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따로 히타치 또는 HGST 8TB 공구가 NAS 네이버카페에서 진행되서 구매할려고 했던 HDD를 간단하면서도 간략하게 소개해볼까 합니다.
HDD 하면 떠올르는 제품으로는 아마 SEAGATE, WD, TOSHIBA, 그리고 HGST 제품이 생각나실텐데요. 그중에서 요즘 HGST가 조금씩 우리나라에 마케팅을 하면서 새로운 신바람을 불고 있습니다.
혹시 MARSHAL 브랜드 HDD를 아시나요? ( 그냥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_= )
작년 이맘떄쯤 최고 용량이었던 8TB에서 10TB가 출시하기전 8TB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세계 최초 He (헬륨)을 사용한 스토리지가 HGST 에서 나왔는데요. DESKSTAR 과 ULTRASTAR 2가지 이중 현재 제가 소유하고 있는 데스크스타가 아닌 울트라스타를 리뷰해보았습니다.
HDD (PC용 및 NAS용) / 8TB / SATA3(6Gb/s) / 7,200RPM / 메모리 128MB / 8.9cm (3.5형) / 헬륨충전 / RV센서 / ISE / 5년 / MTBF: 2,500,000시간
패키지는 HDD답게 크게 다른점은 없음
다른 HDD 경우에는 색깔을 넣는다던가 하던데 HGST 는 왜이렇게 너무 빈약한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실겁니다. 저도 그랬으닌깐요. HGST 경우에는 옛날 우리가 흔히 썼던 삼성HDD 와 비슷한 레이블로 되어 있습니다.
총 7개의 플레터와 7개의 스텍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도대체 헬륨은 왜 넣었데?
일반적으로 HDD에는 플래터라는 디스크가 있습니다. 이 플래터에 공간을 촘촘하게 만들어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게 해두었는데요.
HGST 경우 내부에 공기보다 낮은 밀도의 헬륨을 채워넣어 완전 밀폐, 전체적인 저장 용량을 33% 끓어올려 8TB 용량까지 올리는 동시에, 내부 열발생과 더불어서 저전력 HDD로 탈바꿈한 녀석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헬륨을 이용해, 압축 방식으로 보다 더 많은 용량과 저전력, 열발생을 줄이기 위함이라고 할수 있죠.
보통 흔히 쓰는 HDD 모습과 HGST HDD 간단한 디자인 비교 모습.
HDD 전면에는 시리얼, 펌웨어, MLC, 메이드 인 태국 , RPM 속도, SATA, 전력소모량이 표기 되어 있습니다.
생각외로 가볍다!
보통 8TB HDD 하면 무게좀 나가겠네 생각하실텐데요. 저도 처음 만져본 헬륨 HDD 라서 내심 무거울줄 알았는데 의외로 8TB 답지 않게 가볍더라구요.
특히 손으로 살짝 흔들었을떄 내부 안이 먼가 꽉 찬 느낌이랄까?
SATA3(6Gb/s) / 7,200RPM / 메모리 128MB 를 지원하며 후면 모습입니다.
3.5 인치 측면 모습
플레터 증가에 따라 하드디스크 크기에는 다른 3.5 HDD와 별반 차이가 없으며, 완전 밀봉 된 헬륨HDD 입니다.
LET PLAY !!
저같은 경우 PC용에다 장착해봤는데요. 장착 방법은 어렵지 않게 SATA 케이블과 연결후 CMOS에서 확인 그 다음으로 내 컴퓨터 관리에 들어가 볼륨을 잡아주시면 됩니다.
실 용량은 7451 GB
저 같은 경우에는 SATA3(6Gb/s)을 지원하는 기가바이트 170X 메인보드에 장착하여 사용했습니다.
일단 장착하자마자 용량을 살짝 넣어 1% 정도 사용, 벤치마크 테스트를 해본 결과인데요.
읽기속도에서는 최소 198MB/s 에서 최대 206MB/s 가 측정, 쓰기에서는 192MB/s 에서 201MB/s 정도의 속도가 나왔습니다.
이번에는 ATTO 벤치마크를 해봤는데요. 크리스탈디스크 벤치마크처럼 읽기/쓰기에서 190~203Mb/s 평균 속도를 나타냈습니다.
HD TUNE으로 벤치마크 했을떄 결과 모습인데요. 최대 읽기 속도로는 212Mb/s 와 평균 속도가 163.4 Mb/s 나오네요.
SSD에서 HGST 로 영화나 데이터를 복사했을떄의 속도인데요. 여러 파일을 동시에 복사 또는 싱글 데이터와 같은 영화를 복사할 경우에도 위에 속도처럼 일정하게 유지가 되고 있는 모습을 볼수 있었습니다.
1TB 정도 채우고 난뒤에는?
이번에는 용량을 일부러 채워넣어 약 1TB 를 사용하고 있을때, 벤치마크를 해본 모습인데요.
8TB 중 1% 를 사용했을떄와는 달리 읽기 속도가 약간 오르고, 쓰기 속도가 약 10~15 Mb/s 내지 떨어지더군요.
그러나 !!!!
현 상태에서 다른 벤치마크 즉 ATTO , HD TUNE 와 같은 다른 다양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는 처음 테스트 했던 결과와 큰 차이점이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특히 현재 사용하고 있는 DESKSTAR 경우, 읽기/쓰기가 사용량에 따라서 약간씩 떨어지는 반면에 HGST 헬륨 요녀석은 꾸준히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더군요.
단 한가지 DESTSTAR 와 ULTRASTAR 차이는 한가지 있는데요. 바로 소음이 조금하게 있습니다. 즉 헬륨 HDD 내에 있는 데이터를 액세스 할때 틱틱 하는 소리가 들리더군요. 귀가 거슬리는 정도는 아닙니다 =_=
헬륨 기술을 적용시켜 낮은 밀도를 사용함으로써 용량 증가, 저전력, 열 발생을 현저히 줄인 요녀석은 누가 생각해냈는지 참 기발하면서도 어떻게 이런 조합을 생각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현재 다나와에서는 이 HGST 8TB Ultrastar He8 HDD를 PC용으로 분류 해놨는데, 글세 NAS 용도로 조합도 괜찮을 녀석일거라 생각됩니다. PC 용도로도 사용하기에도 좋을거 같구요. 저처럼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를 모으는 유저에게도 추천!
다만 한가지 이런 궁금증이 생긱더군요. 6TB 에서 8TB를 헬륨까지 넣어 용량 증설을 했다면 과연 10TB , 12TB 는 어떤 기술을 적용시킬지 갑자기 궁금해짐 +_+
요녀석을 약 2달간 NAS 네이버카페를 통해 대여 받아서 사용해봤는데요. 일단 데이터를 액세스 할떄 틱탁 하는 소리를 제외하고는 만족감이 꽤 있는 녀석인건 사실이었습니다. NAS 네이버카페에서 공구 진행할떄 2개를 살려고 마음 억을 정도였으닌깐요. ㅜㅜ
다만 운영자분과 연락이 자꾸 어긋나 버려서 구매를 못햇지만 말이죠.
HGST 8TB Ultrastar He8 HUH728080ALE600 구매하는데 있어 제 리뷰가 약간의 도움이 됬으면 하네요 ^^
PS 이 글을 쓰기 몇주전에 출시 예정인 4세대 헬륨 HDD 울트라스타 He 12TB 출시가 되었네요 =_=...살까 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