전에 이런 선입견을 가지고 고급형 2.1채널 스피커라고 해봤자지... 라고 생각해 본 적이 있다. 돌비 디지털 2.1채널(Dolby Digital 2.1CH; AC-3 2.1CH)로 된 DVD비디오를 본적이 있는가 5.1채널 스피커만큼 서라운드효과는 기대할 수 없지만 고급형과 보급형을 차이를 느낀다면 보급형 5.1채널 스피커가 얼마나 위성스피커의 갯수에 현혹되어 사용했다는 것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1) 제품의 스펙(Specification)
(1) 배달된 모습 1) 박스의 전체적인 모습 택배로 배송된 제품박스 전체의 모습이다. 2) 박스의 정면 박스의 정면이다. XEMAL의 로고, 제품명인 X-500, XBASS PMPO 2800 2.1CH POWER WOOFER SPEAKER SYSTEM이라는 글자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아쿠아블루와 군청색 계열로 디자인은 시원하고 왠지 사이버틱한 느낌을 준다. 개인적으로 파랑색계열을 좋아하는 필자에게 딱 어울리는 디자인이다. 굿이라고 말하고 싶군요. 3) 박스의 측면 박스의 양 측면에 있는 옆모습이다. 간단한 스펙이 표시되어 있고 정면과 비슷한 로고들이 보인다. 측면에 새겨진 문구중에서 확대해보면, 위처럼 보인다. 5.1채널 제품들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슈퍼우퍼(Super Woofer)가 2.1채널로서 제공된다는 것과 게임,MP3를 지원한다는 내용과 방자형(Magnetic Shield)으로 모니터,TV등에 자기장으로 인한 피해가 없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중요 표인트로는 울림통의 재질이 MDF목제재질(MDF Wooden Made)로 만들어 졌다는 것과 DVD비디오와 오디오CD를 지원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중요한 정보는 아니지만 PMPO 2800이다. 정격출력 RMS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모두 잘 아실 것이다. PMPO만 보면 얼마전에 테스트한 ROSE 5.1스피커의 경우 PMPO가 1600W이었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듯이 PMPO수치만 보고 좋은 스피커이다 아니다라고 생각하지 말길 바란다.
(2) 박스의 내부모습 박스를 개봉하면 바로 윗면에 위성스피커 2개와 사용자설명서, 오디오출력케이블 1개가 있다. 윗 스티로폼을 제거하면 아래에 슈퍼우퍼스피커 1개가 들어있다.
(1) 우퍼스피커(Super Woofer Speaker) 1) 정면 6.5인치 방자형 우퍼스피커의 전면모습이다. 유닛의 콘지를 보호할 수 있는 천 재질의 커버가 되어있다. 천을 손가락으로 눌러보면 팽팽한 느낌은 없이 그냥 쑥 들어가는 느낌이었다, 천재질의 커버를 사용한그릴를 재거해면 아래처럼 제거가 쉬웠다. 중간의 둥근모양을 제외한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프레임이 형성돤 형태이다. 우퍼스피커의 천재질의 커버 그릴을 제거한 후 본 모습이다. 6.5인치 서브우퍼 유닛을 확인할 수 있다. Xemal의 X 시리즈가 가진 공통적인 부분이다.그리고 우퍼스피커의 울림통은 MDF로 제작되었다. 2) 오른쪽 측면 오른쪽 측면의 모습이다.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제어판이 있다. 볼륨조정키와 입출력단자, 파워 ON/OFF 스위치. 전원선등이 있는 곳이다. 전원선이 본체 일체형일 경우, 차후 전원선의 훼손시 재구입이 아니라 수리를 해야 되는 점도 있다. 2) 후면 우퍼스피커의 후면을 볼 수 있다. 3) 왼쪽 측면 우퍼스피커의 측면이다. MDF로 상단쪽에 있는 덕트의 모습이다. 옆에서 보이는 보습에서 MDF재질의 울림통과 커버사이에 임의적으로 공간을 준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울림통에 완전 밀착한 경우가 더 보기도 좋고 또 운반시에 돌출도니 처버의 귀퉁이가 부서지는 일도 없을 것이다. 울림통에 완전 밀착시키는 것이 좋을 듯하다. 덕트가 생각보다 크다 그래서인지 육안으로도 우퍼스피커의 내부가 보였는데 디자인측면에서는 별로 보기는 좋지 않다. 회로도와 부품이 육안으로 보인다는 건 다소 미흡했다. 덕트의 크기를 줄이는 것보다는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 천재질의 커버가 있었으면 한다. 4) 후면 후면은 별다른 모습은 없이 스티커만 보였다. X-500에 대한 간략한 제품정보가 보인다. 제조자명이 베이징 에디파이어 하이테크 그룹이고 제조국은 중국이다. 5) 바닥면 정사각형의 바닥면에 네 귀퉁이의지지대는 다소 부족한 것같다. 스폰지재질의 지지대로는 다소 지지가 힘들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그리고 손으로도 쉽게 탈착이 가능해서 바닥면이 고무재질이면 시간이 지난서 고무와 스폰지가 서로 융합되어 녹아내리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타 스피커처럼 플라스틱으로지지재를 구성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2) 위성스피커(Satellite Speaker) 1) 전면, 측면 위성스피커의 전면과 측면의 모습이다. 세로로 긴 장방형타입이다. 위성스피커의 전면에 있는 그릴을 분리해 보았다. 그릴의 뒷면을 보면 우퍼스피커와는 달리 촘촘한 철망모양의 틀로 마무리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우퍼스피커도 이런 견고한 틀로 되어있었으면 한다. 위성스피커의 전면 그릴을 제거해 보면 3인치 풀레인지 유닛과 1인치 PV Dome 트위터(Tweeter)가 장착된 2 way 방식의 스피커이다. 1인치 PV Dome 트위터(Tweeter) 콘의 모습이다. 위성스피커의 3인치 풀레인지 유닛의 콘모습이다. 2) 위성스피커의 후면 위성스피커의 후면을 본 모습이다. 또한 높이조절을 위해 벽걸이용 홈이 있다. 후면에는 특이하게 소형 덕트가 있다. 보급형에서 볼 수 없었던 덕트였으므로 다소 흥분시킨다. RCA케이블의 단자가 소켓형이 아닌 플러그타입이다. 보급형의 경우 납땜된 연결선을 주로 사용하나 이 제품에는 플러그타입의 사용으로 분리와 연결시 좀 더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2) 윗면과 바닥면 위성스피커의 윗면과 바작면의 모습이다. 우퍼스피커의 바닥면지지대처럼 스폰지 재질이다. 같은 재질이므로 스폰지보다는 플라스틱재질의 견고한지지가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3) 사용자 매뉴얼 및 오디오출력케이블 사용자 매뉴얼이다. 매우 간단하게 기술되어 있어 충실한 사용설명이나 음이 나오지 않거나 음의 재생에 오류가 있을 때 해결 및 위기대처법 등이 없어서 아쉽다. 오디오출력용 케이블이다.
(1) 우퍼 스피커와 위성스피커에 오디오출력 케이블의 연결 및 작동확인 오디오출력 케이블을 RCA플러그타입으로 연결시켰다. 파워의 스위치를 ON을 하면 POWER LED에 녹색불이 들어왔다. (2) 에이징 필자가 MP3P,MP3CDP 동호회활동에 관심을 가졌을 때 이어폰 및 헤드폰의 에이징에 대해 찬성쪽에 있었던 사람이다. 그깨 SONY MDR-E888 이어폰에 대해 했던 것처럼 바흐의 4계로서 고른 대역의 음감을 소화해내기 위해 스피커의 에이징에 7일간 투자하여 음량의 10%에서 시작해서 단계적으로 올렸다. 에이징이란 용어는 몸을 풀고 운동하는 운동선수처럼 준비운동을 하는 것이다. (3) 작동확인 1) 오디오CD 및 MP3파일의 재생시 스피커를 PC에 오디오출력단자에 연결한 후 오디오CD와 MP3를 재생하는 화면이다.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다. 2) DVD-비디오 영화 재생 DVD-비디오 영화를 재생한 화면이다. 재생화면은 공각기동대 DVD을 하드디스크에 의 리핑된 DVD비디오 파일이다. 음성의 재생에 전혀 이상이 없었다. 3) DivX동영상 파일 재생 Divx 동영상파일 재생시의 화면이다. 재생도 전혀 이상이 없었다.
(1) DVD-VIDE0 재생 테스트
(2) DivX 동영상파일 재생테스트
위 DivX 동영상 파일들에 대한 자세한 코덱과 재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하는사용자는 아래 사이트르 방문해 보시길 바란다. 와이즈포스트 WP0401 DVD+DivX-PLAYER 사용기의 DivX관련 재생부분 http://home.hanmir.com/~sk100200/html/wp0401.htm
(3) MP3 재생테스트
(4) 오디오CD 재생테스트
이상으로 슈멜 Xemal 2.1채널 스피커에 대한 테스트를 마쳤다. 2.1채널 스피커의 고급형제품으로 알려져 있어 PC용 스피커로서 기존의 보급형제품과 어떤 차이가 있는 지 궁금하기도 하였다. DVD비디오, DivX 동영상파일의 재생 및 MP3, 오디오CD의 재생을 통한 음질을 테스트해 본 바로는 기존의 2.1채널의 스피커에서 보여준 느낌과는 달랐다, 재생되는 음질을 보여줄 수 없는 필자으 ㅣ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 지 모르겠다. 이번에 테스트한 슈멜 Xemal 2.1채널 스피커는 우퍼스피커의 XBASS기능으로 매우 좋은 중저음의 지원과 2개의 위성스피커로 나오지만 서라운드 스테레오같은 웅잠함을 들을 수 있었다. 무론 5.1채널 스피커의 완벽한 음의 분리와는 비교자체가 힘들지만 오디오출력에서 일반 보급형 2.1채널 제품과는 다른 충붆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스피커란 소모품에서 부품으로 급상승하는 시기가 왔다. 헤드셋으로 DVD영화를 보는 감흥이 나지 않을 것이고 일반적인 스테레오 2채널 스피커로도 존재의 아쉬움을 얻기는 힘들다 .그런 점에서 2.1채널의 우퍼스피커의 존재가 있으면서도 충분하게 저렴한 가격과 훌륭한 품질의 선택은 저렴한 음원출력용 스피커를 원하는 소비자에게는 경제적이면서 적당한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긴 글을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파랑돌이 2004.03.11
|
|||||||||||||||||||||||||||||||||||||||||||||||||||||||||||||||||||||||||||||||||||||||||||||||||||||||||||||||||||||||||||||||||||||||||||||||||||||||||
ll 파랑돌이 (Parangdory) (메일) |
|||||||||||||||||||||||||||||||||||||||||||||||||||||||||||||||||||||||||||||||||||||||||||||||||||||||||||||||||||||||||||||||||||||||||||||||||||||||||
Copyrightⓒ PARANGDORY TECHNICAL WRITER. All rights reserved. |
|||||||||||||||||||||||||||||||||||||||||||||||||||||||||||||||||||||||||||||||||||||||||||||||||||||||||||||||||||||||||||||||||||||||||||||||||||||||||
Digital is Life! Digital Life is our Dream. It's your turn. Are you ready? Don't be afr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