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글동글 귀엽고 부드럽게 생겼지만 성능은 막강한 외유내강 유무선 공유기 '네트윈 C310A'. 지난 번 개봉기에 이어 본격적인 사용기로 들어가 봅니다. 개봉기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네요.
우선 '네트윈 C310A'의 상세한 사양을 살펴 볼까요? 먼저 C310A의 하드웨어 사양입니다.
두 개의 안테나가 달린 '네트윈 C310A'는 기존에 사용되던 '802.11/b/g'모드는 물론 최신규격인 '802.11n'에서 지원하는 기능인 'MIMO'를 통해서 '최대 300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합니다. 'MIMO'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해서 전송속도를 증폭시키는 기술인데요. 현재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속도가 '100Mbps'급인 것을 감안하면, 802.11n규격을 지원하는 기기라면 최고속도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뜻이지요.
| CPU
네트윈 C310A에는 '384Mhz'의 속도를 가지는 'MIPS 방식'의 34비트 버스를 사용하는 CPU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요즘 출시되는 공유기는 네트워크 공유는 물론 다양한 보안 및 부가기능을 지원하고 간이 웹서버 기능을 지원해서 웹브라우저로 관리가 가능해야 하죠. C310A도 이처럼 다양한 기능을 모두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MIPS CPU가 제공되고 있는 것이죠.
| LAN
'네트윈 C310A'에는 최고 100Mbps 속도를 지원하는 랜포트가 '4개' 장착되어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유'무선 공유기니까요.^^ 네트윈 C310A은 랜포트에 연결된 기기들을 자동으로 인식해서 아이피를 할당해 줍니다.
| WAN
WAN은 무선 연결이죠. 무선 연결로는 10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있는데요. 네트윈 C310A는 실제 최고접속속도를 95Mbps 이상으로 지원해 준다고 하는데요. 요 부분은 나중에 속도 측정 결과로 확인해 보도록 하구요.^^
| FLASH
네트윈 C310A에는 '4Mbyte'의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플래시 메모리에는 공유기의 펌웨어및 구동 프로그램이 들어가죠. 동급제품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2Mbyte 플래시보다 2배 넉넉한 용량을 통해서, 계속적인 펌웨어 업데이트에 원할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하네요.^^
| 동작온도
스펙상의 동작온도는 '0~50도' 라고 되어 있는데요. 사실 우리가 아프리카 열대 지방이나 극지방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경하에서는 문제없는 작동을 보장할 듯 합니다.
다음으로, C310A의 소프트웨어를 살펴 볼까요?
| 작동방식
네트윈 C310A는 작동방식으로 'Bridge모드'와 'NAT모드'를 지원합니다. Bridge 모드는 무선 공유기를 무선 LAN카드 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드이고, NAT 모드는 일반적인 'AP(Access Point)'로 설치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Bridge 모드를 사용하면 여러개의 네트윈 C310A를 연결해서 보다 넓은 면적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 프로토콜
네트윈 C310A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PPPoE, DHCP, L2TP, PPTP, RIPv1v2가 있는데요. 'PPPoE' 지원을 통해서 모뎀을 사용하는 xDSL 유저 분들도 사용하실 수가 있겠네요. 'DHCP'는 네트워크 좀 만져보신 분들이라면 자동으로 IP를 할당해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란 것을 아실 겁니다.
여기까지 네트윈 C310A 의 스펙을 이렇게 살펴 봤습니다. 스펙을 살펴봤으면 이제 설치를 해야 되겠죠?^^ 네트윈의 설치 CD를 삽입하고 자동실행을 선택해 줍니다.^^
네트윈의 설치 씨디는 '윈도우즈 XP, 비스타, 7을 지원' 하네요. 맥이나 리눅스를 쓰는 분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사실 네트윈은 자동설정 기능이 있고 웹서버 형태로 웹브라우저를 통해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맥에서는 설치 프로그램이 없어도 '사파리' 를 실행해서 네트윈 공유기에 접속해서 설정을 잡으실 수 있습니다. 리눅스도 마찬가지로 웹브라우저로 가능하구요. 그렇지만 맥, 리눅스 유저들도 배려하는 차원에서 설치 프로그램에 맥과 리눅스용 버전도 추가되면 더 좋을 듯 하네요.^^
공유기 연결법이 먼저 나오네요. 그림대로 인터넷에서 네트워크 신호가 들어오는 케이블을 ' 파란 커넥터' 에 꼳으시고, '노란 커넥터' 에는 공유할 기기들을 연결 하시면 됩니다. 물론 전원공급을 위해 어댑터는 꼳아주셔야 되구요.^^ 말씀드린 대로 4대의 유선기기 연결과 함께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비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무선으로는 20대 정도의 무선기기 연결이 동시에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지름신과 12카드천사를 경배하시는 얼리아답터분들이 아니라면 가정용으로는 충분한 연결 대수겠죠?^^ 제대로 연결하셨으면 다음을 눌러 주시구요.^^

이런식으로 약간의 장치 인식 과정과 셋팅을 진행한 후에...

다음과 같이 인터넷 연결 방식을 선택하는 메뉴가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IP주소를 자동으로 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첫번째를 골라주시면 되고요. 혹시나 전용선을 사용하시는 분들(부러운 분들이죠.^^)은 두 번째인 고정 IP방식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PPPoE 방식은 모뎀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고르셔야 되는데.. 요새는 대부분 광랜을 사용하시니.. 여하튼 선택하셨으면 다음을 또 눌러주시구요.
여기서는 무선 연결 방식을 고를 수 있습니다. 'SSID '는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이름인데요. 원하시는 이름으로 설정하시되 알파벳과 숫자를 사용 하시길 바랍니다. 네트워크 표준은 다양한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11b/g/n 으로 맞추어 주시는게 좋구요. 채널은 무선 연결에서 사용되는 채널인데요. 간단하게 TV채널을 생각하시면 되구요. 기본값인 6으로 두셔도 되고 자동설정으로 해두셔도 좋습니다.
'SSID 브로드캐스트' 는 외부 기기들이 자동으로 공유기의 SSID를 인식할 수 있게하는 기능인데요. 보안이 걱정되신다면 종료로 해 놓으시고, 사용 기기에서 수동으로 검색해서 연결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을 설정해주는 메뉴입니다. 안전한 네트워크 사용을 위해서는 보안 설정을 꼭 해두셔야죠. 네트윈 C310A는 'WEP, WPA, WPA2' 3가지 방식을 지원하는데요. 아무래도 WPA2방식이 제일 나중에 나온 만큼 요걸 사용하는 게 가장 좋을 것 같죠? 하지만 사용하시는 무선 기기들이 각각의 보안 모드를 지원을 해줘야되기 때문에, 보안모드를 고르시기 전에 사용하시는 무선 기기들의 보안 모드 지원 여부를 확인 해 보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WPA2를 골랐네요. 다음 항목에서 암호를 넣을 수 있는데요. WPA2같은 경우 8~63자의 암호를 지원하므로 8자 이상의 알파벳과 숫자를 이용해서 암호를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하고 나면 드디어 설정이 마무리 되는데요.

이런 식으로 간략한 요약이 뜨게 됩니다. 사생활을 위해 중요한 정보는 모자이크~ 혹시 나중에 네트워크에 대해 글을 올리실 분들도 본인의 IP주소와 MAC 주소등은 꼭 가려주시기 바랍니다 .^^ 비밀번호 가리는 것은 기본이구요.^^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사용자분들을 위한 간단한 설정이라고 할 수 있구요. 사실 네트윈 C310A의 강점은 웹브라우저를 통한 세세한 설정과정을 통해서 드러납니다. 네트윈 공유기의 부드럽고 귀여운 모양새가 '외유' 라고 한다면 지금부터 살펴 볼 웹브라우저를 통한 설정 과정은 '내강'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트윈 공유기에 웹부라우저로 접속하는 법은 간단합니다. 웹브라우저를 띄우고 주소창에 'http://192.168.1.1' 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로그인 화면이 나올겁니다.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는 기본적으로는 admin/admin 으로 되어 있습니다. 일단 접속하셔서 설정을 잡아주신 후에는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반드시 바꾸어주셔야 합니다! 안 그러면 보안상의 문제가 생기니까요.^^
로그인을 했을 때 가장 먼저 보이는 페이지는 시스템에 대한 요약 정보입니다.

중요한 부분은 'MAC 주소'와 'IP주소' 및 'SSID'는 숙지해 두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이 페이지에서 네트윈의 모토를 보게 되더군요. 오른쪽 위에 있는 모토인 Lovely, Purity, Modern 처럼 사랑스럽고 순수하고 모던한 제품을 많이 출시할 수 있길 바랍니다.^^
설정들은 대단히 상세해서, 네트워크 초보자는 물론이고 전문가 분들이시라면 설정을 통해서 원하는 네트워크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기기의 '맥 어드레스를 등록'해서 다른 기기들의 접근을 원천봉쇄할 수도 있고, 그 밖의 다양한 보안 옵션을 제공해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해킹의 위협을 차단해 줍니다.
먼저 유선 신호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왔는데요.
저희 집에서 사용하는 'KT olleh 엔토피아'가 '100Mbps' 서비스 인 것을 감안할 때, 공유기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와 동일한 속도를 보여줍니다. 핑 테스트 또한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편입니다. 유선 연결은 일단 합격이죠^^
노트북의 경우는 제가 네트윈의 성능을 풀로 활용할 만한 노트북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중앙네트웍솔루션의 장비로 테스트를 대신 부탁드렸습니다. 무선 네트웍 속도 벤치로는 벤치비를 사용했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