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플렉스터 제품을 첨 접한 것은 CD-RW DVD-RW유행할때 보장된 퀄리티로
ODD 매니아층이 쌓여 갈때 부터 였습니다. 지금은 CD와 DVD기기가 유행이 바뀌었지만
수년전 플렉스터에서 SSD 제품도 생산한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고
2012년 12월에 플렉스터 M5P 128기가 (PLEXTOR PX-128M5P)를 첫 구매하여 사용해왔으며
수년간 문제 없이 사용해오다 용량에 부족함을 느껴서 업그레이드를 염두 하던 중
2016년초 신제품으로 나온 M6S Plus 모델에 관심을 갖고 재구매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정식 수입사 컴포인트에 문의한 결과 최신 제품은 정품 스티커가 없어도 문제 없다고 합니다.
M6S+ 는 박스 구성품은 매뉴얼과 SSD 본체 이외의 부속품은 없으나.
일반적인 컴퓨터 조립시 가이드나 케이블은 대부분 마련되어 있으므로.
2.5인치 SSD를 불편없이 장착 가능했습니다.
박스의 뒷면에는 공식 홈페이지에 적혀있는 구체적인 제품의 사양 정보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http://www.goplextor.com) 에서 참고 매뉴얼을 받아 볼수 있었으며.
향후 바이오스가 업데이트 되었을때 받아볼수 있도록 자료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M6S Plus 256G 모델의 공식적인 스펙은 읽기 520MB/s, 쓰기 420MB/s로 되어있습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 5.1.2 버젼으로 측정하였으며 공식스펙과 비교하여
읽기속도는 약간 낮게, 쓰기 속도는 더 빠르게 (큰 차이는 없음) 측정 되었습니다.
(첨부 사진과 같이 OS를 위한 파티션도 나눠보았지만 성능에 별차이가 없는 것 같았습니다.)
- M6S Plus 256G (파티션 분할상태)
PLEXTOR PX-256M6S+ 와 다른 일반 하드와 성능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대상은
W모사 5400rpm 4000기가 4테라 (2015년 구매 제품) 일반 하드이며
S모사의 7200rpm 200기가 0.2테라 (2006년 = 10년전 제품) 일반 하드를 비교 해보겠습니다.
- 플렉스터 M6S와 W모사의 "crystaldiskMark" 프로그램의 수치로 비교하여
대략적인 비교로 W모사와의 속도 차이 (결과는)
쓰기속도 4.7배
읽기 속도 4.4배
랜덤쓰기 343배
랜덤 읽기 178배
로 측정되었습니다.
-W모사 5400rpm 4000기가 4테라 (2015년 구매 제품)
- 플렉스터 M6S SSD 와 S모사의 HDD "Glary Utilities 5"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하여 대략적인 비교로
(결과는)
부팅속도는 6.3배
사용자 층은 M6S의 속도는 상위 15%와 (매우 빠름)
S사의 하드디스크 부팅속도는 상위 99% (매우 느림)
속도로 월등한 성능 차이를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Windows10 부팅결과 - PLEXTOR PX-256M6S+
Windows10 부팅결과 - S모사의 7200rpm 200기가 0.2테라 (2006년 = 10년전 제품)
참고로 S사의 = 10년전 HDD 제품의 CrystaldiskMark
노트북이나 구 컴퓨터도 저와 같이 SSD로 변경할시에
이렇게 큰 효과를 볼수 있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특히 나이많으신 어른들은 이해하기 여려워 하시는 경우가 많고
최근 저렴해진 SSD 임에도 작은 돈이라도 바꾸기도 귀찮아 하시는 경향이 많은데
돈보다 중요한 시간을 아낄수 있다는 점이 중요한 점이겠네요.
상기 측정 프로그램 들은 ( 동일한 OS, 동일 부품 장착 환경 에서 측정되었으며, 타 유저와의 절대적인 수치 비교는 기타 CPU나 메인보드 등의 성능에 따른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인상 깊었던 점은 특히 10년전 하드는 자갈돌 굴러가는 소리와 비교되는
SSD의 무소음의 편안한 환경이 었습니다.
OS설치 파티션을 나눠서도 사용을 해보았지만 큰 성능 차이를 느낄수 없었습니다.
안정적인 구 모델에 이어서 새로워진 신제품을 갈아탄후
특별한 불편없이 사용한 플렉스터 SSD 구매를 추천 드리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