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IX HD M-5000U 출시 그리고 1년...
TVIX HD M-5000U(이하 M-5000U)가 선을 보인지 1년이 넘었다. M-5000U 의 출시는 기존 TVIX M-3000U 모델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HD컨텐츠 (WMVHD, DIVX-HD, MPEG2-TP...)를 재생할 수 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기본 지원한다는 점에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AV 매니아들에게 충분한 이슈거리였다.
특히, HDTV가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HDTV의 컨텐츠인 MPEG2-MP@HL 의 HDTV-TP 컨텐츠를 바로 재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AV 매니아들에게 크나큰 매력으로 다가섰다. 이러한 장점을 그대로 포함하며 M-5000U는 HD Tuner 를 결합시켜 STB 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겸 HDTV 녹화장치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현재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추가하면서 또 한 번의 재탄생을 거듭하게 되었다.
▶ TVIX HD M-5000U의 매력
1. HDTV의 재생과 EPG를 통한 녹화기능
M-5000U 는 앞서 MPEG2-MP@HL의 HDTV-TP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다 하였다. 이러한 장점을 바로 적용하여 M-5000U는 HD Tuner 를 적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HDTV STB 는 물론 HDTV 녹화장치로 거듭나게 되었다.
▲ HD Tuner 장착 후, SETUP에서 HDTV설정
이러한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은 HDTV의 수신이 바로 디지털 신호화된 스트림 데이터이기 때문이다.
HDTV에서 수신된 그 신호는 별다른 변환의 과정 없이 바로 저장장치에 저장하면 그 데이터는 HDTV-TP 용 미디어가 된다. 때문에 M-5000U의 HD Tuner 는 데이터를 M-5000U에 내장된 HDD에 바로 저장하고, 또 재생하여 STB 및 HDTV 녹화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채널검색중
▲ 녹화시 좌측 상단에 REC 아이콘이 나타난다.
녹화데이터는 M-5000U에 장착한 HDD에 저장된다.
하지만 아쉽게도 아날로그 방송은 M-5000U 에서 지원하지 않고 있다. 앞선 형태의 디지털화된 데이터가 아니기 때문인데, 별도의 H/W 를 구성하여 MPEG2 형태로 엔코딩을 한 데이터를 M-5000U 에 전송하도록 한다면 실제 아날로그 방송 역시 불가능하진 않을 것이다. 다만, 아날로그 방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질 것이고, 별도의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비용이 M-5000U에 적용된다면 그 역시 소비자 부담이었기에 적극 수용되진 않았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M-5000U 는 HD Tuner 와 결합되면서 STB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해내고 있다. 디지털 방송 신호에 묻혀 전송되는 EPG 역시 M-5000U 에서 제공하여 방송 스케쥴을 TV를 보면서 확인할 수 있고, 또 EPG 내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녹화, 시청 등의 스케쥴링까지 가능하다.
▲ M-5000U의 HD Tuner 를 이용한 EPG 수신과 예약녹화
만일, 사용자가 튜너가 내장되지 않은 구형 DTV를 가지고 있다면 이를 진정한 HDTV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HDTV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에겐 방송 시청 중 다른 방송을 녹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 녹화된 파일은 DTV REC 폴더에 채널별로 정리된다.
최근 타임머신 기능을 내장한 HDTV의 기능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면서도(참고로 타임머신 주요 기능인 타임쉬프트 기능은 지원하지 않고 있다.), 비용적인 부분과 실용적인 측면에서 오히려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한다고도 볼 수 있다.
2. WMVHD 등 각종 동영상을 재생하는 M-5000U
최근 인터넷으로 통해 다운로드한 각종 동영상들을 보면 HD급 퀄리티의 WMVHD 파일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컴퓨터/IT 관련 정보, 영화 예고편, 게임 오프닝 등... 실제 이러한 컨텐츠는 영상물임에도 컴퓨터에 국한되어 재생할 수 있었다는 것이 한계였지만, M-5000U를 접하면 관련 영상물은 TV에서 보다 큰 화면으로 감상이 가능하게 된다.
▲ 인터넷으로 다운받은 각종 게임용 INTRO
: 최근 INTRO도 WMVHD가 많다.
▲ WMVHD 의 재생정보 : 1280x720
가령 극장에서 영화 예고편을 반복적으로 재생한다든지, 건물 위에 있는 광고 전광판에서 광고영상을 재생한다든지. 또, 지하철역에서 홍보용 TV에서 재생하는 등에서 별다른 시스템 없이 M-5000U 는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한다.
3. 홈 미디어센터를 꿈꾸는 M-5000U
M-5000U 는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HTPC 가 거실로 나오기 시작하면서 컴퓨터가 거실을 점령하게 될 것이라 하였지만, 일부 사용자들에겐 컴퓨터의 무겁고 복잡한 사용으로 외면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이러한 불편함을 깨고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거실을 점령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물론, 각종 게임기들이 네트워크 및 멀티미디어 재생을 지원하게 되면서 경계가 모호해지긴 하였지만, 결과적으로는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가 거실 및 컴퓨터와 연결되는 HUB이자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 HDTV 옆의 M-5000U, 네트워크로 PC와 연결되어 있다.
M-5000U도 마찬가지이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M-5000U는 컴퓨터와 TV라는 가전제품을 잇는 징검다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 네트워크만 연결되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컴퓨터의 데이터를 M-5000U가 재생하면서 TV로 출력을 할 수 있고, M-5000U의 HD Tuner를 통해 녹화한 HDTV 컨텐츠는 다시 컴퓨터에서 2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타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집에 있는 M-5000U에 각종 컨텐츠를 집어넣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FTP 를 지원하게 된 M-5000U는 그간 네트워크를 지원한다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들이 자료를 받아오는 일방적인 방식과 달리 자료를 M-5000U로 넣을 수 있는 방법, 더불어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서 바로 우리집 거실에 위치한 M-5000U로 자료를 넣을 수 있도록 해 그 활용도를 더욱 넓히고 있다.
▶ M-5000U 의 네트워크 접속 방식 및 방법
1. NFS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연결 방식이다. 시그마디자인의 EM8621 칩 기반이라면 대부분 NFS 방식을 지원한다. 이는 컴퓨터의 특정 데이터를 공유하여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그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서버 역할을 하는 컴퓨터를 지정해야 하며, 해당 컴퓨터에서는 데이터를 공유한다고 지정해야 한다. 가장 무난한 방식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소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플레이어에 따라서는 가져올 수 있는 컴퓨터의 데이터가 제한적일 수 있다.
M-5000U에서는 NFS 설정을 기본적으로 지원하며, 다소 불편한 NFS 방식을 개선하여 TVIX NetShare 라는 툴을 제공해 좀 더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불어 NFS 설정 가능 수는 M-5000U에서는 4개의 네트워크 디스크 설정이 가능해,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M-5000U 에서 사용하는 NFS를 이용해 컴퓨터와 M-5000U간의 데이터 공유설정은 다음과 같다.
-컴퓨터에서의 설정
M-5000U에서 서버로 지정한 컴퓨터의 설정은 TVIX NetShare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때문에 초보자들이 어려운 네트워크 설정에 힘들어 할 필요가 없다.
TVIX NetShare를 설치하면 윈도우즈 시작 시 자동실행 및 자동 공유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공유 폴더를 지정하면 M-5000U의 NFS 네트워크 디스크 지정으로 컴퓨터의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참고로 TVIX NetShare 에서 지정한 공유폴더는 공유명을 tvixhd1 로 자동 지정하기 때문에 M-5000U에서의 공유폴더이름은 tvixhd1 으로 설정해야한다.
-M-5000U에서의 설정
NFS 의 장점은 데이터 전송이 안정적이고 그 전송속도가 빠르다는 점이다. 때문에 HDTV 소스인 MPEG2-TP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 재생하려면 NFS 설정은 필수라 할 수 있다.
▲ TVIX Netshare로 데이터 전송시 네트워크 이용률
M-5000U에서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 중 가장 대역폭이 큰 HDTV의 TP 파일로 NFS로 설정하여 재생한다면, 끊김 없이 감상이 가능하다.
만일, HD Tuner 가 내장되지 않았다면 컴퓨터에 장착한 DTV수신카드를 이용하여 HDTV로 녹화한 데이터를 편하게 감상할 수 있다.
2. FTP
FTP 는 NFS의 제한적인 사용의 한계를 뛰어넘게 해준다. M-5000U에서 지원하는 FTP 는 주체가 컴퓨터가 아닌 M-5000U 가 된다. 때문에, 인터넷이 연결된 어떤 컴퓨터든 바로 우리집 거실에 설치한 M-5000U로 자료를 넣을 수 있다. 더불어 NFS가 데이터를 복사할 수 없었던 것에 비해 컴퓨터에서 M-5000U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게 되면 타지에서 어떠한 중요자료를 찾았을 때 바로 우리집에 있는 M-5000U에 자료를 넣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타인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받을 수 있고, 또한 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실제 이러한 데이터의 공유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국한되는 것만은 아니다. 실제 FTP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저장장치들이 판매되고 있음을 본다면, M-5000U의 FTP 지원은 그러한 용도의 사용을 적극 대체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기기의 용도를 필요로 했다면 M-5000U가 그 용도를 대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M-5000U 에서 사용하는 FTP를 이용해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서 M-5000U로 데이터를 넣도록 하는 설정은 다음과 같다.
-FTP 사용을 위한 설정
M-5000U 내에서 FTP를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설정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단지 할당된 IP주소와 M-5000U에서 기본 지정된 FTP 비밀번호만 알면 된다.
▲ FTP 접속
우선 M-5000U가 할당된 IP가 192.168.10.102 라 한다면, ftp://192.168.10.102 라고 익스플로러의 주소창에 입력하거나 알FTP와 같은 FTP 프로그램에서 해당 주소를 입력하면 바로 접속이 가능하다. 이때 ID 는 tvixftp 로 고정이며, 암호는 M-5000U의 SETUP화면에서 고정된 암호를 입력하여 접속이 가능하다.
▲ 알FTP를 통한 접속
▲ 약 2.5MB/s의 속도... (최대 3MB/s 이상도 나온다)
FTP를 이용할 경우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환경에 따라 차이나나, 대략 2.5~3MB/s (20~25Mbps) 정도의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
사실 인접한 거리에서 FTP를 이용할 경우에는 USB를 연결하였을 때의 속도에 많이 못 미치기 때문에 작은 데이터를 옮기거나 내부의 데이터를 관리(파일명 변경 및 삭제)하는 정도가 알맞다.
하지만, 외부에서 M-5000U에 데이터를 넣고, 공유하는 용도에선 어차피 인터넷 속도에 제한되므로, 2.5MB/s 내외의 속도는 느리다고는 할 수 없다. 바로 이점이 NDAS가 갖지 못하는 개방적인 부분이다.
그렇다면 M-5000U를 이용해서 어떻게 외부에서 FTP를 통한 접속이 가능할까? 바로 DDNS 서비스를 활용하면 손쉽게 가능하게 된다.
-DDNS 설정 및 사용
▲ 공유기의 DDNS 서비스 활용
M-5000U와 PC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용하려면 대부분 공유기를 이용할 것이다. 이때 공유기에서 제공하는 DDNS 서비스를 이용하면 외부에서도 M-5000U에 FTP 접속이 가능하다.
가령 tvix.dyndns.org 라는 DDNS 사용한다면 ftp://tvix.dyndns.org 또는 알FTP 와 같은 FTP 프로그램에서 tvix.dyndns.org 주소 입력만으로 M-5000U에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ID와 암호는 앞서 언급한 tvixftp 와 M-5000U에서 기본제공하는 암호를 입력하면 된다.
▶ M-5000U 를 통한 가정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구축
TVIX M-5000U는 단순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아니다. PC와 가전을 잇는 허브이며, 인터넷 시대에 걸 맞는 진정한 네트워크 플레이어이다. 또한, HDTV의 활용도를 넓혀주는 DTV STB 이자, DTV 레코더이다.
최근 EPG와 FTP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TVIX M-5000U는 AV 생활에 작지만 큰 변화를 주고 있다.
1080p의 FullHD 출력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이고, HDTV의 컨텐츠를 녹화할 수 있는 HD Tuner의 결합. 그리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지원하는 M-5000U의 능력에 걸맞는 NFS 및 FTP 등의 네트워크 지원...
이제 HDTV 옆에는 TVIX M-5000U 와 같은 똑똑하고 유기적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필수일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