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다이(DIY) 설치작업을 하기전 검색해 보니 년식에 따라 락폴딩 릴레이가 1개가 필요한 년식의 차종이 있고 운전석과 조수석 각각 2개가 필요한 년식이 있는 듯합니다.(11년식 이전차가 2개가 맞나?) 다행히 내 알페온차는 12년식으로 1개 부착하는 년식이네요.

운전석 도어패널 탈거하기

③ 은 하단부위의 고정나사가 다른분들의 탈거 방법을 보니 +나사로 되어있다는데 내 차는 7mm 육각나사로 체결되어 있네요.
- 다음은 도어패널을 아래쪽에서 부터 가슴방향으로 아주 힘차게 당기면 두두둑하며 떨어집니다. 패널이 떨어진 상태에서 위쪽 화살표 방향으로 올리면 분리가 됩니다.
④ 분리한 후 도어 컨트롤박스 컨넥터 2개와 도어패널에 1개 총3개의 켄넥터를 분리합니다.

② 요것은 고정핀인데 분리할 때 그냥 버티고 있는 것입니다. 마무리 조립할 때 빼내어 각 위치의 도어패널에 다시 삽입한 후 조립하여야 단단하고 틉새 및 이음없이 고정됩니다. 참조바랍니다.



표와 같이 테이프를 제거후 각각의 선을 연결합니다, 연결후 선이 분리되어 쇼트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안도록 꼼꼼하게 한선한선 마무리하며 연결하였습니다.
가능하다면 체결 부위가 떨어지지 않도록 납땜 후 수축튜브를 이용하여 마무리하였습니다.


배선을 감싸고 있는 테이프를 풀고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을 넓힌 후 배선을 통과 시킵니다. 배선을 통과하는 시키는 과정사진을 날씨는 덥고 혼자서 작업 할려니 날은 덥고 땀은 삐질삐질나고 저질체력이라 사진을 많이 못찍었네요.

조립 순서는
1. 컨넥터를 젝에 끼운 후 살짝살짝 흔들면서 핸들키를 잠금다.
2. 주름관을 통해 빼낸 배선은 컨넥터 아래쪽에 작은 공간이 있는 데 그 틈과 일직선상 반대편운전석 안쪽에 손가락 크기의 작은 구멍으로 철사 같은 도구를 이용해서 선을 빼내면 됩니다.
3. 검은색 사각프라스틱링에 고무 주름관을 먼저 씌우고 끼웁니다. 끼워보면 왜? 그렇게 하는지 알게됩니다. 쉽기도 하고 누수방지를 위해이지요.
락폴딩 설치 작업을 하다보니 3가닥정도 선의 길이가 짧아 선을 연장하였으니 참조바랍니다.(작동 ON/OFF 스위치 연장선 포함)
작동 ON/OFF 스위치 용도는 락폴딩 작업은 겨울철 결빙대비 사이드미러 자동접힘 ON/OFF 기능을 추가하여 짧았던 것도 있으나 미리 준비하고 작업하는 것이 좋겠지요.(설명서에는 없는 작업임)


2. 시동을 끈 후 문을 잠근상태에서 문을 열면 바로 사이드 밀러가 펴집니다.
3. 시동을 켠 상태에서 사이드밀러 스위치로 사이드밀러를 접고펴고가 됩니다.
4. 시동을 끄고 문을 잠그면 5초 후 사이드 밀러가 자동으로 접힙니다. 약간 기다리는 시간이 지루해요. 알페온 차종의 프로그램이 그렇게 되어 있다네요.
6. 문을 잠근 상태에서 트렁크를 열면 사이드 밀러가 펴지고 5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접히고 바로 닫으면 사이드밀러도 함께 접힙니다.
7. OBD2 모듈을 설치 하셨다면 리모컨 키로 길게눌러 4개의 창문과 문을 열어둔 상태에서는 문을 닫기 전까지는 사이드 밀러가 접히지 않습니다. 그래야 정상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