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에게 2019년 7월은 당분간 잊기 힘든 그런 순간이 될 것 같습니다. 코드명 마티스의 3세대 라이젠이 선보인 올해 7월, 전세계 컴퓨터 관련 미디어, 커뮤니티에서는 이전 세대와 비교하여 성능 향상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 AMD의 새로운 CPU에 대해 놀라운 평가를 쏟아내며 AMD가 다시 한 번 과거의 영화로운 순간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 예측했습니다.
그 결과 2019년 12월 현재 국내에서 AMD CPU의 시장 점유율은 무려 50퍼센트를 넘어섰고, AMD CPU의 전성시대는 다시 돌아왔습니다. 경쟁사의 i7 프로세서를 사용하던 저도 라이젠 3600 + AMD B450 메인보드 조합으로 갈아탔고요, 대단히 만족스럽게 사용하던 중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좋은 기회로 라이젠 3500을 사용해 보게 되었는데요. 차근차근 라이젠 3500의 이모저모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느날 예고도 없이 집으로 날아온 우체국 택배상자. 그 안에는 바로 아래의 '그 녀석'이 들어있었습니다.
다소 심플해보이는 제품 패키지. 겉에는 제품명을 비롯한 간단한 제품 설명이 적힌 스티커가 붙어있네요.
스티커를 칼로 샤삭 잘라서 개봉하면 위와 같이 라이젠 3500 프로세서가 자리잡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잘 안보이시죠?
바로 세계 최초 7nm 공정에서 생산된 프로세서인 라이젠 3500입니다!~ CPU와 레이스 스텔스 쿨러가 같이 들어있고요. CPU 밑에 CPU 쿨러가 얌전하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라이젠 3500의 CPU 쿨러인 레이스 스텔스는 TDP 65W의 프로세서가 뿜어내는 열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고요, 메인보드 소켓 지지대의 상단을 제거한 후 백 플레이트에 드라이버로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걸쇠 방식보다는 이렇게 스크류 잠금 방식이 더 믿음이 가더라고요!~
아참! 제가 라이젠 3500과 같이 사용할 메인보드는 가성비 좋기로 소문난 바이오스타의 레이싱 B450GT3에요. CPU 전원부 구성도 그렇고, PCI익스프레스 16배속 슬롯도 그렇고 굉장히 탄탄하고 믿음직스럽게 보여서 선택했어요.
CPU-Z로 살펴본 라이젠 3500의 간단한 스펙입니다. 6코어 6스레드, 기본 클럭은 3.6GHz, L3 캐시는 16MB로 상위 모델인 라이젠 3500X의 차이점이 L3 캐시 (라이젠 3500X는 32MB) 뿐이고 기본 클럭, 코어 수/스레드 수가 모두 같습니다. 라이젠 3500X가 없어서 직접적인 비교는 불가하겠지만, 성능 차이도 쫌 궁금하긴하네요.
메모리를 Auto로 놓고 사용
XMP 설정을 통해 간편하게 원래 메모리 클럭으로 사용
MANUAL 모드에서 메모리 클럭과 전압을 직접 조절하여 사용
우선 제일 먼저 언급하고 싶은 내용은 바로 라이젠 3세대에 이르러 대폭 향상된 메모리 성능과 호환성입니다. 솔직히 라이젠 2세대의 경우 고클럭 메모리를 제 클럭에 사용하기가 힘들었던 것이 사실이고, 라이젠 2700을 사용했었을 때 메모리 성능은 거의 포기하고 사용했을 정도였으니까요. 하지만 라이젠 3세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메모리 관련한 스트레스를 한방에 날려버릴 수 있었습니다.
보통은 메모리 클럭 관련 메뉴에서 Auto로 놓고 많이들 사용하실텐데요, 그럴 경우엔 메모리의 제 성능을, 고클럭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면 특히 더 활용하기가 힘듭니다. 이럴 때에는 메인보드 브랜드마다 각기 이름은 다르지만 바이오스타의 경우는 XMP 메뉴로 설정할 경우, 메모리 본래의 클럭으로 인식하여 잘 동작하게 됩니다. 자신이 컴퓨터에 조금 자신이 있으신 사용자의 경우에는 위처럼 MANUAL 메뉴로 설정 후, 직접 클럭과 전압 등을 조절하여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한 번 해보면 참 쉽습니다.
테스트 시스템 사양
CPU : 라이젠 3500(레이스 프리즘 쿨러), 메인보드 : 바이오스타 레이싱 B450GT3,
메모리 : 티포스 엑스칼리버 DDR4 3600 8GB*2, VGA : 이엠텍 지포스 RTX 2060 SUPER MIRACLE D6 8GB
파워 :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II 브론즈 650W
◎ CPU-Z 벤치마크
CPU 정보를 확인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인 CPU-Z에서 기본제공하는 벤치마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버전 17.01.64에서는 싱글 스레드 488.2를, 멀티 스레드 2865.7을 기록하였습니다. 버전 19.01.64(beta)에서는 싱글 스레드 163.7을, 멀티 스레드 902.8을 기록하였고, 버전 19.01.64 AVX2(beta)에서는 싱글 스레드 497, 멀티 스레드 2743을 기록하였습니다.
◎ PCMARK 10 시리즈
PC마크 10은 현대의 사무용 PC시스템 성능 측정 관련 가장 완벽한 벤치마크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범위의 성능을 필요로 하는 근로자에게 적합한 PC를 평가하는 회사 조직에게 이상적인 테스트인 PC마크 10은 엣센셜 테스트(필수 테스트) 그룹, 프로덕티비티 테스트(생산성 테스트) 그룹, 디지털 컨텐츠 크리에이션 테스트(디지털 컨텐츠 제작 테스트) 그룹 총 3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카테고리 별로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PC마크 10은 PC마크 10, PC마크 10 익스텐디드, PC마크 10 익스프레스 3가지 버전으로 구성됩니다.
PC마크 10 익스프레스는 기본적인 업무 수행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함축적인 벤치마크로 디지털 컨텐츠 제작 테스트가 제외되어 평가시간이 PC마크 10보다 약간 짧으며, PC마크 10 익스텐디드는 PC마크 10의 테스트 항목에 게이밍 테스트 그룹이 추가되어 평가시간이 PC마크 10보다 약간 깁니다.
라이젠 3500 시스템의 경우 PC마크 10 총점은 5910으로 필수 테스트 8886, 생산성 테스트 7513, 디지털 컨텐츠 제작 테스트는 8392를 기록하였습니다. 참고로 측정 시 CPU 최고 클럭은 4091.71MHz를 기록하였고요.
PC마크 10 익스텐디드에서는 총점 7554에 필수 테스트 8998, 생산성 테스트 8316, 디지털 컨텐츠 제작 테스트 8192, 게이밍 테스트 14354를 기록하였습니다. PC마크 10보다 필수 테스트와 생산성 테스트는 소폭 상승했고, 디지털 컨텐츠 제작 테스트는 소폭 하락했네요.
PC마크 10 익스프레스에서는 총점 5166, 필수 테스트 8926, 생산성 테스트 8169를 기록했습니다.
◎ CINEBENCH R15, R20
CPU의 성능을 측정하는 벤치마크 소프트웨어의 대명사인 CINEBENCH에서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를 지원하며, CPU가 갖고 있는 성능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습니다. CINEBENCH R15와 R20을 통해 라이젠 3500의 CPU 성능을 살펴보았습니다.
CINEBENCH R15에서 싱글 코어는 185cb, 멀티 코어는 1033cb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경쟁사의 4코어/8스레드인 i7 4770K를 싱글/멀티 코어에서 모두 앞서는 기록입니다.
CINEBENCH R20에서는 싱글 코어 464 pts, 멀티 코어 2593pts를 기록하며 싱글 코어에서는 경쟁사의 i7 7700K보다 약간 낮은 점수를, 멀티 코어에서는 약간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습니다. 비록 2세대 전이기는 하지만 경쟁사의 하이엔드 프로세서와 경쟁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점이라 생각되며 새로운 CINEBENCH 소프트웨어가 출시된다면 경쟁사와의 격차 역시 줄어들 수 있겠다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 7ZIP 벤치마크
압축 소프트웨어인 7ZIP에 기본 제공되는 벤치마크에서는 전체 평가 36650 MIPS, 압축 중 33781 MIPS, 압축 푸는 중 39520 MIPS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3DMARK 벤치마크
그래픽카드 성능 평가 소프트웨어로 가장 잘 알려진 3DMARK 타임 스파이와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을 통해서도 CPU의 성능을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타임 스파이의 경우 총점 7613에 그래픽 스코어가 8461, CPU 스코어가 4856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의 경우 총점 3669에 그래픽 스코어가 3979, CPU 스코어가 2548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 벤치마크를 실행시킬 경우에는 다소 버겁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프레임 드랍 현상이 심했지만, 타임 스파이 벤치마크는 무난하게 잘 실행되었습니다.
파이어 스트라이크의 경우에는 총점 17403, 그래픽 스코어 21568, 피직스 스코어 12581, 종합 스코어 9292를, 파이어 스트라이크 익스트림의 경우에는 총점 9542, 그래픽 스코어 10335, 피직스 스코어 12379, 종합 스코어 4973을 기록하였습니다.
아참! 그리고 라이젠 프로세서가 가진 성능의 극대화를 도와주는 소프트웨어를 AMD 사이트에서 다운받아 사용하실 수 있는데요, 그 이름하여 라이젠 마스터! (링크 : https://www.amd.com/ko/technologies/ryzen-master)
크리에이터 모드, 게임 모드 그리고 자신만의 프로파일을 2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라이젠 마스터는 프로세서 제조사인 AMD에서 직접 배포하는만큼 안정성 면이나 편의성 면에서 꽤 괜찮은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배틀그라운드와 오버워치를 통해서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CPU가 얼마나 잘 뽑아내는지를 확인하였는데요, 결과적으로 생각보다 굉장히 뛰어난 결과치로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 배틀그라운드
프랩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1920*1080 FHD 해상도에서 높음(안티 앨리어싱, 텍스처, 시야 거리는 울트라)으로 진행한 결과 최소 115 프레임에서 최대 190 프레임까지 평균 150 프레임 가까이 기록했으며, 2560*1440 WQHD 해상도 울트라 옵션에서는 최소 76 프레임, 최대 104 프레임, 평균 90 프레임 가까이 기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오버워치
1920*1080 FHD 해상도 매우 높음 옵션에서 최소 109 프레임, 최대 155 프레임, 평균 130-140 프레임을 기록하였으며, 최상 옵션에서는 최소 86 프레임, 최대 127 프레임, 평균 110대의 프레임을 기록하여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하였습니다.
◎ 결론
현재 가격비교사이트 현금 최저가 14만 중반대에 판매되고 있는 라이젠 3500은 그 가격 대가 무색할만큼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경쟁사의 i5 9400F와 비교하여 가격적인 부분(16만원 초반)이나 메모리 성능(경쟁사의 B365, B360의 경우 메모리 최대지원 클럭이 2666MHz) 등 우월한 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라이젠 3500이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시간이 지날수록 라이젠 3500이 갖고 있는 차별성은 더욱 빛을 발할 듯 생각됩니다.
내년에 선보일 예정이라는 4세대 라이젠은 과연 어떤 성능을 보여줄 지 기대하며 긴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