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노트북만을 사용하다가 라이젠 3세대가 잘나왔다고 해서 라이젠 시스템으로 조립하기로 하고 가장 고민이된건 어떤 보드를 사용할지 였습니다. 시스템의 안정성과 가성비에 가장 영향을 주는게 어떠한 적당한 가격대의 보드를 선택하고 최대효율을 뽑냐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죠
한가지 보드만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심하고 최종으로 결정한 보드는 기가바이트 B450 어로스 엘리트 / MSI B450 게이밍프로 카본 / 아수스 B450m TUF였습니다.
CPU는 3600, 3700x, 3900x, 3600x입니다. 컴퓨터를 워낙 좋아해서 내가 정한 시스템에는 어떠한 조합이 좋을지 직접 써봐야 직성이 풀려 다 구입해서 사용해본거니 이상하게는 생각하지 말아주세요(컴퓨터가 유일한 취미입니다;;). 마침 아마존에서 x대카드 이벤트로 CPU들을 30% 할인 + 캐쉬백까지 더해져 엄청나게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대박!!)
자 이제 3가지 보드를 사용해본 소감을 간단하게 적어보겠습니다.
(주의 : 다른 사용자들의 환경에선 다를 수 있습니다. 절대적으로 보지는 마시길 바랍니다)
○ 기가바이트 B450 어엘
메모리 오버클럭이 약하다는 말이 많았는데 제가 사용한 시금치램으로 3600까지 가능했으나 올코어 오버를해서 사용하니 전원부 온도가 제일 높았습니다.
디자인은 b450보드 중에 가장 이쁜게 맘에 들었고 USB포트가 많아서 좋았습니다.
욕심 안내고 램오버 3600이하에서 PBO만 쓸거면 이놈이 가장 적당해 보이더군요
○ MSI B450 게이밍 프로 카본 AC
3900x를 끼워주고 윈도우 설치를 하려고하니 부팅이 제대로 안되더군요, 보드가 불량인갑다 하고 3700x를 끼워서 설치하니 그땐 또 제대로 되었습니다.
윈도우를 설치한 상태에서 3900x로 다시 갈아 끼워주니 그때야 겨우 부팅이 되었습니다.
전원부는 안정적이고 WIFI등 구성도 찰지지만 램 오버 정말 안먹혀서 또 당황하게 만들었습니다.
어엘에서 3600 먹은 시금치램이 3200 국민오버만 겨우 들어가더군요, 보드 디자인부터 구성부터
전원부 모두 맘에 안들었으나 램오버가 구려서 쓰기가 싫더군요 그리고 제 3900x와 윈도우설치
문제가 있다보니 정나미가 떨어져서 서비스센터에 최종 점검 후 장터에 팔았습니다.
램오버는 이게 한계였습니다. (그 이상은 부팅자체가 안됩니다)
○ 아수스 B450 터프
카본에서 문제되었던 3900x가 정상적으로 윈도우 설치가 가능하였으며 메모리 오버는 3800까지 가능하네요 대박이지 않나요? 또 올코어 오버는 4.4 이상이 가능하였습니다. 카본과 비슷한 전원부를 가지고 있지만 약간 뒤쳐저 아쉬웠지만 전원부 온도는 80도 이상이 넘지 않아 안정권이라고 판단 되었습니다. 12코어를 4.4코어 이상 오버에 100프로 이상 스트레스를 기준이니 문제 없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시네벤치 테스트한 결과 아마 국내 3900x에서 이것보다 점수 높은건 없을거라고 생각하는 8천점을 돌파해줬습니다. 대단하지 않나요?
사실 B450보드에서 오버클럭 성능이 제대로 안받쳐주면 AMD + x570 중상급 이상 보드 조합으로
가기에는 인텔 9700K + 팬텀 ITX 보다 가성비가 떨어진다고 생각되기에 x570 조합은 염두도 하지 않았는데 10만원 초반보드에 상급 CPU를 커버해주니 얼마나 뛰어난 가성비인지 놀랄정도입니다.
(참고로 9700K에 팬텀ITX 보드도 소유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오버, 전원부, 안정성 모두 만족하여 B450터프에 안착하기로 하고 현재는 나머지 보드는
전부 장터에 판매된 상태입니다만 그래도 각 제품에 장단점은 있었습니다.
어엘은 전원부가 약했지만 USB포트가 많고 디자인이 너무 예뻐 일반 사용자가 쓰기에 좋아보였고 카본은 오버는 약했지만 구성과 보드 디자인까지 예뻐 오버클럭 보다는 다양한 기능을 선호하는 분들에게는 좋아보였으며 터프는 안정성과 오버클럭 성능은 좋았으나 보드 디자인 자체는 가장 안 예뻐서 이걸 써야해? 하고 망설질정도로 못생겼습니다. 그래도 컴퓨터는 디자인 보다 안정성이 우선이 되어야하고 성능또한 받쳐주는게 1순위라 생각해서 터프에 안착하기로 했네요 어느 제품이던 절대 우위에 있는 제품이 있는건 아니니 선호도에 맞게 구입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현재는 고성능 기준보다는 약간 한단계 낮추어 아래와 같은 전압과 4.3 올코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라임으로 4시간동안 안정화를 거쳤지만 작업할 때 랜더링 걸어두면 몇시간 째에 작업이 오류가 생기는 일이 발생하여 최대값을 선호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