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D5 2GB Twin CooL 660Ti는 여전히 비싸고, 650은 실망스럽다. 이렇게 차일피일 미루다간 연말 대작 게임 다 놓칠지 모른다. 가을 스팀 세일때 질러 둔 게임은 또 어떻고.
그런 우유부단한 사람에게 이 제품을 추천한다. 쌍둥이 쿨러를 품은 귀여운크기에, 성능은 우람찬 이엠텍 제논 지포스 GTX 660 XENON 시리즈는 이엠텍이 유통하는 NVIDIA 그래픽카드 브랜드 중 하나다. 오렌지색 박스포장이 상쾌한 느낌을 발산한다. 정면과 옆면에 제품 자랑인 트윈쿨러 표시가, 뒷면에는 24시간이내 응답하라 게시판 Q&A 문제해결 서비스와 3년 무상 보증 알림이 있다. 포장을 벗기면 흰색 충격완화 박스가 나온다. 내부에는 뽁뽁이 비닐이 VGA를 단단히 잡고 있으며, VGA를 들어내면 안쪽에 설명서와 드라이버 시디가 들어있다. 요즘 파워는 PCI-E 케이블을 4개씩 달고 나오기도 한다. 때문에 보조 전원 케이블을 빼고 판매하는 그래픽카드가 증가하는 추세다. 이엠텍 제품은 여전히 일부 사용자를 위해 4핀에 연결하는 보조 전원 케이블을 제공한다.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포장 및 내용물 제논 지포스 GTX660 MAXX D5 2GB TWINCOOL보조전원 어뎁터 드라이버 시디변환젠더MAXX D5 2GB TwinCool사용자 설치 설명서DP포트, HDMI, DVI 포트 2개를 장착하고, NVIDIA 서라운드를 지원한다. 그래픽카드 하나로 총 3대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 모니터를 여러대 동시 사용하려면 비디오램도 많아야 한다. 넉넉하게 2GB 그래픽 전용 GDDR5 메모리를 장착했다. 트윈쿨러 쿨러가 불어낸 뜨거운 바람을 방열핀 틈새로 유도하고, 유도된 바람은 뒷면 통풍구를 통해 나간다. 2개의 75mm 쿨러가 기판 전체를 고르게 식혀준다. 특히 제논 지포스 GTX660 트윈쿨러 제품은 앞면 전원부 쿨링을 위해, 기판 앞쪽에 작은 판을 덧대어 쿨러를 전원부쪽으로 살짝 땡겨 설치했다.쿨러와 방열판은 독립되어 있다. 분해시에는 먼저 트윈쿨러를 들어내야 한다. 방열핀은 2개의 구리 히트파이프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픽코어와 맞닿은 바닥면 전체가 통구리로 만들어져 발열 해소에 큰 역할을 한다.뜨거운 바람 전원부 방열판을 장착해 안정성을확보했다. GK106 그래픽 코어다. 최첨단 28nm 케플러 공정으로 제조 이렇게 생겼다. 방열핀 HDMI 80mm 쿨러DP 포트 삼성 고속 GDDR5 그래픽전용 메모리사용으로 높은 대역폭 제공 6핀 단자 하나만 사용해 파워 호환성이 좋다. 글 & 사진 : (http://egun290.blog.me) 기판 확장 부분, 휨방지 역할도 약간 기대할 수 있다. DVI-I 80mm 쿨러 구리재질 DVI-D모양새 및 쿨링 시스템
박스를 열고 이엠텍 제논 지포스 660 트윈쿨러를 꺼내어 실물을 보는 순간 살짝 눈알이 커졌다.의외로 작은 크기, 요즘 유행어로 '귀요미' 스럽다. 찬찬히 외형부터 속살까지 살펴봤다. 모양새크기가 작지만 들어보면 의외로 묵직하다. 구리로 만든 히트파이프를 2개 달아서 그렇다. 쿨러와 방열판은 각각 따로 고정되어 있다. 기판 길이가 190mm로 아담해서 휨방지 가이드가 없어도 아쉽지 않다.기판 위엔 오밀조밀 부착한 칩셋 외에도, 가장 발열이 많은 전원부 안정성을 위해 은색 방열판을추가로 장착했다. 그밖에도 삼성 GDD5 그래픽전용 메모리와 100% 솔리드 캐패시터, 그리고 GPU 주위에 코어 깨짐을 방지하는 GPU 프로텍터를 사용했다. 딱봐도 고급스런 느낌이다.기판 위엔 오밀조밀 부착한 칩셋 외에, 가장 발열이 많은 전원부 안정성을 위해 은색 방열판을 추가장착했다. 그밖에도 삼성 GDD5 그래픽전용 메모리와 100% 솔리드 캐패시터, 그리고 GPU 주위코어 깨짐을 방지하는 GPU 프로텍터를 사용했다. 딱봐도 고급스런 느낌이다.
"귀여운 녀석" 190mm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GPU 활용과 윈도8 GPU 파워를 끌어다 쓰는 프로그램 종류가 NVIDIA 쪽이 많다. 빠르고 폭넓은 지원이 이루어진 만큼 안정성이나 자잘한 버그면에서 확실히 N당이다. 그 어느때보다 GPU 파워를 많이 활용하는 새로운 운영체제 윈도8에서도 NVIDIA에 빠른 대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GPGPU 내장그래픽에 GPU 가속 퍼포먼스는 어딘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660 트윈쿨러 외장그래픽카드를 컴퓨터에 설치하자, 추가적인 OpenCL 모드를 활용할 수 있었다. 또한 2GB에 넉넉한 그래픽 램으로 장시간 사용시 성능저하나 깜빡임 등 퍼포먼스 측면에서 유리했다. 결과적으로 GPU 고급 기술을 사용해 포토샵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그리기 성능을 암부표현 많은 사용자가 NVIDIA 카드의 암부표현력이 좋지 않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사용해본 NVIDIA 그래픽카드가 지포스250 이었다. 나 역시 그때 불만이 게임에서 암부표현력이 좋지 않다는 것이었다. 특히 당시 즐겨하던 Left 4 Dead 라는 게임은 아주 어두운 상황에서 게임을 진행하기 때문에 더했다. 아래 이미지 중에 가운데 이미지에 X 표시가 안 보이고 왼쪽처럼 검게만 보인다면 이해가 될까. 설정을 이리저리 조절해봐도 밝기만 올라가고 잘 안되니 참 답답했다.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트윈쿨러 외장그래픽카드를 설치 한 후 감마설정을 조절해보니, 예전보다 암부표현력을 많이개선한 걸 느낄 수 있었다. 윈도8 구동 최신 310.64 베타 드라이버 나온 김에,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660 트윈쿨러를 윈도8에서 사용해봤다. 윈도8은 WDDM 1.2를 적용해 한층 부드럽고 빠릿빠릿한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보여준다. 내장그래픽도 충분히 멋진 화면을 볼 수 있지만, 역시 외장그래픽카드에 강력한 GPU 파워 에는 못미친달까. 반응속도에서 느낌이 좋다. 드라이버도 문제 없이 완벽히 작동했다.윈도8에서 게임 앱을 살펴보면, 좋은 점은 Xbox Live와 연동되어 친구 소식을 바로바로 받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Game For Windows 와 연동되어 게임 도전 과제 역시 빠르게 억세스할 수 있고 친구와의 플레이 역시 간단히 진행된다. 게임 호환성도 의외로 좋다. 물론 안되는 게임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작동하는 윈도8을 경험하면 절대 윈도7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정상적인 모니터와 그래픽카드라면 가운데 이미지에서 X 표시가 보여야 합니다.포토샵을 가속한다.적당한 밝기란부드럽게 작동하는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벤치마크 및 게임■ 인텔 샌디브릿지 i3-3220 @ 3.3Ghz■ ASRock H77 Pro4 MVP
■ 삼성 DDR3 8G 메모리■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D5 2GB Twin Cool■ HIS HD 7850 IceQ-X D5 2GB 잘만테크
■ HEC Win+ 400 80PLUS Bronze■ 사운드 블라스터 티타늄 제이웍스■ 3R System K100-V3 케이스"퍼포먼스" 테스트에서 이엠텍 제논 제품이 6850보다 66% 이상, 7850보다 22% 이상 빠르다. GPU에 부하가 많이 걸리는 "익스트림" 테스트에선 차이가 더욱 벌어진다. 이엠텍 제논 제품이AMD 6850보다 97% 이상 빠르다. 2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AMD 7850보단 34% 이상 빠르다 6850과 비교해 평균 FPS 에서 114% 이상 빠르다. 7850에 비해서는 평균 26% ~ 최고 34% 이상 이엠텍 제품이 빠른 성능을 내준다.게임 테스트지포스 660과 라데온 7850은 많은 사람이 고민하는 비교제품이다. FuLL HD 1080P 해상도 기준으로, 배트맨 아캄시티처럼 NVIDIA 마크가 뜨는 게임에선 평균 20%~ 최고 33% 이상 빠르다. 그외 디아블로3 10 ~ 20%, 에일리언VS프레데터 27%로, 다이렉트11 게임은 차이가 꽤 나는 편이다. 반면 다이렉트9 게임인 스트리트파이터4는 4% 정도로, 큰 차이 없었다. HIS HD 7850 IceQ-X 잘만테크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Cool
HIS HD 7850 IceQ-X 잘만테크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Cool HIS HD 7850 IceQ-X 잘만테크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Cool HIS HD 7850 IceQ-X 잘만테크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Cool
HIS HD 7850 IceQ-X 잘만테크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Cool 오버클럭 성능은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660 트윈쿨러 오버클럭 프로그램으로 EVGA 프리시전을 사용했다. 오버클럭이 바로 적용되는 아주 편리한 유틸리티다.우선 GPU-Z 로 확인한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660 트윈쿨러 기본 클럭이다. GPU 1006, MEM 1527, Boost 1072
준비를 마치고 우선 GPU +100, MEM +225 를 더해 1100/1640 클럭으로 오버했다. 하지만 3D MARK 11에서 테스트 시작과 동시에 프리징. 다시 코어클럭을 계속 내려가면서 최종적으로 1050/1664 에서 테스트를 통과했다. GPU 코어 오버클럭 폭이 작은 대신 메모리 오버 폭이 높았다. 1050/1664까지 안정적이었다. EVGA 프리시전에서 무려 +275 를 증가시킨 수치다. +300도 무리 없는 수준이다. 아무래도 192bit에 부족한 메모리 대역폭을 메모리 오버로 만회하라는 의미가 있는 듯하다. 마지막으로 오버클럭 후 실제 사용시 무리가 없는지 최신 게임 슬리핑 독스와 히트맨 앱솔루션을, 기본클럭과 오버클럭 상태에서 비교해봤다. 슬리핑독스는 약 5%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Cool '오버클럭'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Cool '기본값'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Cool '오버클럭'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Cool '기본값' 히트맨 앱솔루션은 최신작답게 고사양이지만, 안티만 뺀 풀옵션에서 괜찮은 성능을 보여준다. 오버클럭 성능향상은 적다. 평균프레임은 차이없고 최고프레임만 7% 향상이 있었다. 메모리 오버폭이 크기 때문에 2560이상 고해상도 플레이시 발생하는 성능저하를 만회할 수 있을 것이다.벤치마크 대표적 3D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3D MARK 11"과 "UNIGINE Heaven"으로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660 트윈쿨러 제품의 기본적인 3D 성능을 점검해봤다. 3D MARK 11은 시스템에 전체적인 3D 성능을 측정하는 그래픽카드 테스트 프로그램이다. Heaven은 다이렉트X 11 전용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최근 게임에 많이 쓰이는 "테셀레이션 성능"을 알아보는데 쓰인다.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 Cool HIS HD 7850 IceQ-X 잘만테크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그래픽카드 성능이 좋으면 반드시 따라오는 문제가 발열이다. 그래서 요즘 트윈쿨러는 기본이다. 이번 측정편에선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D5 2GB Twin Cool 제품에 작동온도와 온도하락 속도를 측정해 트윈쿨러 성능을
알아봤다. 소비전력과 소음측정도 겸했다.온도측정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660 트윈쿨러 제품은 아이들시 33도, 오버클럭시에 최고 75를 기록했다. 쿨러가 작지만 억제능력이 좋다. 게임, 벤치마크 상황에 따른 온도편차가 크지 않고 고르다.이번에는 온도 하락 속도다. 최고 온도 71도에서 59도까지 하락하는데 10초, 59도 → 49도 까지 55초가 걸렸다. 전체시간은 71도 → 49도 1분 5초. 힛파이프4개와 트윈쿨러를 장착한 XFX 7850 제품도 1분 3초가 걸리는 걸 보면, 힛파이프 2개에 더 작은 쿨러를 장착한 이엠텍 제논 제품에 쿨링 성능은 좋은 편이다. 소비전력 좋은 AMD 7850 (46w) 를 아주 근소하게 제쳤다. 일반(IDLE) 소비전력이 겨우 43w 에 불과했다. 내장 HD2500 그래픽 사용시 41w 정도니까.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 MAXX Twin Cool 소비전력이 얼마나 적은지 알 수 있다. 소음측정조용한 방안 소음도가 24.2dB 이었다. 컴퓨터 전원을 넣고 그래픽카드가 아무일도 않고 놀고 있는 일반(IDLE) 상태에선 24.9dB 이었다. 게임 실행시에도 43.5dB 로 정숙했다. 쌍둘이 쿨러를 장착하고도 저소음 시스템에서 만족할 정도로 정숙하다.이엠텍 제논 지포스 660에 정숙함은 역시 슬리브 베어링을 사용한 쿨러에 있다. DC 12V 0.35A 스펙. 볼베어링 쿨러가 수명이 긴 장점은 있지만 그 특유의 구슬 갈리는 소음은 정말 참기 힘들다.온도, 소비전력, 소음절전모드소비전력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660MAXX D5 2GB Twin CooL 660Ti는 여전히 비싸고, 650은 실망스럽다. 이렇게 차일피일 미루다간 연말 대작 게임 다 놓칠지 모른다. 가을 스팀 세일때 질러 둔 게임은 또 어떻고. 그런 우유부단한 사람에게 이 제품을 추천한다. 쌍둥이 쿨러를 품은 귀여운크기에, 성능은 우람찬 이엠텍 제논 지포스 GTX 660쥐 죽은 듯 조용한 쌍둥이 쿨러소음도에서 정말 정숙했다. 쿨러 크기가 작을 수록 같은 RPM에서 소음이 커지기 마련인데, 게임 진행시에도 쥐 죽은 듯 조용하고 온도도 나름 잘 잡아준다. 더구나 쿨러가 2개임에도 소음레벨을 정숙하게 유지하는 걸 보면, 온도와 소음도 양쪽에서 어느 한쪽도 희생하지 않고 튜닝을 잘한 균형있는 그래픽카드다.성능면에서 6850과 비교해 1.5배 ~ 2배 넘게 빠르게 작동했다. NVIDIA 마크 들어간 게임에선 7850 보다 20~ 33% 이상 빠르다. 무엇보다 드라이버 지원에서 역시 NVIDIA 다웠다. 연말 대작 게임에 성능향상과 호환성 문제를 해결한 드라이버가 발빠르게 나오는 건 정말 본 받을만 하다. 이번엔 어떤 게임이 성능향상이 있을런지 엔비디아 사용자에 입장에서 두근거림을 몸소 느꼈다.소비전력은 아이들시 43w 로 지포스는 소비전력이 높다는 내 편견을 깨뜨려 주었다. 오랜만에 지포스 계열을 사용해서 그런지 인상적이었다. 이엠텍 제논 지포스 GTX 660은 가격대비 높은 성능과 누진세 걱정하는 사용자에게 추천하고픈 그래픽카드다.
글·사진 : 거기가 한뼘 [ http://egun290.blog.m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