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Marvell의 88SS9187 컨트롤러가 탑재된 Plextor의 M5 Pro 256GB 제품에 대한 리뷰가 진행되었었다. 256GB 모델은 현재 출시되는 2.5인치형 SSD 라인업 중에서는 속도가 가장 빠른 제품으로 채널 구성이 512GB 모델과 동일하다. 256GB 또는 512GB의 SSD를 사용하면 용량과 속도 두 가지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구성이 될 수는 있겠지만 문제는 가격이 될 것이다. 그렇게 타협을 하게 되면 10만원 초반대의 128GB 모델을 선택하게 된다.
하지만 128GB 제품은 256GB 제품에 비해서 일부 성능이 떨어진다. 그리고 128GB를 사용하다 보면 나중에 용량이 부족해서 다시 256GB 제품으로 바꿔야 할 것 같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용량이 부족하고 성능이 떨어질 것 같다면 RAID를 사용하면 된다. 동일 제품 2개를 이용해서 RAID 0 (stripe)로 설정을 하면 속도도 올라가게 되므로 256GB 단일 모델과 차이가 없다. SSD를 RAID로 묶으면 TRIM이 지원되지 않는 문제도 윈도우 8부터 지원을 하게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SSD의 RAID 패널티도 걱정을 하지 않게 되었다.
그래서 오늘은 Plextor의 신제품인 M5 Pro 시리즈 중 128GB 모델을 싱글 드라이브와 RAID 0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테스트를 하고자 한다.
M5 Pro 128GB | M5 Pro 256GB | |
컨트롤러 | Marvell 88SS9187 | |
용량 | 128GB | 256GB |
인터페이스 | S-ATA 3.0 (rev 3.1) | |
최고 읽기속도 (seq) | 540MB/s | 540MB/s |
최고 쓰기속도 (seq) | 340MB/s | 450MB/s |
랜덤 4K 속도 | 91,000 IOPS (읽기), 82,000 IOPS (쓰기) |
94,000 IOPS (읽기), 84,000 IOPS (쓰기) |
메모리 타입 | 도시바 MLC 토글형 |
|
버퍼메모리 | DDR3-1333 256MB | DDR3-1333 512MB |
두께 | 7mm |
내부 모습을 보면 16개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PCB 앞뒤로 각각 8개씩 붙어 있으며 컨트롤러는 뒷부분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버퍼로 사용되는 DDR3 메모리는 256MB도 보인다.
컨트롤러는 Marvell의 88SS9187이 사용되었다. Marvell의 3세대 컨트롤러로써 2세대부터 지원하던 S-ATA3를 그대로 지원하고 있으며 TRIM 기능이 개선된 버전이다.
또한 연속 읽기/쓰기와 4K 읽기/쓰기 속도가 큰 폭으로 향상이 되었다.
컨트롤러는 동일한 Marvell 88SS9187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지만 저장 공간이 절반으로 줄어든 만큼 낸드 플래시 메모리도 도시바의 19nm 공정으로 만들어진 토글형 MLC 64Gb 16개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외형상 또 다른 차이점은 버퍼 메모리의 용량이 256MB라는 점이다. 사실상 256MB의 버퍼 메모리도 충분한 공간이다. 사용된 메모리가 DDR3-1333이기 때문에 속도도 매우 빠르다.
<128GB 모델에는 난야에서 제조한 DDR3-1333 256MB 컴포넌트가 1개 사용된다. 참고로 256GB 모델에서는 아래쪽에 비어있는 공간에 같은 사양의 메모리 1개가 더 들어가서 512MB가 된다>
성능테스트
성능테스트는 윈도우7 기반에서 진행되었다. 윈도우8 버전부터 인텔 RST(Rapid Storage Technology) 11.6 버전을 설치하면 레이드 구성을 하여도 TRIM을 사용할 수 있지만 테스트 당시에는 윈도우8이 정식 출시가 되지 않았고 TRIM 테스트를 정확하게 진행하기도 어려웠기 때문이다.
테스트 환경
테스트 시스템 | |
CPU | 인텔 i5-3570 |
메인보드 | 애즈락 Z77 Extreme4 |
메모리 | 삼성 PC3-10600 4GB x 2ea |
그래픽카드 | 리드텍 지포스 GTX670 D5 2GB 제이엠씨글로벌 |
파워 | AcBel i-Power 85H 650 85Plus (정격 600W) |
운영체제 | 한글 윈도우7 64bit SP1 |
드라이버 | 인텔 INF Update utility 9.3.0.1019 인텔 빠른 스토리지 기술(RST) 11.6.0.1030 엔비디아 지포스 306.97 |
AS SSD BenchMark / CrystalDiskMark
저장장치의 읽기/쓰기 속도 테스트 프로그램인 AS SSD Benchmark와 CrystalDiskMark는 프로그램의 성격이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로 묶어서 결과값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일단 RAID 0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연속(seq.) 읽기/쓰기 성능만큼은 확실하게 싱글 드라이브 일 때보다 앞서고 있다. 정확하게 2배까지라고는 할 수 없지만 쓰기 속도는 2배 가까이 되고 읽기 성능도 190% 이상 빠른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4K 랜덤 읽기/쓰기 속도는 2개의 프로그램이 각각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AS SSD Benchmark 프로그램에서는 RAID 를 구성한 환경이 싱글 드라이브에서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지만, CrystalDiskMark에서는 그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두 테스트 결과만 놓고 보면 어떠한 것이 맞는 결과라고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어지는 테스트 결과와 종합해서 결론을 내려야 할 것 같다.
PCMark07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는 PCMark7는 CPU, 메모리, 그래픽카드, 저장장치 등 모든 항목을 측정하여 종합 점수와 각 부분별 점수를 보여준다.
종합 점수를 보면 RAID 0으로 구성된 시스템은 5519점, 싱글 드라이브에서는 5388점으로 대략 130 점 정도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부분 중에서 저장장치 부분만 놓고 보면 약 5% 정도의 점수가 올라갔다.
두 번째 표는 저장장치 테스트 결과를 항목별로 비교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RAID 0으로 구성된 시스템이 조금 더 빠르게 나타났지만 최고 10% 이상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항목에서는 동일한 점수도 보인다.
테스트 항목들을 보면 단순하게 파일을 복사하는 수준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액세스를 하는 작업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에는 연속 읽기/쓰기 성능이 아니라 랜덤 읽기/쓰기 성능에 영향을 받기 때문인데, 앞서 테스트를 한 CrystalDiskMark와 AS SSD Bench 결과 중 AS SSD Bench 결과에 맞춰서 나타난 듯 하다.
PassMark 8
PassMark 8도 PCMark 7처럼 시스템의 전체적인 부품들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프로그램이다. 테스트 결과는 시스템 전체 점수를 나타내는 PassMark, 디스크의 성능을 나타내는 DiskMark 그리고 DiskMark의 세부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PassMark 점수는 싱글 드라이브에 비해 RAID 구성 환경이 약 5% 정도 빠른 결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DiskMark 부분에서는 대략 190% 정도 빠른 점수를 보여준다. 이 결과는 PCMark7과는 전혀 다른 것인데, 그 이유는 DiskMark의 세부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래프 단위가 1000점 단위라서 세부 항목의 결과가 잘 보이지 않을 수 있겠지만 자세히 보면 연속 읽기/쓰기 점수는 거의 2배 가까이 차이가 나고, Random Seek와 읽기/쓰기 결과도 150% 넘게 차이가 났다. PCMark7에는 없는 연속 읽기/쓰기 항목이 있어서 디스크 성능 결과가 크게 나타난 것이다.
파일복사 테스트
<파일 1개, 9.15GB>
<파일 10,009개 10.8GB>
<단위 : 초>
실제 파일 복사 테스트를 해보았다. 테스트는 1개의 압축 파일과 압축되지 않은 여러 개의 파일 2가지 항목으로 나누었으며, 파일의 복사는 외부 드라이브에서 테스트 시스템으로 복사하지 않고 같은 폴더에 다시 복사를 하여 내부 전송속도를 측정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파일의 개수와 상관없이 RAID 0 구성이 훨씬 빠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파일의 개수가 1개인 항목은 연속 읽기/쓰기 속도에 영향을 받았고 파일의 개수가 많은 항목에서는 읽기/쓰기 속도 이외에 파일 seek 속도까지 영향을 받아서 차이가 크게 발생을 한 것이다.
3DMark11
3D 성능을 측정하는 3DMark11의 테스트 결과에서는 싱글 드라이브와 RAID 0 구성에서 성능차이가 거의 없다. 순수하게 3D 성능과 더불어 CPU의 성능만을 중요시 하고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구성에 따른 성능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게임에서의 테스트 결과는 조금 다르게 나타난다.
블레이드 앤 소울
엔씨소프트의 MMORPG인 블레이드 앤 소울 (이하 블소)의 테스트 결과이다. 먼저 블소 게임은 최대 프레임이 120fps까지 밖에 설정이 되지 않아서 테스트 결과도 120fps로 고정됨을 밝혀둔다.
테스트에 사용된 장면은 ‘홍문파의 멸문’ 씬에서 나오는 영상 2개로써 실시간 렌더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온라인 게임 환경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최소화 한 테스트 장면이다.
최소 프레임은 싱글 드라이브와 RAID 0 드라이브에서 조금씩 차이가 발생하는데 동영상 1번 항목의 최소 프레임 차이는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결과이며, 평균 프레임으로 비교를 해보면 3프레임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디스크 성능으로 나타나는 차이는 로딩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블소 테스트에서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디아블로3
디아블로3 테스트는 3막 코르시크 교각으로 이동한 후부터 120초간 fraps를 이용해서 프레임을 측정하였다. 마을에서 순간 이동을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맵 로딩 속도가 그대로 반영이 되었다.
테스트 결과를 보면 최소 프레임에서는 생각보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맵 데이터를 불러오는 작업이 그대로 프레임에 반영이 되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최소 프레임에서는 상당한 프레임 차이가 나타났다.
맵 로딩이 된 이후에는 CPU와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우선시 되므로 평균 프레임은 어느 정도 평준화 되지만 최소 프레임의 영향으로 평균 프레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이제는 SSD도 RAID 시대
Plextor와 Marvell의 3세대 컨트롤러가 만난 최고의 조합 M5 Pro 시리즈 중 주력 모델이 될 128GB에 대한 테스트를 끝마쳤다.
256GB에 비해 가격은 절반 수준이지만 성능 차이는 크게 나지 않는 수준이기 때문에 가격 대 성능비에서는 오히려 우수하지만 용량이 절반 밖에 되지 않아서 고민된다면 나중에 동일한 제품 한 개를 더 구입해서 RAID 0으로 사용하면 된다.
윈도우 8 출시 전에는 RAID를 구성하게 되면 TRIM을 지원하지 않아서 장시간 사용 후에는 수동으로 TRIM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줘야 했지만, 윈도우 8의 출시와 함께 인텔 플랫폼에서는 RAID 환경에서도 TRIM 기능을 지원하게 되어 성능 저하도 고민을 할 필요가 없어졌다.
그리고 RAID 0을 구성하다가 디스크 하나가 고장 나면 데이터가 전부 사라지게 되므로 RAID를 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SSD 자체가 내부에서 RAID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1개의 드라이브만 사용해도 데이터 복구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마찬가지이다.
성능 부분에서도 크지는 않지만 분명한 향상이 있음을 여러 가지 테스트를 통해서 볼 수 있었다. 256GB 모델과 직접 비교를 하지는 않았지만 연속 읽기/쓰기 속도에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으며 랜덤 읽기/쓰기에서는 적어도 더 낮은 성능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다.
A/S 부분도 인텔과 함께 무상 5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저장장치는 CPU, 메모리, 그래픽카드 중에서 A/S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그나마 SSD가 외부 충격에 강해서 불량률이 많이 줄어 들었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A/S 발생 건수가 0가 된 것은 아니다. 그런 상황에서 5년 무상 보증은 상당히 매력적인 부분이 아닐 수가 없다.
플렉스터의 아성이 M5 Pro 시리즈를 통해 부활되기를 바라며 이상으로 Plextor M5 Pro 128GB SSD에 대한 리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