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젠 3세대 제품 출시가 되었습니다.
AMD는 2020년까지 소켓 호환을 약속했기에 기존 B300 & B400 번대 제품에서도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 라이젠 3세대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 가지 변경점이 생겼습니다.
바로 메인보드 바이오스 UI의 변화입니다.
더 좋은 쪽으로 변화한다면 상관없지만 오히려 과거의 사용하던 밋밋한 디자인의 UI로 변경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바이오스를 저장하는 룸 용량이 수많은 업데이트로 인해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입니다. 이에 궁여지책으로 화려했던 UI를 버리고 클래식한 디자인의 UI로 회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부터 사용하던 분들은 사용기간이 있으니 크게 게이치 않겠으나 새로 시스템을 구비하려는 분들은 아무래도 선뜻 구매하기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이런 구매자들의 니즈를 채워주고자 MSI에서 롬 바이오스 용량 문제를 해결한 MAX 버전 제품들을 출시하였습니다.
롬 용량의 증가 및 외형적으로 소소한 변화를 주어 메리트를 더했는데요, 이번에 살펴볼 제품은 라이젠 시스템 구성 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MSI B450M 박격포의 리비전 제품인 MSI B450M 박격포 맥스 입니다.
스펙상으로는 룸 용량이 증가된 것 외에는 기존 제품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외형적으로는 다른 점을 쉽게 찾을 수 있는데요, 바로 방열판의 색상 변화입니다.
기존의 회색에서 블랙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존 그레이 색상에서 벗어나 깔끔한 무광 블랙 방열판을 탑재한 모습입니다. 호불호가 갈리겠지만 개인적으로는 블랙 색상이 더 마음에 드네요, 흰 검 콘셉트의 PC를 구성하시는 분들에게 잘 어울리는 외형을 갖추고 있습니다.
전원부는 기존과 동일합니다. (7페이즈(4+2+1) 전원부)
real core 4phase
igpu 2phase
ram 1pahse
보급형으로 사용하기에 무난한 구성으로 라이젠 3600과 궁합이 가장 좋다 생각됩니다.
라이젠 7 & 9 시리즈 이상을 염두에 두신다면 X470 이상 메인보드를 선택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총 64GB 4개의 메모리 슬롯을 제공합니다. 메모리 호환성 및 오버클럭 성능은 굉장히 우수한데요,
라이젠 3세대 사용시 한계 클럭이라는 3800까지도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하였습니다.
MSI EZ Debug LED 기능
MSI 메인보드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시스템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생기는지 LED를 통해 알려줍니다. 컴퓨터를 힘들게 조립했는데 정상 작동을 안 하면 굉장히 난감하죠, 그럴 때 매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기능입니다.
블랙 색상이 적용된 칩셋 방열판, 그리고 USB 2.0 2개, USB 3.0 전면 포트 단자를 지원합니다.
B450 칩셋을 식혀주는 방열판의 모습입니다. 칩셋 방열판 또한 블랙으로 변경되어 고급스러움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12v RGB 단자와 시스템 팬 단자를 제공합니다. argb 제품들은 대부분 5v를 지원하는데 이점은 좀 아쉽습니다.
리얼텍 ALC892 코덱이 적용된 사운드, 독립된 PCB로 제작되어 노이즈 없는 좋은 소리를 들려줍니다.
2개의 M.2 슬롯 / PCI-E X 16 2개 / PCI-E X 1 2개를 제공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PCI-E X 16 슬롯에는 내구성이 강화된 스틸 아머 기술을 적용하였습니다.
무거운 그래픽카드를 장착하여도 문제없는 튼튼함을 보여줍니다.
후면 지원 단자의 모습입니다. 기존 세대 박격포가 인기가 많았던 이유 중 하나가 DP 포트의 지원이었는데요,
레이븐 릿지를 이용해 내장 그래픽을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분들에게 꽤나 메리트가 있던 부분입니다. 이번 제품도 변함없이 지원하는 모습입니다.
맨 좌측에 있는 작은 버튼이 보이시나요? 바이오스 초기화 버튼으로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아닙니다.
이 버튼의 기능은 "FLASH 바이오스" 기능인데요, CPU 및 메모리를 꼽지 않고도 최신 바이오스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전 세대 CPU가 없거나 다른 부품이 없을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FLASH 바이오스 사용방법]
출처 : MSI 공식 카페
https://youtu.be/OtvYuDBbof8?t=98
1.USB 메모리(FAT32), 파워 준비
2. MSI 웹사이트(http://msi.com )에서 자신의 제품에 해당하는 바이오스를 다운로드합니다.
3. USB 드라이브(FAT32)에 바이오스를 복사합니다.
4. 바이오스 파일명을 'MSI.ROM'으로 변경합니다.
5. 메인보드에 파워 서플라이가 연결된 채로, 매뉴얼에서 'FLASH 바이오스' 포트 위치를 확인 후 USB를 삽입합니다.
6. 'FLASH 바이오스' 버튼을 누르고 5초간 기다리시면, 빨간 불빛이 반짝이면서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7. 총 업데이트 약 5분 정도 소요되며, 빨간 불빛이 사라지면 모든 과정이 완료됩니다!
간단하게 MSI B450M 박격포 맥스의 외형과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기능적으로는 변화가 없으나 롬 바이오스의 용량 증가 및 방열판의 색상 변화를 통해 차별성을 주고 있습니다.
제품 자체는 이미 검증받았기에 MSI B450M 박격포 맥스 제품 또한 많은 분들에 사랑을 받을 거라 생각됩니다.
CPU 라이젠 3600 마티스
M/B MSI B450M 박격포 MAX
RAM 팀그룹 T-Force RGB PC-25600 8G x 2
Graphic MSI GTX 1660 밴투스
SSD 삼성 970 EVO PLUS 500GB
PSU 맥스엘리트 600w
CASE 마이크로닉스 마스터 T4000
MSI B450M 박격포 맥스 MSI CLICK BIOS 5 바이오스 화면입니다.
맥스 제품이 나온 이유이기도 하죠, 화려한 것뿐 아니라 좌우로 나누어진 직관적인 메뉴로 쉽고 빠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메뉴 자체는 기존과 거의 동일하기에 특별한 설명 없이 넘어가겠습니다.
대신 라이젠 3세대 3600을 이용한 국민 오버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3600이 아닌 상위 제품군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이젠 3세대는 오버 여유 폭이 크지 않아 CPU는 그대로 사용하시고 메모리만 오버클럭 하여 사용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다만 CPU 수율이 정말 좋지 않아 부스트 클럭이 너무 낮게 올라가는 분들에 한해서만 수동으로 오버클럭 하여 사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대부분의 PC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최소한의 설정으로 진행되는 오버클럭 방법이오니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OC Explore Mode
세세한 오버클럭 설정을 위해서 Expert로 변경
CPU Ratio
CPU 배수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보통 41~42 배수를 추천드리며 수율이 정말 좋을 경우 43배수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DRAM Frequency
국민 오버클럭 세팅이기 때문에 DDR4-3200으로 설정하였습니다.
UCLK DIV1 MODE
메모리 컨트롤러와 메모리의 동기화 옵션입니다. 1:1 비율이 가장 효율이 좋기에 UCLK==MEMCLK 설정해줍니다.
CPU Core Voltage
안정적인 오버클럭을 위해 Override Mode 설정 / 하단에 생기는 Override CPU Core Voltage 옵션을 통해 수동으로 CPU 전압을 입력해줍니다. 42배수 기준 1.35v를 넣어 주시고 문제가 생긴다면 배수를 낮추어 안정화를 권장합니다.
CPU NB/SoC Voltage
메모리 오버클럭의 영향을 미치는 NB/Soc 전압입니다.
이론상으론 1.1v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고 클럭 메모리 오버클럭을 진행할 때 추가 전압을 인가해주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1.05v 이하에서도 문제없이 구동됩니다.
DRAM Voltage
메모리 전압입니다. 클럭에 따라 다르지만 삼성 메모리 3200 클럭 기준 1.35v 면 충분합니다.
방열판이 없는 경우 1.4v 이하로 사용을 권장합니다.
Global C-state Control
국민 오버 시 사용하여도 무방하긴 하나 꺼주시는 게 안정화에 도움이 됩니다. Disabled 해줍니다.
AMD Cool'nQuiet
절전 옵션 기능으로 오버클럭 시에 Disabled 해줍니다.
Memory Try it!
메모리 오버클럭이 어려운 분들을 위한 기능입니다.
제조사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메모리 클럭과 타이밍을 저장해둔 옵션인데요,
직접 설정이 어려우신 분들은 해당 옵션을 통해 메모리 오버클럭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삼성 메모리 기준 3200 CL 16 설정이 가장 적합하였습니다. 선택 후 문제가 생긴다면 클럭을 변경하여 문제가 없는
설정을 찾아 주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MSI B450M 박격포 맥스 제품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기존 세대 대비 기능적인 부분은 변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나올 새로운 라이젠 프로세스 사용을 생각하신다면 룸 용량이 넉넉한 맥스 버전을 구매할 이유는 충분하다 생각됩니다.
또한 테스트 시 라이젠 3세대를 완벽하게 지원하였고 오버클럭 성능 또한 매우 준수하였습니다.
MSI의 바이오스 지원도 빠른 편이라 AMD 시스템 구성을 고려하시는 분들에게는 좋은 선택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만 리뷰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