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외로 조용한 가성비 노트북
------------------------------------------
그러나 최악의 드라이버 설치
이 노트북은 외장 그래픽을 장착한 노트북들 중 거의 최저가이며, 게이밍 노트북 중에서도 최저가에 속하는 가성비 좋은 제품이다.
필자의 실구매가는 597000원이었으며, 여러 쿠폰이 겹칠 경우 더 낮아지기도 한다고 한다.
라이젠모바일 2세대 제품 중 제일 먼저 나온 좀 된 제품이지만, 외장 그래픽인 RX 560X 은 의외로 GTX1050보다 약간 좋다. 패스마크 점수만 보고 굳이 1050 제품을 사려고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NVMe SSD도 256이 아니라 512로 업그레이드 해서 줘서 좋다.
물론 이보다 사양이 좋은 GTX1650 제품이 있었는데,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수입이 안되어 대기자만 쌓여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이 제품은 라이젠 모바일 3 세대를 기다리고 싶지만 어쩔 수 없이 노트북을 사야할 사람들 중, 주머니가 가벼운 분들이라면 살만한 제품이다.
1. 문제점 <-> 장점
(1-1) 문제점
드라이버 설치가 난해하다.
알고 샀지만 필자도 거의 3시간 동안 드라이버를 정리해서 정상으로 만들었다. 그러다 보면 컴퓨터에 능하지 못한 분들은 제 성능을 뽑아내지도 못하고 풀파워 팬소음에 GG칠 상황이 당연히 벌어질 것이다.
하지만 리뷰하신 다른 분들은 잘 돌아갔다 그러던데 어떻게 된건가?
당연히 본사에서 제품을 제공받은 리뷰는 노트북이 완전 정상이니까 조용하게 잘 돌아갈 수밖에 없다.
시작부터 써 놓지만 본사 차원의 통합 드라이버를 만들어 주던가, 윈도우와 드라이버를 아예 깔아서 공급해 주던가 해야 할 것 같다.
드라이버를 정상으로 설치 못할 경우 끄지도 못하는 터보모드의 풀파워 팬소리에 고통받게 될 수도 있다.....
(스마트폰 소음측정기로 약 43데시벨...... 조용한 도서관이 아니라 충분한 폭음이다.)
다른 경우 빨리 뜨거워 지고 빨리 식는지 돌다 말다 돌마 말다 하는 주기가 빠른 풀파워 소음이 날 수도 있다.
드라이버 설치의 자세한 내용은 뒤의 항목에서 다루겠다.
(1-2) 장점 - 사일런트 모드에 만족할 자에겐 매우 조용하고 좋다.
시작부터 드라이버 최악이라 써 봤으니 장점은 충실히 적겠다.
가격싸고, 적당하게인터넷 쓰고 게임 조금 할 정도의 메인 노트북으로 쓰기 좋다.
모양 괜찮고, 베젤 많이 줄여서 동급보다 크기 작고, 남자들 들면 약간 무게 있다고 느껴질 정도이다. 이동용 노트북으로 쓰기에는 좀 무겁겠지만, 컴퓨터를 1개만 사야하는 낙장불입의 가난한 유저들에겐 내장그래픽만 있는 다른 저가 노트북을 살바에야 TUF 시리즈를 사서 모니터와 연결해서 쓰는 좋을 것이다.
놀랍게도 의외로 매우 조용하다.
인터넷이나 할 정도에는 소음이 거의 들리지 않는 최저소음이다. 그냥 사일런트 모드로만 적당히 인터넷하고 유튜브보고 하는 정도로 노트북 쓸 사람에겐 꽤 좋은 제품일 것 같다.
게이밍 노트북을 게이밍이라 부르지 말라는(호부호형의...) 딜레마가 있지만, 이 정도 저가(?) 게이밍 노트북으로 최고사양 게임을 돌리겠다고 나서서 시끄럽다고 한다면 양심이 불량한 것이다. 터보로 올리면 소리 나는 건 당연하다.
참, 터보 모드는 충전기를 꽂아야만 구동된다. 배터리모드에서는 눌러도 터보모드로 넘어가지 않는다.(반대로 말하면 소음이 안잡히는 노트북도 충전기를 빼면 조용해질 수도 있다.)
2. 소음 문제에 대한 자료
스마트폰 소음측정기 어플이 그렇게 정확하지는 않지만 비교를 위해 올린다.
소리측정 위치는 노트북 좌측 F1 키 위이다.
한글창 소음 : 다음은 공회전이나 다름없는 한글창만 켜 놨을 시의 소음이다.
비교대상으로 인터넷창만 띄운 상태의 저소음 데스크탑은 28 데시벨 정도
보통(저소음) 노트북은 25 데시벨 정도이다.
조용 모드는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조용하고, 꽤 만족스럽다. 윈도우 모드는 쓰기 나름으로 클럭이 올라가는 것 같다. 아모리크레이트라는 프로그램이 팬모드를 조정해 주는데 그 이미지도 함께 올린다. 대충 기본 클럭이 어느 정도로 오르는지 알 수 있다.
유튜브 소음 : 그 다음으로 유튜브 구동시 소음이다.
사실 똑같은 동영상 돌리는 것이지만 모드마다 소음이 다르다. 외장 그래픽은 구동 되지도 않고, 내장 VEGA8로 돌려도 그렇게 리소스 소모가 크지는 않지만, 아마도 CPU 클럭이 올라가면서 무조건 발열이 심해져서 일어나는 일일 것이다. 아마추어의 수준으로 생각하면 모드를 올릴수록 CPU가 내장그래픽과 클럭을 함께 올리는 중에 빠르게 열이 올랐다가 팬이 돌면 온도가 상당히 빠르게 내려가면서, 팬이 시끄럽게 돌다 말다를 되풀이 하게 되는 것 같다.
전반적으로 모드를 변경하면 50%파워로 쌩 돌아주고 안정을 찾아간다. 온도도 함께 올랐다가 떨어지는 셈이다.
밑의 사진은 유튜브 구동 중 하드웨어모니터의 CPU 온도와 클럭이다.
하여간 그래서 사일런트 모드에 만족하면 된다는 것이다.....
사일런트 모드로 인터넷 쓰고 유튜브나 보기에는 꽤나 만족스러운 노트북이다. 게다가 혹여나 영상작업하거나 게임할 때도 대비가 되는...
필자가 쓸게 아니라서 게임을 깔아서 구동하며 소리를 들어볼 수는 없었지만,
파이어스트라이크 점수와 구동시 소음을 함께 올리고 이 부분을 마무리 하겠다.
3D MARK 파이어스트라이크 : 사일런트 모드
파이어스트라이크 4651점은 사일런트 모드로 돌린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분들의 리뷰 자료보다(5399점) 점수가 낮게 나왔다.
두번 돌리는데, 때마다 CPU나 외장그래픽 중 하나가 측정이 안되어서 양측 사진을 다 올렸다.
CPU는 58.9도, 외장그래픽은 62도로 오른 것으로 보인다.
데모영상은 큰 영향을 안 받는지 저소음 상태이다가, 벤치로 넘어가면서 팬소음이 올라가기 시작했다. 벤치4는 오히려 소음이 떨어져서 안 올렸고, 벤치3에서 최대 소음이었다.
소음의 느낌은 보통 내장 그래픽 달린 노트북에서는 들어볼 수 없는 우렁찬 울림의 시작이다. 30데시벨이면 "속삭이는 소리"가 아니라 팬 소리 꽤 난다. 이미 바다바람을 맞는 느낌이다.
그래도 이 정도 점수 차이라면 그냥 평소에나 게임할 때나 사일런트 모드로 고정하고 살아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3D MARK 파이어스트라이크 : 터보 모드 (최고소음)
최대소음에 대한 자료가 없어서 하다보니 추가로 올렸다.
터보모드 파스점수는 5527점이고,
사일런트 모드와 생각보다 많은 900점 정도 차이난다.
다른분들의 리뷰 자료 (5399점) 는 "균형"모드 점수인 것 같다.
물론 비행기 날아가는 소리가 난다.
팬이 돌 수 있는 최대소음이 57~58 데시벨인 것 같다. 더 올라가지 않은 것만도 다행인 것 같다. 다른 노트북들 중 60데시벨이 넘어가는 것들도 있다 하니......
GPU는 66도 까지 올라갔고, 의외로 데모영상에서 가장 큰 소음이 났다. 그리고 근소한 차로 55~57데시벨로 올라간 셈이다.
절대로 50데시벨은 "조용한 사무실"이 아니다.
소음에 대한 결론
결론적으로는여러 리뷰에서 조용하고 좋다는 말은 "조용"모드 실행시 그렇다는 것이고, 필자가 보기에는 사실이다.
사일런트 모드로 적당한 작업 하고 쓰기엔 참 좋다.
그래도 업그레이드를 할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해주는 사양이다.
반대로 게임 제대로 하실 분들이나 그래픽 작업을 하는 분들에게는 그닥 추천하고 싶지 않다. 더 좋은 제품을 사거나 데스크탑 본체를 하나 맞추는 편이 소음 공해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같다.
하여간 이 논란의 제품은
자금이 부족하지만 이따금 게임은 돌려야 되겠고,
4기가 메모리에 내장 그래픽인 노트북을 비슷한 값 주고 사기 싫은 분들을 위한 맞춤형이다.
3. 개봉과 설치
흔한 노트북 상자와 개봉은 설명이 필요없을 것이다.
윈도우 설치 안하고 일단 켜보면 바로 바이오스로 들어가서 편하다. 그런데 시작부터 50%파워 정도로 팬이 돌아서 설마 이 소리가 기본일까봐 겁이 살짝난다. 정상설치되면 안 그러니 안심해도 된다.
어차피 업그레이드는 필수, 워런티 씰이 없어서 나사풀고 작업하기 편하다. 나사 갯수도 많지 않은 편이고, 명함 한장 귀퉁이에 넣어서 틈을 벌리면 그런대로 쉽게 열린다.
NVMe SSD는 킹스톤 제품인데 256에서 512로 업그레이드 해서 보내준다.
그런데 이상할 만큼 온도가 낮게 나온다. 낮으면 좋은 것이지만, 공회전이 30도도 안나온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를 돌리면 34도 까지 올렸다. 다나와 목록에서는 못본 기종인데 속력은 정상대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그외 파일을 복사해 볼 경우에도 빠르게 움직였다. 뭐 결론적으로 체감속도 빠르고 잘 움직인다.
당연해진 업그레이드, 삼성 DDR4 메모리 8기가 추가이다. 삼성램이 가장 싸다는 건 정말 다행스런 일이다.
빈 베이에 장착하기 위한 SATA3 500기가 SSD이다.
빈 가이드에 장착했다. SSD용 나사는 노트북 상자에 4개 같이 들어 있었다.
전반적으로 뜯기 쉽고 업그레이드 쉬운 구조인 점이 좋았다.
다들 아시겠지만 윈도우는 GPT, UEFI로 설치하셔야 된다.
윈도우 미디어 크리에이터에서 윈도우 디스크를 만들면 레거시 모드로 설치되기 때문에 터치패드나 펑션키가 작동하지 않는 오류가 생긴다고 한다. 그래서 여러 해 전부터 이미지를 받아서 RUFUS로 설치하는 걸로 알고 있다......
부팅은 스위치 누른 순간부터 윈도우 창 떠서 마우스 움직일 때까지 20초 걸린다.
추가로 장착한 SATA3 SSD도 크리스탈디스크 마크를 돌렸을 때 정상속력이 나왔다.
저렴한 제품을 써도 좀 느릴 뿐, 삼성 SSD 아니라도 살만하다.
그런데 모니터 힌지가 뒤로 젖혀지는 각도가 크지 않다. 노트북 스탠드를 놓고 올려 쓸 때 높이 올리지를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180도까지는 안 바라지만 더 늘려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하 드라이버 설치과정은 유치원생그림책 수준으로 만들어 놨으니까 전공자분들은 패스하시면 된다.
스 압 주 의
4. 드라이버 설치과정 상세
수동설치 가능하신 분들은 4-2로,
컴퓨터가 어려우신 분들은 4-1로 가시면 된다.
4-1. 통합설치 프로그램
사실 뚜껑 열었을 때, 드라이버 DVD도 안들어 있어서 매우 당황했다.
판매처에서 통합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를 걸어놔서 일단 쉽게 설치했지만, 부족한 점이 너무 많다.
판매처 다운로드 링크 : https://blog.naver.com/siscompany1/221714412347
대부분 2018년 말 버전으로 보이며, 총 12개의 프로그램이 깔린다. 줄쳐놓은 리얼텍 랜드라이버는 아수스 공홈에도 없어서 줄 쳐놨다. 그래도 이거라도 있어서 쉽게 노트북을 구동이라도 할 수 있는 것 같아 매우 고맙고 다행이긴 하지만,
이 상태로 다 깔았다고 생각할 컴알못.... .... 님들에게 재앙의 시초이다.
당연히 이대로 사용하면 된다고 여기지 않겠는가?
(문제1) 아드레날린이 설치되지 않았다. - AMD 기능의 핵심이라 할 아드레날린이 안 깔리기 때문에 프리싱크고 뭐고 다 못 쓰는 상태이다. 칩셋 드라이버는 깔린 거 같지만, 이건 팬이 조절이 안되어서 덜 돌고 있는 상태일 뿐이다.
(문제2) 이 상태에서 대다수는 아드레날린만 추가 설치해서 쓸 생각을 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아드레날린을 설치하면 드라이버가 제대로 잡히면서, 노트북 팬이 풀파워로 돌기 시작한다...........
거기다 클럭이 상승하며 CPU 온도가 계속오른다......
정말 당황스러웠다.
앞장에서 설명했듯이, 풀파워로 왱~~~~~ 도는 걸보면...... 실망했다는 분들은 이 케이스일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F5 펑션키로 팬 조절이 약간 되지만, HW모니터로 봤을 때 클럭이 내려가지 않아서 발열이 계속 되는 것 같았다.
구버전 드라이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의심스러운 중에, 어떻든 추가 어플을 깔면 해결된다.
(문제3) MS스토어에서 추가 설치해야 할 UWP 앱들에 대한 설명이 너무 부족하다 못해 아예 없다. (UWP = universal windows platform = 윈도우 앱)
어떻게 판매처 광고에서도 노트북 패키지에서도 설명서 한 장도 안 넣어줄 수가 있는가?
노트북 펑션키가 듣기는 하지만, 예를 들면 F5 팬 조절 키를 눌러도 강인지 약인지 알 수 없고 화면에 뜨지도 않고......이건 거의 그냥 죽으라는 소리다.....
이 노트북 드라이버 방식이, 일반 드라이버를 깔고,
그에 해당되는 MS스토어 어플을 동시에 깔면(UWP),
-----> 그 때부터 제대로 구동되는 시스템이다.
통합프로그램 설치 중에 필요 UWP앱 2개 깔리기는 하는데, 가장 중요한 앱들을 깔라는 설명조차 보이지 않는다.
결론부터 말하면 밑의 그림의 앱들을 추가로 깔아야 한다. (설마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를 모르시지는 않으리라 생각한다. 윈도우에 보면 있다.)
아래 프로그램들 깔고, 아모리 크레이트에서 "조용"으로만 설정하면 일단 해결이다.
통합설치로 만족하시고 드라이버 업데이트 안하실 분들은 여기까지만 보시면 된다.
이렇게만 설치하면 일단 정상구동이 될 것이다.
만약 아모리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4-2 수동 설치 항목에서 (3-1), (3-2), (3-3)까지 설치해 주면 될 것이다.
여건이 되신다면 수동설치를 권하고 싶지만,
수동설치는 이해되는 대로 설명했기 때문에 수준 떨어져서 눈버릴 수가 있다.
4-2. 수동 설치와 드라이버 업데이트
수동 설치하신 컴초보 님들은 대다수 망했을 것이다.
반대로 컴초보님들은 아예 안 샀을지도 모른다.
(그래 도움이 필요하다.)
ASUS 공홈을 믿고 깔았다고 생각하겠지만,
1/4 정도만 흔한 exe
드라이버가 1/4 가까이가 BAT 파일 관리자 모드 실행,
(일부는 관리자 모드로 실행해도 설치된 건지 모르겠다.)
1/4 은 설명도 없는 윈도우앱(UWP)
특히 나머지 몇 개는 윈도우즈 파워셀에서 도스모드처럼 입력해야 되는 구조이다. 필자도 아마추어라 파워셀을 써 본 건 한 손으로 꼽을 정도로 적다.
아무리 프리도스 노트북이라도 이건 너무한 것 같다.
아무리 프리도스 노트북이라도 이건 너무한 것 같다.
아무리 프리도스 노트북이라도 이건 너무한 것 같다.
아무리 프리도스 노트북이라도 이건 너무한 것 같다.
아무리 프리도스 노트북이라도 이건 너무한 것 같다.
설치해야 되는 파일이 있는 폴더를 선택한 상황에서 "파일- 윈도우즈 파워셀- 관리자 권한으로 열기" 를 해서, 설치해야할 파일을 파워셀에서 폴더명>.\install.bat (클릭 엔터)를 입력해서 설치하는 식이다.
이 노트북은 공대생들만 사는 노트북이었나? 발을 잘못 들인 게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1) AMD 공홈 : 칩셋드라이버 - AMD 공홈 것을 깔아주자. (ASUS 공홈 것은 뭔가 부족한?.)
(참고로 그래픽 드라이버인 아드레날린은 마지막에 설치하는 걸 권하고 싶다....)
링크 : https://www.amd.com/ko/support/chipsets/socket-fp5-mobile/amd-ryzen-and-athlon-mobile-chipset
(2) 리얼텍 홈페이지 : 랜카드, 무선 랜카드, 블루투스 드라이버
ASUS 공홈의 블루투스와 무선랜은 파워셀로 설치해야 하는데다, 설치된 것 같기는 한데 프로그램에 목록도 안올라온다. 차라리 리얼텍 공홈으로 가서 다운받자.
거기다 랜카드(유선)드라이버는 ASUS 공홈에 안올라와 있다.
하필 여기도 특이하게,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이메일을 입력하라 하고, 다시 보안문자도 입력하라 해서 인증한 다음에 다운로드를 시켜준다.
보통 하듯이 setup 눌러서 설치하면 된다.
- 랜카드 (RTL8168...) : https://www.realtek.com/en/component/zoo/category/network-interface-controllers-10-100-1000m-gigabit-ethernet-pci-express-software
- 무선랜카드(RTL8821CE)+블루투스 : https://www.realtek.com/en/component/zoo/category/rtl8821ce-software
(블루투스 드라이버가 따로 설치가 안된다고 그러는데,
아마 무선랜 드라이버에서 블루투스를 함께 설치하는 것 같다.......)
(3) ASUS 공홈
- 되도록 공홈에 나오는 순서를 따랐다. 하지만 (바이오스는 대부분 필요없고) 공홈 순서 처음인 오디오부터 설치할 수는 없다. 여기 순서를 따르시면서 최신버전들만 설치하면 된다.
(3-1) Others
DTS 드라이버 : DTS_install.......bat 파일을 우클릭 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ASUS Keyboard HOTKEY : setup64.exe 실행
(3-2) Utilities : Armoury Crate 주변 드라이버는 순서대로 깔아줘야 한다.
(Asus System Control ->Armoury Crate -> RogLive 서비스 )
혹시 모르니 Refreshrate도 뒷순서로 깔아주자.
설치 후 리스타트가 필요하다고 할때는 바로바로 다시시작 해주시면 좋을 것 같다.
Asus System Control InterfaceV1 : install.bat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Armoury Crate 서비스 : ArmouryCratesetup.exe 실행 (팬 모드 조절. 중요)
(2월25일 신버전이 올라왔음)
RogLive 서비스 : RogliveserviceSetup.exe 실행
Refreshrate 서비스 : install.bat를 우클릭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이것은 설치하지 않는다.
다음의 것들은, 클릭하면 마이크로소프트 웹에 가서 UWP 앱을 다운받게 되어 있다. 녹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것은 여기 외엔 다운 받을 수 없으니 가서 받도록 하자.
나머지는 윈도우의 마으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는 편이 나은 것 같다.
리얼텍 코덱 콘솔은 오디오 장치 조절용 앱이다.
DTS 헤드폰은 헤드폰 음향효과 조절용이다. 윈도우의 MS스토어에 찾아봐도 없다.
나머지 착각을 일으키는 것들.
(3-3) Wireless
Wireless radio control driver : Pnpinst64.exe 실행. 비행기 모드용 프로그램이라고 설명에 나와 있다.
(3-4) Chipset, Bluetooth : 필요없음
(3-5) AUDIO, Pointing Device
Realtek Audio Driver : installPackage.bat 우클릭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Precision TouchPad Driver : install_ptp.bat 우클릭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이렇게 공홈 드라이버를 전부 리뷰했지만, 착각이 있을 수도 있다. 혹시 안되는 것이 있으면 파워셀로 설치해 보기 바란다.
(4)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MS 스토어는 다들 아실거다. 윈10을 깔면 시작화면에 따라오는 그 스토어이다.
스토어에 들어가서 "ASUS"를 검색하면 다음 창이 나올것이다.
녹색으로 표기한 4가지를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4-1) ASUS keyboard Hotkey
어차피 무료인데 무료평가판은 무엇일까?
이 앱을 설치하기 전에도 펑션키가 작동은 한다. 키보드 밝기 조절은 처음부터 되는 식이다. 대신 이걸 깔면 화면에 OSD를 표시해준다.
끝.
(4-2) MyASUS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해 주는 줄 알았는데 별 기능이 없다. TUF 시리즈에 별 지원이 없는 것 같다.
하지만 이걸 설치해야 팬 모드 OSD가 나온다고 한다.
(4-3) Armoury Crate
기다리던 팬 조절 앱 아모리 크레이트이다.
그리고 결론은 조용모드.
좀 칙칙한 이 인터페이스가 TUF용이라는데, 설정에서 ROG용으로 바꿀수 있다.
윈도우스토어에 올라온 사진이 바로 ROG용 인터페이스이다.
(4-4) GameVisual
상황에 따라 화면 색감을 바꿔주는 앱이다.
(4-5) ROG AURA, TUF AURA : 깔지 말자. 어차피 이 노트북은 키보드 불빛이 빨간 색으로 고정되어 있다. 깜박깜박 그런것도 안된다. 괜한 기대를 가졌겠지만 실망하게 될 것이다.
(5) AMD 공홈 : 그래픽 드라이버 아드레날린
드디어 마지막 단계다.
밑의 사진의 순서대로 라이젠5 3550h를 고르고 클릭 전송
Recommanded와 Optional 중 무엇을 고를지는 본인의 선택에 맡긴다.
별 차이 없을 것이다.
이상 드라이버 설치가 끝났다.
드라이버 설치 후 프로그램 추가 제어 창에서 다음 설치된 것들이 있어야 한다.
이걸로 해결되어 잘 사용하실 수 있게 되시길 빈다.
5. 리뷰를 마치며
실력도 안되면서 무슨 길고긴 리뷰를 쓰냐고 할 지 모르겠다.
실력이 되는 분들이 자기 수준에 맞게 글을 써 줘서 필자가 쓰게 되었다.
ASUS 회사의 대처가 왜 이모양인지 모르겠다.
드라이버도 안 주는 노트북이 도대체 뭐인가?
인터넷 검색 꽤나 하지않고서는 이 노트북은 정상 설치를 못한다.
(다른 제품군들은 더 잘되어 있는 건가?)
아직도 RX 560X 드라이버를 추가로 깔아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필자가 추가로 설치해 보려 하니 아드레날린 20버전이 또 깔릴 뿐인 것으로 보였다.)
하여간 이 고생을 하고서라도....
내장그래픽 VEGA 8, UHD 620 쓰는 거에 만족하기 싫은 돈 없는 분들 사시면 된다!
조용 모드 정말 조용하다!