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종일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을 통해서 업무를 하기도 하고, 테더링으로 업무의 기반을 마련하기도 하고, 또는 연락기능의 중추로 수많은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데요. 그런만큼 예전의 핸드폰에 비하면 기하급수적으로 기능이 늘어나도 또 기능이 늘어난만큼 사용시간도 늘어나고. 그러다보니 배터리용량이 늘어나도 사용시간은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지요. 그래서 기본적으로 300mAh이상의 고용량 배터리를 달고 나오거나, 혹은 퀄컴 퀵차지와 같이 충전을 빠르게 해주는 기술들을 통해서 이런 점들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간단하죠. 허용전압 내에서 흘려보낼 수 있는 전류의 양을 늘리고 그걸 처리할만한 회로를 달아라! 로 요약할 수 있겠는데요. 오늘은 컴퓨터나 노트북의 USB포트에 꽂아도 2000mA 급 충전기 수준의 전류를 보낼 수 있도록 전류의 양을 늘려주는 2배속 USB충전케이블, Faster2X USB 충전케이블을 소개합니다.

2배속 충전케이블 Faster2X의 패키징 외관입니다. 마치 갤럭시S4를 연상케 하는 벌집구조의 도트문양에 검은색 패키지에 적용되어 있네요. 심플한 케이블 단자와 함께 아랫쪽에 무심한듯 시크한 제품명과 케이블 특징이 한줄씩 적혀있습니다.

팬택 등에서 제공하는 고속충전기의 경우 기본적으로 퀄컴의 퀵차지 IC회로를 적용한 상태에서 고속충전을 위해 많은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고속충전어댑터와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인데요. 오늘 소개해드리는 2배속 충전케이블 Faster2X는 어댑터 없이 컴퓨터나 노트북의 USB포트에 꽂아도 자체적으로 2000mA 급의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후면에는 각종 스펙들과 함께 사용상 주의점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모드에 따라서 일반 컴퓨터나 노트북의USB 2.0 기준으로 단자 당 500mA 의 전류를 2000mA까지 끌어올리는 케이블이다보니 주의사항이 좀 있네요. USB허브보다는 PC나 노트북의 USB단자에 직접 연결하라는 문구가 대표적으로 주의하셔야 할 점입니다.

제품을 상자에서 꺼냈습니다. 하드디스크가 담겨있을 법한 절연봉투 속에 2배속 충전케이블이 들어있습니다. 아무래도 일종의 장치를 이용해서 전류의 양을 늘리는 케이블이다보니 이런 포장이 들어간 듯 하네요.

절연봉투에서 실제 2배속 충전케이블 Faster2X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얼핏보면 사실 일반적인 케이블과 별다를 바 없지만, 자세히 보시면 초점이 맞은 마이크로 5핀 단자쪽 측면에 스위치가 붙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상하 스위치가 바로 일반적인 PC-스마트폰간 데이터전송모드와 2배속 충전케이블로 변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변환스위치입니다.

얼핏보면 USB 단자와 마이크로 5핀 단자의 생김새까지 모두 다른 USB케이블들과 별다른 차이점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래서 제가 평소에 주로 사용하는 마이크로 5핀 USB케이블들을 꺼내서 비교해봤습니다.

마이크로5핀 릴케이블과의 비교.

제가 USB 테더링용으로 사용하는, 페라이트코어가 달린 USB케이블과의 비교.

마이크로 5핀 연결부만 따로 모아서 찍어보았습니다. 단자 자체는 다를것이 하나도 없지만 단자를 연결하고 감싸고 있는 연결부위는 2배속 충전케이블 Faster2X만이 1.5배에서 2배에 가까운 길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른 각도에서 찍어보면 길이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나지요.

한번 휙 까보고싶기는 한데 접합선을 어떻게 봉합해놓은건지를 잘 못찾겠어서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일반적으로 저처럼 카페 등등 외부에서 노트북 펴놓고 작업하는 경우가 많은 경우 노트북 어댑터를 콘센트에 꽂아두고, 테더링을 물려놓은 스마트폰을 또 하나의 전원콘센트를 점거하기에는 다른 카페 이용자분들께 민폐를 끼치는 경우가 있기에 노트북 USB포트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경우 연결을 해둬도 충전이 안되거나 오히려 배터리게이지가 서서히 떨어지기도 하더라구요. 이런 경우 이 2배속 충전케이블 Faster2X로 노트북과 연결하면 스마트폰 배터리가 떨어질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다음 사용기 포스팅을 통해서 스마트폰을 노트북에 일반케이블로 연결했을 때와 2배속 충전케이블 Faster2X을 통해서 연결했을 때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보여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