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의 WiFi 정책이 변경되어, 타 통신사 사용자들도 T WiFi Zone을 무료로 사용 할 수 있었지만, 오는 7월 1일부터 T WiFi Zone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SKT 망 자체의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실제 SKT 고객들이 사용을 할 때에 불편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SKT 사용자라서 이 정책을 환영을 하면서도, 통신사간의 'WiFi 망의 통합 정책'이 물거품이 되지 않을까 걱정도 됩니다.
SKT의 경우에 휴대폰 사용자가 WiFi 단말기(컴퓨터, 타블렛, 휴대폰 등)를 등록하여, T WiFi Zone에서 무료로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조금 확대해서 설명을 하자면, 지인 중에 SKT 휴대폰 사용자가 있다면, 지인의 아이디로 T World에 접속을 해서, 본인의 WiFi 단말기를 등록하시면, T WiFi Zone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 입니다. 보통 가족 구성원 마다 통신사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오늘 설명드릴 내용의 요점은, WiFi 기기의 MAC 주소를 찾아서, T World에 MAC 주소를 등록하여, 'T 와이브로 존'을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내용은 T World 홈페이지에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어서, 이 글에서는 이런 기능이 있는지 모르시는 분을 위해서, 간략하게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T world에 로그인을 합니다. (T world 주소: http://www.tworld.co.kr/ )
로그인에 필요한 아이디는 SKT 고개인 지인(가족이나 친구 등)에게 부탁을 하셔서 로그인을 하시면 되겠죠.
2. 상단의 메뉴에서 고객센터 메뉴에서 'T 와이파이 존'을 선택합니다.
T 와이파이존 화면으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화면의 중간 부분에 보시면, '인증 및 접속 절차'를 찾으십시요.
3. MAC 주소를 확인한다.
MAC 주소를 등록하기 위해서, 먼저 WiFi 장치의 MAC 주소 확인을 먼저 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MAC 주소는 기기마다 정해진 고유 번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마트폰을 동록할 경우
스마트폰의 경우는 환경설정이나 단말설정 메뉴를 통해서 장치 설명하는 곳에 가시면 MAC 주소를 확인 하 실 수 있습니다.
워낙 스마트폰의 종류가 많아서 정리를 하기가 힘들어서, 이 부분은 설명을 여기까지만 드리겠습니다.
홈페이지 중간 쯤에, [스마트폰 MAC 주소 확인방법]을 클릭하시면, 삼성 옴니아2와 HTC의 MAC 주소 확인 법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노트북을 등록할 경우
노트북의 경우는 [노트북 MAC주소 확인 방법]을 읽어 보시면 쉽게 이해를 하실 수 있을 겁니다.
명령어 창에 cmd를 실행하고, DOS 실행창이 나오면, 'ipconfig /all'을 실행합니다.
대부분 네트워크 카드가 여러개 인 경우가 많아서, 잘 확인을 하셔야 하는데요, 무선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뎁터를 확인하신 후에 Physical Address 혹은 물리적 주소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주로 형식이 'XX-XX-XX-XX-XX-XX' 이므로 확인이 쉬울 겁니다.
또는, 화면 아래 메뉴바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열기'에 가셔서 확인을 하셔도 됩니다.
4. MAC 주소를 등록한다.
[MAC 등록 바로 가기]를 클릭하시면, 다음 페이지에서 현재 사용중인 이동전화의 MAC 주소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 등록된 MAC 주소가 있습니다. 이 부분에 등록을 원하는 MAC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기가 귀찮아서 그렇지, 한 번 설정을 해두시면 'T 와이파이 존'에서 언제든지 사용하 실 수가 있습니다.
시간이 날 때에, 자주 쓰시는 장비를 등록을 해주시면 좋을 듯합니다.
(아직도 다나와 편집기가 편하지가 않네요. 화면도 엉망이고. ^^,)
스마틴 http://blog.naver.com/gilsang_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